• 제목/요약/키워드: lactate dehydrogenase

검색결과 905건 처리시간 0.03초

Catalytic Oxidoreduction of Pyruvate/Lactate and Acetaldehyde/Ethanol Coupled to Electrochemical Oxidoreduction of $NAD^+$/NADH

  • Shin, In-Ho;Jeon, Sung-Jin;Park, Hyung-Soo;Park, Doo-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540-546
    • /
    • 2004
  • We deviced a new graphite-Mn(II) electrode and found that the modified electrode with Mn(II) can catalyze NADH oxidation and $NAD^+$ reduction coupled to electricity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oxidizing agent and reducing power, respectively. In fuel cell with graphite-Mn(II) anode and graphite-Fe(III) cathode, the electricity of 1.5 coulomb (A x s) was produced from NADH which was electrochemically reduced by the graphite-Mn(II) electrode.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s of pyruvate and acetaldehyde were adjusted to 40 mM and 200 mM, respectively, about 25 mM lactate and 35 mM ethanol were produced from 40 mM pyruvate and 200 mM acetaldehyde, respectively, by catalysis of ADH and LDH in the electrochemical reactor with $NAD^+$ as cofactor and electricity as reducing power. By using this new electrode with catalytic function, the bioelectrocatalysts are engineered; namely, oxidoreductase (e.g., lactate dehydrogenase) and $NAD^+$ can function for biotransformation without electron mediator and second oxidoreductase for $NAD^+$/NADH recycling.

오미자를 이용한 스포츠 드링크 섭취가 혈액성분과 운동수행력 및 HSP70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orts Drink Containing Schizandra Chinensis on Blood Biochemical Elements, Exercise Performance and HSP70)

  • 오재근;김복주;신영오;정희정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9-150
    • /
    • 2002
  • OBJECTIVES : Schizandra chinensis is well known for its efficacy at liver function reinforcement, relieving thirst and recovery from fatigu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sports drink containing Schizandra chinensis on serum metabolic substrate, electrolyte, stress indicators, related-enzyme and exercise performance, rectal temperature, and heat shock proteinb70 (HSP70). METHODS : Elite long-distance runners (male, 21.3yrs, n=16)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EXP, n=8) and a control group (CON, n=8). A beverage containing Schizandra chinensis was supplemented 3 times per day to EXP for 4 weeks. Serum biochemical elements (glucose, lactat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creatinine, creatine phosphokinase, lactate dehydrogenase, blood urea nitrogen, Na, K, Cl) were analyzed by auto blood analyzer. Exercise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readmill exercise test, HSP70 was detected by electrophoresis and Western blotting, and rectal temperature was measured by rectal temperature probe. RESULTS : Administration of the beverag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rest level of blood Na, Cl and glucose and decreased significantly lactate dehydrogenase,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No difference was found in exercise performance, rectal temperature increment or HSP70 concentration between groups. CONCLUSIONS : Administration of a sports drink containing Schizandra chinensis altered blood glucose, lactate dehydrogenase,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Na and Cl levels.

  • PDF

Rhizopus oryzae의 카드뮴 해독기작과 이에 관련된 동위효소의 변화 양상 (Detoxification Mechanism and Isoenzyme Pattern Changes against Cadmium in Rhizopus oryzae)

  • 이기성;김영호;박영식;박용근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86-91
    • /
    • 1995
  • Rhizopus oryzae의 카드뮴 적응 및 해독기작과 이에 관련된 세포내 생리 생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R. oryzae는 카드뮴을 첨가 배양하였을 때 카드뮴 영향하에서는 carbohydrate metabolic pathway에 관련된 효소 활성(MDH, GPI)이 촉진되고 과산화물 제거에 관여하는 효소가 새롭게 유도(CAT2)된 반면, lactate를 이용하는 효소(LDH, ADH)의 활성이 감소된 사실은 중금속 영향하에서 세포의 성장과 에너지 공급을 위해 에너지 수율이 낮은 lactate를 이용하는 경로보다는 에너지 수율이 높은 TCA cycle 경로에 작용하는 효소들과 독성과산화물 제거에 관여하는 효소의 더 많은 derepress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兩棲類 胚發生에 EK른 Lactate Dehydrogenase 및 Malate Dehydrogenase의 Isozyme 변화에 관하여 (Studies on the Change of Isozyme Patterns of Lactate and Malate Dehydrogenases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of Some Amphibians)

