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union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3초

MARC 변환을 통한 온라인종합목록 시스템구축에 관한 연구 - KIEP 동북아 Project를 중심으로 - (Study on an Establishment of an Online Union Catalog System through a MARC Conversion - Focusing on the Project of KIEP Northeast Asia -)

  • 김윤실
    • 정보관리연구
    • /
    • 제28권1호
    • /
    • pp.1-33
    • /
    • 1997
  • KIEP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동북아관련 온라인 종합목록 시스템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고 있는 사회과학 도서관간 협력사업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대단히 크다. 온라인 종합목록은 도서관 자원의 공유를 통해 인력 및 재정, 자료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당면한 문제해결에 좋은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 MARC형식의 데이터베이스를 MARC형식의 데이터베이스로 통합해나가는 과정에 대한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PDF

비노조기업 Valero Energy의 노조대체전략과 인적자원관리 (Union Substitution Strategy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Non-Unionized Valero Energy Co.)

  • 이정현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2호
    • /
    • pp.409-441
    • /
    • 2018
  • 이 글은 미국 최대 독립 정유회사인 Valero Energy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비노조 기업의 기업문화와 인적자원관리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 하에 작성되었다. 1980년 설립 이래 Valero는 유전지역인 텍사스 기반 지역기업으로서 남부지역 정서에 부합하는 비노조기업 성격이 뚜렷하다. 강력한 CEO 리더십, 종업원 최우선 정책과 팀워크 강조 문화, 확고한 고용보장정책(no lay-off policy) 및 인사업무 외주화 금지 정책, 업계 중상위권의 임금수준과 업계 최고 수준의 복리후생, 비노조전통과 이를 보완하는 공정한 고충해결 시스템 구비 노력 등 미국 비노조기업의 인적자원관리 특징들을 잘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에 해당한다. 2010년 이전까지 엄청난 성장과 수익성 제고에 기반하여, 한계기업이 선호하는 노조압박방식 대신, 우량기업이 채택하는 노조대체방식을 노조회피전략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실행하여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지속적인 인수합병으로 인한 기업 인력 내 이질성 확대, 유가 하락 등으로 인한 고용보장정책 유지의 어려움과 정리해고 실시 필요성 증대 등으로 인해 Valero의 노조대체방식에 기반한 노조회피전략은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라가고 있다.

국내 대형소매유통업체에서의 비정규직 고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Contingent Employment in Korean Department Stores)

  • 원인성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7권
    • /
    • pp.265-292
    • /
    • 2001
  • This paper examines what determines the use of contingent workers in Korean Department Stores. Drawing on internal labor market, transaction cost & agency, and bureaucracy theories, I hypothesize that four factors affect the use of contingent workers: job characteristics, HRM, occupation,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Data from a sample of employers surveyed by the author in 1997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nd analyse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onsistent with job-based perspective, we find that such job characteristics as firm-specific skill and the level of skill significantly affect the use of contingent workers. But job standardization and outcome measurability have no effects of its use. Second, also we find significant effects on the use of contingent workers of such HRM as scrutiny on employee selection and promotion system. The promotion system has expected effect on its use, but scrutiny on employee selection has opposite effect. Third, we find that occupation significantly affects the use of contingent workers, especially the extent of use of contingent workers of sales service is as five hundred times as that of managerial occupation. Fourth, also consistent with organizational-based perspective, we find that the firm's size significantly has positive effects, and affiliate company and labor union have negative effects. That is, the larger firm's size is, the more possibility of use of contingent workers exists, and the possibilities of its use reduce in case of affiliate company and in front of labor union.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eses findings.

  • PDF

국내의 부문 및 산업별 조합원의 규모와 그 변화 : 미시적인 사회·경제적 관점의 분석 (Sizes of Union Membership at Sector- and Industry-Levels and Their Shifts in Korea: A Micro Socioeconomic Analysis)

  • 정주연
    • 노동경제논집
    • /
    • 제29권2호
    • /
    • pp.117-143
    • /
    • 2006
  • 본 논문은 1963년부터 2003년까지의 40년간의 국내의 금속, 화학, 금융, 자동차 운수부문(sector)의 조합원 수가 시기별로 어떤 증가나 감소 패턴을 보이는가를 규명한다. 또한 이 4개 부문에 속한 산업(industry)인 금속부문의 자동차 조립, 자동차 부품, 조선산업, 화학부문의 시멘트, 석유정제, 제약산업, 금융부문의 민간은행업, 그리고 자동차 운수부문의 시내버스업에서 노조 조직률을 추정하여 산업별로 상대적 노조규모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러한 노조규모의 절대적인 혹은 상대적인 규모의 시기별 변화나 산업별 차이가 각 부문이나 산업이 처한 경제적 환경(성장 단계나 경로)과 제도적 환경(정부개입의 유형이나 정도) 및 사회적 환경(근로자들의 학력, 성별, 연령 혹은 회사의 규모 등의 산업구조)에 영향을 받는 사용자들이나 노조의 태도나 선택에 의해 설명된다. 부문이나 산업수준의 다양성을 고려한 본 논문의 미시적인 사회 경제적 이론들은 선진국의 국제비교 노사관계의 최근 연구들에서 나타나는 미시적인 연구의 필요성의 증가와 맥을 같이한다.

