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productivity growth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3초

임금과 생산성 (Wage and Productivity)

  • 박기성;안주엽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1호
    • /
    • pp.165-179
    • /
    • 2004
  • 일반적으로 비교되는 임금상승률과 노동생산성증가율은 임금상승률과 평균노동생산성증가율의 비교라는 데에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고는 새로운 비교 방법을 제시한다. 대체탄력성과 기술수준을 추정한 후 한계노동생산성을 추정하여 이것의 증가율과 임금상승률을 비교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자료를 사용하여 이러한 방법으로 비교하면 임금과 한계노동생산성은 1963~2000년 동안 전반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987년을 기점으로 기간을 나누어 보면 이전에는 임금이 한계노동생산성에 못 미치나, 이후에는 임금이 한계노동생산성을 상회한다. 임금상승률이 한계노동생산성증가율과 큰 차이가 없더라도 평균 노동생산성증가율과는 괴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임금상승률이 평균 노동생산성증가율을 초과한다고 해서 노동의 수요곡선을 벗어난 과도한 임금인상이라고 말할 수 없다.

  • PDF

다능화와 노동생산성 성장 (Multiskilling and Labor Productivity Growth)

  • 김용민;박기성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3호
    • /
    • pp.49-75
    • /
    • 2003
  • 본고는 생산현장에서의 인적자본 축적, 즉 근로자의 숙련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찾아보고, 형성된 숙련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먼저 숙련형성의 유형은 '단순/견습근로자 < 단능근로자 < 다능근로자'의 직렬적 순서이다. 제품수요의 급변성과 비정상적인 상황 발생이라는 외부적 내부적 불확실성이 클수록 다능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배 동료 근로자와의 상호학습, 근로자의 의사결정 참여, 직무 순환 등의 인적자원관리 관행들도 다능화를 촉진한다. 이러한 발견들로부터 생산 현장에서의 숙련형성은 다능화로 대표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기업의 노동생산성 성장률을 기업의 성장률이라고 하면, 불확실성과 인적자원관리 관행들은 다능화를 통해서 기업의 성장에 영향을 준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다능화 비율이 0.1만큼 올라감에 따라 노동생산성 성장률이 0.019만큼 증가한다. 이것은 또한 다능화가 인적자원관리 관행들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인적자본 축적의 한 결과라는 주장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다.

  • PDF

Long-Term Growth Model in Myanmar Based on the Growth Trajectory of Vietnam

  • JEON, Injae;CHO, Yooncheo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771-78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ajor drivers of Myanmar's long-term economic growth and draw implications to implement development policies. This study investigated Myanmar, as the country is the most recently opened economy in Southeast Asia. This study conducted simulation analysis based on scenarios by applying World Bank's Long-Term Growth Model, Penn World Table 9.1, and World Development Indicator data. This study makes extensive use of LTGM and the LTGM-TFP extension to improve the validity of models for data calibration. This study confirms the validity of the model with data calibration and specifies scenarios for simulation analyses by setting the growth trajectory of Vietnam due to common geographical,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Main findings include that Myanmar's economic growth rate will continue to fall below 3% in 2040 without proper improvement of growth driv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provide that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and female labor participation are key factors for Myanmar's long-term economic growth. This study advises policymakers in Myanmar to strengthen human capital, which is crucial for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in Myanmar's context and directly affects economic growth. Further, labor market policies to promote female labor participation is important to sustain economic growth.

Human Pose-based Labor Productivity Measurement Model

  • Lee, Byoungmin;Yoon, Sebeen;Jo, Soun;Kim, Taehoon;Ock, Jongh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839-846
    • /
    • 2022
  • Traditionally,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shown low labor productivity and productivity growth. To improve labor productivity, it must first be accurately measured. The existing method uses work-sampling techniques through observation of workers' activities at certain time intervals on site. However, a dis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the result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observer's judgment and may be inaccurate in the case of a large number of missed scenario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odel to automate labor productivity measurement by monitoring workers' actions using a deep learning-based pose estimation metho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ductivity improvement on construction sites.

  • PDF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OECD 국가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Dual Labor Markets on Labor Productivity: Evidence from the OECD)

  • 최광성;이지은;최충
    • 경제분석
    • /
    • 제25권3호
    • /
    • pp.1-29
    • /
    • 2019
  • 본고에서는 OECD 회원국(2018년 현재 총 36개국) 중 29개국을 대상으로 상용직·임시직 고용비중 변화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 때 자영업자도 함께 고려함으로써 상용직 및 임시직 대비 노동생산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990-2015년 동안 OECD 29개국의 국가별 불균형(unbalanced)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통상최소자승법(OLS), 고정효과(fixed effect) 분석, 일반화된 적률법(이하 GMM), 동태적 패널 GMM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용형태 변화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각 추정 방법에 따라 약간 차이는 있으나 상용직 비중 증가가 노동생산성 증대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자영업, 임시직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시직 근로자 비중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상용직에 비해 상당 폭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심화되면 노동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경제개혁이후 중국의 노동시장 역동성과 지역경제발전 : 지역격차변화 이해에 대한 함의 (Labor Market Dynamics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Post-Reform China: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Changing Regional Inequality)

  • 이원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3-42
    • /
    • 2000
  • 본 연구는 경제개혁이후 중국의 지역경제성장의 불균등성에 대해 진행된 많은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시장화 전략에 의한 노동시장성장의 지리적 패턴과 그것이 갖는 지역격차 이해에 대한 함의를 검토한다. 변이할당 분석을 통해 나타난 고용성장의 지리학은 생산량에 기초한 공간경제패턴과 유사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시장화의 심화에 따라 노동시장의 성장이 노동수요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이다. 또한 생산량과 생산성의 변화가 노동시장의 성장에 대해 갖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비국유기업의 생산량 및 생산성의 상대적 증가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지역변이효과를 통해 지역경제내 고용증대효과를 동남해안지역의 성들 중심으로 가져 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유기업은 생산량과 생산성의 상대적인 감소로 인하여 고용감소효과를 가져 왔다 결과적으로 노동시장의 성장은 생산의 증대와 함께 지역경제발전의 패턴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성장의 지리적 패턴에 대한 설명과 이해는 나아가 경제개혁이라는 제도적 변화와 관련시킨 연구를 통하여 보다 확대될 수 있다.