  • Park, Young-Chul;Ha, Doo-Bo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3-272
    • /
    • 1980
  • 개구리 2種 (Rana nigromaculata와 Rana plancyi chosenica)과 도룡뇽 (Hynobius leechii)의 胚發生에 EK른 lactate dehydrogenase (LDH)와 malate dehydrogenase (MDH)의 isozyme 組成變化를 polyacrylamide 電氣泳動法으로 조사 분석하고 이를 成體의 몇 器官과 비교하였다. R. nigromaculata에서 LDH의 B subunit의 合成을 지배하는 유전자는 heterozygous이고 H. leechii에서는 A subunit의 合成을 지배하는 유전자가 heterozygousfk고 추정된다. 위의 3種의 兩棲類\ulcorner 胚에서 發生初期에는 LDH-1 (심장형)의 活性이 높으나 發生이 진행됨에 따라 LDH-5 (근육형)의 活性도 점차 증가된다. MDH의 경우 發生初期부터 MDH-m과 MDH-s가 존재하고 발생 全段階를 통하여 그 組成에는 변화가 없으나 MDH-m의 活性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 PDF

조류 및 포유류 내 미토콘드리아 젖산탈수소효소 동위효소들의 분포와 역할 (Distribution and Role of Mitochondrial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in Bird and Mammals)

  • 조성규;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0-535
    • /
    • 2017
  • 조류 및 포유류에서 미토콘드리아를 분리하고 모노아민산화효소(EC 1.4.3.4, monoamine oxidase)의 활성을 측정하여 미토콘드리아의 분리도를 확인하였다. 미토콘드리아 각 분획에서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발현도를 생화학적 및 면역화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조류에 비하여 포유류에서는 미토콘드리아 LDH의 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 LDH의 역할은 포유류보다 조류에서 중요시된다고 생각된다. 조류 및 포유류 모든 조직의 단백질양은 세포기질보다 미토콘드리아에서 적게 나타났다. 생쥐와 골든햄스터의 세포기질에서는 LDH $A_4$, $A_3B$, $A_2B_2$, $AB_3$$B_4$ 다섯 가지 동위효소 이외에 testis-specific LDH $C_4$ 동위효소가 정소 조직에서 나타났다. 닭의 미토콘드리아 내에서는 AB hybrid형 동위효소 한 종류가 나타났다. 포유류에서 미토콘드리아 LDH 동위효소들은 조직 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생쥐의 미토콘드리아 내에서는 LDH $A_4$ 및 testis-specific $C_4$ 동위효소가 나타났다. 미토콘드리아 testis-specific LDH $C_4$ 동위효소는 생쥐에서만 나타났다. 골든햄스터 미토콘드리아 내에서는 LDH $B_4$ 동위효소가 lactate oxidase로서 작용하였다. 조류 및 포유류의 대사조건 및 서식환경에 따라 미토콘드리아 LDH 동위효소의 역할도 구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수종척추동물의 LDH isozyme에 대한 비교생화학적 연구 (Comparison of LDH isozymes in several vertebrates)

  • 임중기
    • 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4-46
    • /
    • 1972
  •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in heart, kidney, liver and skeletal muscle of 15 species of vertebrate animals belonging to 5 classes were separated by cellulose acetate electrophoresis and the levels of them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pattern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mong animal species and among tissues. The activity of LDH$_{5}$ was superior in anaerobic tissues such as liver and skeletal muscle, and the activity of LDH$_{1}$ was superior in aerobic tissues such as heart and kidney. The level of LDH of vertebrate animals of the 5 classes has found approximatry increasing in the following order: Pisces>Amphibia>Reptelia

  • PDF

The Effects of Calcium Nutrition on the Activities of Lactate Dehydrogenase, Alcohol Dehydrogenase and Other Enzymes in Melon (Cucumis melo L.) Seedlings Subjected to Flooding

