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atory treated soil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7초

표층/심층혼합처리용 굴패각 고화재의 고화성능 평가 (Stabilizing Capability of Oyster Shell Binder for Soft Ground Treatment)

  • 윤길림;김병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1호
    • /
    • pp.143-149
    • /
    • 2006
  • 무단 매립이나 일시 야적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굴패각을 활용한 친환경 굴패각고화재의 고화성능을 평가하는 일련의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은 연약지반개량에 적용하기 위하여 고화재의 고화능력을 평가하고 지반개량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굴패각 고화재 및 시멘트 고화재를 가지고 준설토사에 적용하여 양생기간 및 물/고화재 비를 다르게 변화하면서 일축압축실험을 수행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실내모형 실험을 수행한 결과,굴패 각 고화재는 표층이나 천층 및 심층혼합처리공법으로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경우에 시멘트 고화재 보다 고화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석회와 화학 첨가제 혼합토에 대한 황산염의 영향 (Sulphate Effects on Lime and Chemical Additives Stabilized Soils)

  • 민덕기;황광모;정진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31-38
    • /
    • 2003
  • 도로의 기층재료로 사용된 생석회 혼합토는 흙 속의 황산염과 반응하여 ettringite, thaumasite 및 석고와 같은 팽창성 반응생성물을 생성하며, 도로 균열 등의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석회와 염화칼슘, 생석회와 황산칼슘을 혼합하여 산성화된 우수와 공장지대의 오염된 폐수 속에 포함된 황산염에 대한 지반 공학적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황산염은 생석회 혼합토의 강도 및 팽창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특성은 강도증가가 큰 화학 첨가제를 첨가한 생석회 혼합토에 대하여, 간극수의 pH가 낮을수록 장기적으로 강도감소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pH가 낮은 경우에서는 생석회 혼합토의 반응성이 감소하여 pH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팽창특성은 간극수의 pH가 낮을수록 팽창성이 증가하였으며, 황산칼슘을 첨가한 생석회 혼합토의 팽창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팽창성의 증가와 장기강도의 감소는 황산염과 반응하여 생성된 침상의 황산염수화물의 생성에 기인한 것임을 X-선 회절분석 및 주사 전자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석회노분과 석회로 처리된 세립토의 단기적 역학특성 비교 (Comparison of Short-term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Fine-grained Soils Treated with Lime Kiln Dust and Lime)

  • 김대현;사공명;이용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75-83
    • /
    • 2004
  • 인디아나주 도로국 (INDOT, Indian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에서는 부분적으로 1990년대 초반부터 토사개량(지반 안정화는 아님)에 대한 저비용의 건설재료로서 석회노분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석회노분을 포함한 흙의 강도향상은 설계과정에서 노상의 안정화계산에 반영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석회노분이 수화된 석회와 유사한 공학적 성질을 지닌 재료인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인디아나주에서 흔히 접할수 있는 A-4, A-6, A-7-6와 같이 세립분이 우세한 다양한 흙과 조합하여 석회노분의 역학적 장점들을 평가하기 위해 일련의 실내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터버그한계, 표준다짐, 일축압축, CBR, 체적 안정성과 회복탄성계수등의 실험들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비처리토에 비해 처리토의 경우 60-400% 정도의 범위로 일축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비혼합토에 대한 CBR 값의 범위가 3-18인 것에 반하여, 혼합토에 대한 CBR 값들은25-70의 범위내에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혼합토의 회복탄성계수도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석회노분은 수화된 석회에 대한 대안으로서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재료이며 세립토의 강도를 향상시키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암시한다.

Changes of Distribution Coefficients of Cu, Cr, and As in Different Soil Matrix in a Laboratory Scale

  • Kang, Sung-Mo;Ra, Jong-Bum;Kim, Suk-Ku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137-140
    • /
    • 2009
  • Chromated copper arsenate (CCA), a long history of successful preservative, have raised environmental concerns.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oils for chromium, copper, and arsenic were assessed by measuring distribution coefficient ($K_d$) values of these metal components in a laboratory scale. The results revealed that $K_d$ values were higher in chromium, followed by arsenic and copper in soil matrix. Different soil matrixes resulted in varying mobilities of CCA components. The values of $K_d$ for all three metals increased with organic matter cont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obility of metal components may be very limited to the surface area adjacent to CCA-treated wood due to their fairly large distribution coefficient ($K_d$). However, the metal components would be persistent and accumulated in the soil, resulting in high chemical concentration in service area of treated wood.

Gibbsite와 유기물(有機物) 처리(處理) 및 pH변화(變化)가 토양(土壤)의 SO4= 흡착(吸着)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hange in Soil pH and Treatment of Gibbsite and Organic Matter on Sulfate Adsorption in Soils)