  • PDF

The Re-examination of the role of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on Corporate Performance

  • LEE, Kwan-Su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9호
    • /
    • pp.25-3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continuous investment in human capital contributes to increasing labor productivity at not only individual companies but also at the national level, and causes fundamental as well as increases for labor-management conflicts. The current research aimed to empirically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furthermore, based on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investment on labor productivity, also re-examine the role of the Labor Commission as wel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ervice-Financial Accounting System (KIS-FAS) using representative panel data operated by countries to measure whether long-term investment in corporate human resources affects labor productivity. Results: Two distinctive summarized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Korea Credit Ratings data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human resource investment and economic performance for a ten-year period from 2009 to 2018.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concluded that the role of the labor committee should be effectively formed by the labor as a mediation agency and that the role of the mediation committee members should focus more on how to strengthen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the union.

노사관계에 있어서 단체 교섭력의 결정요인 - 경제적 변수를 중심으로 - (The Determinants of Collective Bargaining Power in Labor-Management Relation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Economic Variables -)

  • 백광기
    • 산학경영연구
    • /
    • 제2권
    • /
    • pp.141-169
    • /
    • 1989
  • Most of the theories of collective bargaining outcomes start with a set of economic variables. The economic constraints, pressures, and incentives influence the bargaining power relationship between labor union and employer. In this paper, the critical macro and micro economic variabl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analyzing the economic context of collective bargaining power relationship is outlined. The focus is on the role that economic forces play in shaping the results of bargaining, that is the outcome of negotiations. In this study, the elasticity of the demand for labor is introduc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conomic aspects that influence bargaining power. Unions will be most successful in increasing wages when they enjoy an inelastic demand for labor. If the demand for labor is not naturally inelastic, some institutional arrangement for "taking wages out of competition" must be sought. Inflation, business cycle, and income policy are influential in shaping both parties' goals and expectations as well.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the economic variables, the nature of power is diagonized with some introductory notions about its care and feeding before proceeding to the details of the above issues.

  • PDF

이탈리아 연금개혁의 정치와 노동조합의 역할 - 코포라티즘적 협의와 대중적 저항, 두 개의 경로를 중심으로 - (Italian Pension Reform Politics and Labor Unions since 1990's - Social Dialogue, or Mass Struggle? -)

  • 주은선;정해식
    • 사회복지연구
    • /
    • 제39호
    • /
    • pp.365-393
    • /
    • 2008
  • 이 연구는 연금개혁 정치에서 노동조합의 영향력, 전략, 그리고 이것이 연금개혁에 가져온 결과에 관한 것이다. 분석 사례는 1994년부터 2004년 사이의 이탈리아 연금개혁이다. 노조의 영향력 면에서 1990년대에 이탈리아 노조는 연금개혁의 중요한 행위자였으나 2004년 개혁에서는 노조의 영향력이 약화되었다. 이는 좌파분열이라는 권력자원의 변화뿐만 아니라 1990년대 노조주도의 연금 삭감을 경험하고 노조가 연금정책에서 노조원의 이익 보호를 강조한데 따라 연금이슈의 성격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전략 면에서 이탈리아 사례는 노조가 코포라티즘적 협의를 추구하느냐 대중적 저항을 선택하느냐는 기본적으로 정부 태도에 달려있음을 보여준다. 1994년 연금개혁 실패로 촉발된 정권교체를 경험한 후 이탈리아 정부는 사회적 합의를 추구하였다. 협의절차가 강조된 1995년 디니개혁에서 이탈리아 노조는 협의에서 주도권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노조내 민주주의를 적극적으로 추구하였다. 노조는 토론과 전체 투표 등을 활용하여 전투적 노조부문의 반대를 누르고 정부와의 협의 결과에 대한 승인을 얻었다. 한편 연금개혁 정치에 노조가 참여한 결과 면에서, 노조는 장기가입자의 기득권 보호에 집중된 성과를 얻었다. 소기업 노동자들의 연금 미가입 문제와 젊은 세대의 급여적절성 등은 연금개혁에서 도외시되었다. 노동조합이 주도하는 타협이라는 호조건과 노조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가운데에서도 노조의 제도개혁에 대한 영향력은 제한되었다.