  • PDF

서비스경제로의 이행과 노동생산성 변화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A Study on the Shift to Service Economy and Changes on Labor Productivity in the Service Industry)

  • 하봉찬
    • 국제지역연구
    • /
    • 제16권3호
    • /
    • pp.119-134
    • /
    • 2012
  • 본 연구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진행중인 서비스경제로의 이행과 그에 따른 경제 전체 혹은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정체 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논문으로서, 생산기술 특성상 생산성 향상이 매우 제한적인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커지면 경제 전체의 생산성 역시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Baumol의 가설을 1970년~2007까지의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산업으로 노동이 이동하는 서비스경제로의 이행은 각 국가별 차이는 있으나 선진국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의 경우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둘째, 서비스산업 노동생산성은 Baumol의 지적대로 생산기술의 특성상 매우 느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업과의 격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 전체의 노동생산성은 Baumol의 지적과는 달리 정체되지 않고 있으며 이는 서비스 세부산업별로 생산성 격차가 매우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넷째, 서비스 세부산업별로도 생산성 격차가 매우 큰데, 제조업에 비해 생산성이 오히려 더 높거나 유사한 정도의 생산성을 보이는 산업도 분명히 존재하며, 노동의 자유로운 이동에 대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구조적 변동이 발생한다면 생산성 정체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Investigat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from Key Performance Measurements

  • Choi, Kunhee;Lee, Hyun Woo;Bae, Junseo;Ryu, Kyeong Ro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50-153
    • /
    • 2015
  •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n integral part of any nation's economy, whether measured by dollar volume or workforce size. In spite of its strong influence, there has been very little specifically aimed at evaluating the current industry performanc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macroeconomic performanc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accounting for crucial performance affecting factors such as labor productivity and gross margin. A clustering analysis, followed by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yielded a notable finding that labor productiv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industry's profitabi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states with the strongest labor productivity show the highest level of profitability in terms of gross margin. This study should be of value to decision-makers when plotting a roadmap for future growth and rendering a strategic business decision.

  • PDF

측정지표에 따른 건설생산성 비교 - 한국, 미국, 영국, 일본(1995-2015) - (A Comparative Study on Construction Productivity Trends as Analyzed by Various Measures - South Korea, the U.S., the U.K., and Japan (1995-2015) -)

  • 이치주;이강;원종성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4호
    • /
    • pp.175-184
    • /
    • 2019
  • To improve productivity in the architecture,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industry,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both current and historic trends in construction productivity.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construction productivity trends of South Korea, the U.S., the U.K., and Japan 1995 to 2015 using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construction duration per floor, and construction duration per 1,000 m2 floor area. As the results,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each country varied according to which measures were used to analyze them. Among the four countries, the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of the U.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at of South Korea. South Korea also had the second highest productivity growth rate, following that of Japan. On the other hand, when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 duration,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in South Korea appeared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ocation of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of each country analyzed by various measures. Therefore, to accurately diagnose and improve the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in South Korea, strategies based on various measures are need to established simultaneously.

출산율 및 여성고용 제고 정책이 성장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Fertility Rate and Female Labor Supply on Economic Potential)

  • 류덕현
    • 한국인구학
    • /
    • 제31권1호
    • /
    • pp.27-54
    • /
    • 2008
  • 본 논문은 최근 출산율 저하와 인구고령화로 인한 성장잠재력의 저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성장잠재력을 제고하는 정책의 성공 여부는 인적자본의 양적.질적 제고를 통한 생산성 향상에 달려 있음으로 파악하고, 인구구조의 변화, 노동시장 조건의 변화 및 노동생산성의 변화 등이 잠재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성장회계 접근방식을 이용하여 1인당 GDP 증가율을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부양비의 변화와 노동투입 요소의 양적.질적 부분의 변화로 분해하였다. 우선, 노동투입의 양적인 변화는 고용률과 근로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시산하였으며, 노동투입의 질적인 변화는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하였다. 또한 출산율과 여성고용을 제고하는 정책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출산율과 여성의 고용률을 주요 정책변수로 한 정책시뮬레이션을 하였다. 1인당 GDP 증가율의 베이스라인 전망결과는 2010년까지 연평균 4%대 중반의 성장률을 보이다가, 2020년대에는 3.94%, 2030년대에는 3.03%, 2040년대에는 2.41%로 서서히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산율 제고에 따른 성장률 효과는 2030년을 지나서 반영이 되며, 고출산율 시나리오 (2030년 이후 합계출산율이 1.57명으로 유지)의 경우 베이스라인보다 2030년대 이후 연평균 약 0.10%p 높은 1인당 GDP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었다. 한편, 여성고용률이 제고되는 시나리오(2025년 이후 $25{\sim}54$세 여성의 고용률이 74.5%로 상승)의 경우 베이스라인보다 2050년까지 연평균 0.04%p 높은 1인당 GDP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는 양적인 노동투입의 효과만으로는 성장잠재력에 미치는 영향이 그다지 크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노동생산성의 향상과 같은 질적인 요소의 증대가 성장잠재력 확충에 중요한 대안이 됨을 알려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