  • Lee, Chang-Hee;Park, Man;Kang, Sang-J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6-43
    • /
    • 2016
  • With transient flooding followed by poor or slow drainage plant roots may become reduction conditions because the root zone was fully filled with water. This study was examined the effects of calcium treatment in the early growth stage on biochemical changes in leaves and roots of melon (Cucumis melo L.) seedlings kept under flooding condition for 72 h. The activities of lactate dehydrogenase more gradually enhanced in the roots than those of leaves of melon seedlings treated with calcium. The activities of alcohol dehydrogenase associated with alcohol fermentation under low oxygen conditions continuously increased in the leaves and roots of seedlings untreated with calcium under flooding at least 72 h but those was constant within at least 12 h in treated with calcium. These results showed that calcium supplying in the early growth stage mitigated alcohol fermentation of melon seedlings kept under flooding condition for 72 h. Activities of nitrate reductase and acid phosphatase in the leaves and roots of seedlings in treated with calcium somewhat higher than those of non-treated with calcium. The activities of sucrose phosphate synthase and fructose-1,6-bisphosphatase of leaves of seedlings in treated with calcium more higher than those of non-treated with calcium.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alcium nutrition mitigate the reduction of activities of some enzymes of melon seedling kept under flooding condition for 72 h.

발아초기의 콩 부위별 Lactate Dehydrogenase 활성변화 및 효소성질 비교 (Comparision of the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Lactate Dehydrogenase Isolated from Different Parts of Soybean Seedling)

  • 이효사;전태홍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1호
    • /
    • pp.28-34
    • /
    • 1983
  • 발아초기(發芽初期)에 콩(대두(大豆))의 부위별(部位別)로 Lactate dehydrogenase(LDH)의 Isozyme 존재가능성(存在可能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한 기초적(基礎的)인 연구(硏究)가 수행(遂行)되었다. 발아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자엽부위의 효소활성변화(酵素活性變化)에는 큰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배축이나 뿌리 부위(部位)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sim}7^{\circ}C$에서 배축이나 뿌리로부터 얻은 LDH는 자엽에서 얻은 LDH에 비(比)해 불안정(不安定)했다. 전기영동상의 Rm value가 자엽으로부터 얻은 효소(酵素)에서는 0.25인데 비하여, 배축으로 부터 분리된 LDH는 0.29였다. 배축이나 뿌리로 부터 분리된 LDH는 Biphasic으로 0.45mM과 0.014mM의 두 km값을 보이고 자엽부위에서는 0.45mM 값만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자엽부위의 LDH와는 다른 성질(性質)을 가진 LDH가 배축이나 뿌리부위(部位)에 존재(存在)할 가능성(可能性)을 보여주고 있다.

  • PDF

미성숙 돼지 난포 내 Lactate Dehydrogenase 활성도 및 동일 난포액 내 스테로이드호르몬의 농도변화 (Follicular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and Steroid Concentrations in the Immature Gilt Ovary)

  • 이창주;윤용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3호
    • /
    • pp.199-206
    • /
    • 2005
  • 연구목적: 난포가 폐쇄되는 동안의 생화학적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미성숙 돼지의 정상 및 폐쇄 난포 내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도 변화 및 동일 난포액 내 스테로이드호르몬의 농도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난포액 (FF), 과립세포 (GC), 협막세포 (TC) 내 LDH의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난포액 내 progesterone ($P_4$), testosterone (T), estradiol ($E_2$)의 농도변화를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정량하였다. 결 과: 정상 및 폐쇄 난포에서 $P_4$의 농도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폐쇄 난포액 내 T의 농도($3.85{\pm}1.50ng/ml$)는 정상 난포 ($1.29{\pm}0.54ng/ml$)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정상 난포 내 $E_2$의 농도 ($43.29{\pm}19.51ng/ml$) 는 폐쇄 난포 ($18.82{\pm}7.27ng/ml$)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난포액 내 $P_4$의 농도는 난포의 크기에 정의 상관관계 (r=0.75)를 보였다. 정상 난포 내 T:$P_4$의 비율 ($8.14{\pm}3.35$)은 폐쇄 난포 ($1.39{\pm}0.60$)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정상 TC ($433.63{\pm}102.40{\mu}U/{\mu}g$ DNA) 및 FF ($246.86{\pm}58.96{\mu}U/{\mu}l$) 내 LDH 활성도는 폐쇄 난포 (각각 $83.7{\pm}10.5$$38.71{\pm}9.00$)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정상 난포의 GC 및 FF 내 LDH 활성도는 $E_2$의 농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폐쇄 난포의 TC 내 LDH 활성도는 $P_4$, T, $E_2$의 농도에 대해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 론: 본 실험의 결과, 미성숙 돼지 난포의 폐쇄는 TC 내 LDH 활성도 감소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