한국 제조업에서의 노동소득분배율 변동요인 분석 (An Analysis of Movements in the Labor Share of Income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 홍장표
    • 산업노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제조업의 노동소득분배율 변동요인을 1991-2009년 18개 산업 패널자료를 이용해 신고전파 경제학적 접근과 칼레키-포스트케인지안-정치경제학적 접근을 통합한 분석모형을 구축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출과 수입 등 무역의 존도의 증가는 노동소득분배율을 높이고, 노동조합 조직률의 하락, 자본증진적 기술진보, 생산의 세계화가 노동소득분배율을 하락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제도변화의 영향으로는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노동조합의 고용규제력 약화로 노조조직률은 노동소득분배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외주비율 확대가 노동소득분배율을 하락시켰으며, 수출의 노동소득분배율 개선효과가 감소하여 낙수효과가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기업지배구조 개편이 노동소득분배율을 하락시킨다는 포스트케인지안의 금융화 명제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한국의 민주화, 시장화와 언론노조운동 (Democratization, Marketization and Media Union Movements in South Korea)

  • 신광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7권
    • /
    • pp.69-83
    • /
    • 2012
  • 이 글은 한국의 언론노조운동의 전개 과정과 당면 과제를 논의한다. 언론노조운동은 미디어 지니는 독특한 생산물인 정보의 특성으로 인하여, 권위주의 체제 하에서 국가의 억압과 규제를 받아 왔다. 민주화를 계기로 이러한 억압과 규제가 어느 정도 약화되었지만, 언론노조운동은 자본의 억압과 규제에 저항하는 노조의 인정투쟁과 편집권 독립투쟁을 동시에 수행해야 했다. 동시에 노동시장 조직으로서의 언론노조는 고용안정과 임금보장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 언론노조운동은 정치적 차원과 경제적 차원의 이해를 요구한다. 1990년대 후반 들어서 직접적인 국가의 미디어 통제는 약화되었지만, 미디어 시장경쟁이 가속화되고, 독점 언론사들이 등장하면서, 시장화에 따른 미디어 생태계 변화가 나타났다. 한국 언론노조운동은 이러한 시장화에 대응하면서 동시에 미디어 노동자들의 연대를 만들어 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아직까지도 미디어의 공공성 확보라는 민주화의 요구와 시장화에 대응하여 산별언론노조 건설이 여전히 가장 중요한 시대적 과제로 남아있다. 이를 위해서 한진중공업 희망버스 사례처럼, 시민사회와 노동운동의 연대를 통한 언론노조운동의 강화가 모색될 필요가 있다.

  • PDF

노동조합이 비조합원 임금에 미치는 영향: 지역 수준 분석 (Union Effects on Nonunion Wages: A Regional Panel Data Analysis for Korea)

  • 황선웅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2호
    • /
    • pp.79-108
    • /
    • 2017
  • 이 글은 "한국노동패널조사" 2003년~2015년 자료를 이용해 우리나라 지역별 노조 조직률 변화가 같은 지역 미조직 노동자들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조합은 비조합원 평균 임금에 상당히 크고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지역 내 노조 조직률이 10% 포인트 상승하면 같은 지역 비조합원 평균 임금은 약 5% 증가한다. 둘째, 이러한 긍정적 효과는 파급범위가 넓다. 여성, 청년, 저학력, 비정규직, 서비스업, 중소기업 노동자 등 노동시장 취약집단 비조합원의 임금도 지역 내 노조 조직률로부터 긍정적 영향을 받는다. 셋째, 비조합원의 경우와 달리 노조 조합원 평균 임금은 지역 내 노조 조직률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다. 우리나라 임금노동자 중 노조 조합원 비율은 10%, 비조합원 비율은 90%이다. 이 글의 추정 결과는 우리나라 대다수 노동자의 임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노동시장 제도적 요인을 규명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가 있다. 우리나라 비노조 부문의 저임금이 노동조합 때문이라는 사회 일각의 주장은 실증적으로 타당하지 않다. 오히려 그간의 노조 조직률 하락으로 인해 비노조 부문 노조 결성 위협이 감소하고 노동조합의 일반적 노동 표준 제고 기능이 약화되면서 노조 조합원보다 비조합원이 더 큰 임금 손실을 입었을 가능성이 높다. "노조할 권리"를 보장하고 확대하는 전략은, 한편으로는 조합 내부에서 자신의 권리를 보호받는 노동자 비율을 높임으로써, 다른 한편으로는 조합 외부 미조직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에도 긍정적 파급효과를 미침으로써, 우리 경제 일자리의 전반적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