  • 윤순강;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7-113
    • /
    • 1986
  • pH, Gibbsite 및 유기물(有機物)이 토양(土壤)에 의한 $SO_4{^=}$의 흡착(吸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이 상이(相異)한 5종(種)의 토양(土壤) (송정(松汀), 고평(高平), 예산(禮山), 교래(橋來), 남원(南原))을 공시(供試)하여 50~400ppm의 농도(濃度) 범위에서 $SO_4{^=}$흡착시험(吸着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5종(種) 토양(土壤) 모두 주어진 농도(濃度)범위에서 $SO_4{^=}$흡착(吸着)은 Freundlich 등온흡착식과 잘 일치하였다. 2. 토양현탁액(土壤懸濁液)의 초기(初期) pH를 달리 하였을 때 pH가 낮을수록 $SO_4{^=}$ 흡착량(吸着量)이 증가(增加)하였고 결합(結合)에너지 상수 K값이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으나 남원토양(南原土壤)에서의 K값은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3. Gibbsite를 처리(處理)한 토양(土壤)에서 $SO_4{^=}$ 흡착평형(吸着平衡)에 도달(到達)하였을때 pH 변화(變化)는 거의 없었으나 Gibbsite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흡착율(吸着率)은 거의 모든 토양(土壤)에서 같은 경향(傾向)으로 증가(增加)하였다. 4. Gibbsite 처리(處理)에 의한 흡착(吸着)에 미치는 현탁액(懸濁液)의 pH효과(効果)는 0.1%의 낮은 처리수준(處理水準)에서는 현저하였으나 1.5%의 높은 수준(水準)에서는 거의 없었다. 5. 전분(澱粉), 볏짚, 퇴비(堆肥)를 處理하여 3주간 항온시킨 토양(土壤)에서의 흡착정도(吸着程度)는 전분(澱粉)>볏짚>퇴비(堆肥)의 순(順)이었는데 퇴비(堆肥)를 처리(處理)한 토양(土壤)에서는 오히려 $SO_4{^=}$가 탈착(脫着)되었다.

  • PDF

친환경 굴껍질 고화재$^{(R)}$ 개발 및 적용성 연구 (Development of Eco-friendly Binder Using Oyster-Shell and Their Applications)

  • 윤길림;채광석;백승철;윤여원;이규환;김재권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53-560
    • /
    • 2005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study recycling possibility of waste oyster shells, which induce environmental pollutions from piling up out at the open or the temporary reclam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eco-friendly binder using waste oyster shells, and to investigate their reinforcing effects for dredged soil improvement. A series of laboratory tests including compressive strength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oils treated by developed binder with varying water content of dredged soils, mixing rates of binder, and different curing days. Based on laboratory test results, eco-friendly binders developed here using waste oyster shells were found as good resource materials for soft soil improvements.

  • PDF

송도 지역 해양성 점토 고화처리를 위한 최적배합 조건의 선정 (Selection of the optimum mixture condition for stabilization of Songdo silty clay)

  • 김준영;장의룡;정충기;이용준;장순호;최정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412-419
    • /
    • 2009
  • Large quantity of extra soils discharged from excavation site in Songdo area can be treated by hardening agents and utilized in surface stabilized layer overlying thick reclaimed soft soil deposit. Though surface layer stabilization method using cement or lime for very soft soils has been studied in recent years, but studies on moderately soft clayey silt has not been tri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optimum mixing condition for stabilizing Songdo marine soil with low plasiticity. The optimum mixing conditions of hardening agents with Songdo soil such as kind of agents, mixing ratio, initial water content and curing time are investigated by uniaxial compression test and laboratory vane test. The results indicate that strength increases with high mixing ratio and long curing time, while decreases drastically under certain water content before mixing. Finally, optimum mixing condition considering economic efficiency and workability with test results was proposed.

  • PDF

안정처리된 하상토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tabilized Bed Sediment)

  • 김진만;김경민;최봉혁;김학삼;한상현;이대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01-112
    • /
    • 2007
  • 본 논문은 국내발생 하상재료의 하천제방 축제 재료로의 활용성 평가를 위한 실내시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와 화강풍화토를 혼합한 하상토의 공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련의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입도분석, 직접전단시험, 투수시험,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를 통해 시멘트와 화강풍화토를 혼합하여 처리된 하상토의 제방 축조제 및 성토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석회와 첨가제에 의한 해성퇴적토의 강도개선 (Strength Improvement of Lime-treated Soil with Chloride and Sulphate)

  • 민덕기;황광모;박근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7-232
    • /
    • 1999
  • In this paper, a laboratory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strength improvement of quicklime mixture for the effective use of surplus soils, and the shear strength with curing time was estimated at the content of lime. The effect of strength improvemen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change of lime content with chlorides and sulfates from the samples taken at Samsan region, Ulsan.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nce of calcium sulphate encouraged the efficiency of lime stabilization, and increased shear strength. Furthermore, it is necessary for inquir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trength and the chemical components.

  • PDF

Lime - Fly Ash / Rice Husk Ash에 의한 해성퇴적토의 강도특성 개선 (Strength Improvement of Lime-treated Soil with Fly Ash and Rice Husk Ash)

  • 민덕기;황광모;이경준;김현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5-62
    • /
    • 2000
  • In this paper, a laboratory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strength improvement of quicklime mixture with fly ash and rice husk ash for the effective use of surplus soils, and the shear strength with curing time was estimated at lime 10 percent with the change of fly ash and rice husk ash content. The effect of strength improvemen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change of fly ash and rice husk ash content from the samples taken at Samsan region, Ulsan.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nce of lime with fly ash and rice husk ash encouraged the stabilization efficiency of lime with fly ash and rice husk ash, and increased shear strength. Furthermore, it is necessary for inquir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trength and the chemical compon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