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mobility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7초

최적일치법을 이용한 남녀간 직업 배열의 분석 (Analysis of Gendered Job Sequence through Optimal Matching)

  • 한준
    • 노동경제논집
    • /
    • 제24권1호
    • /
    • pp.149-17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세대내 직업경력의 유형을 찾고자 최적일치법을 이용하여 남성과 여성의 직업경력 분석하였다. 남성과 여성은 직업경력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남성의 경우 공백이 거의 없이 직업경력이 이어지는 반면, 여성은 직업경력이 일찍 종결되거나 상당한 공백을 두고 경력이 단절되는 경향을 보인다. 남성의 경우 경력의 공백이 생기는 경우는 농업직으로부터 기타 직업으로의 이동에 국한된다. 최적일치법과 집락분석을 결합하여 남성과 여성의 직업경력을 유형화한 결과 남성은 직업별로 유형 구분이 잘 되어 나타나는 반면, 여성은 주로 경력의 지속기간에 의해 유형이 구분된다. 남성에 비해 여성은 직업경력이 단절되며, 이는 가사와 육아의 부담, 그리고 여성의 경력을 지속하는 데 대한 사회적 차별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대기 오염이 도시 거주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자료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Air Pollution on the Willingness to Stay in Cities: Evidence from A Chinese Survey)

  • 장하;전택승
    • 지역연구
    • /
    • 제39권4호
    • /
    • pp.111-125
    • /
    • 2023
  •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가속화된 도시화에 따라 노동력의 이동성이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주자의 거주지 선택과 거주 의도는 중국의 경제와 사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대기오염이 도시간 이동한 사람들이 장기적으로 도시에 머무르려 하는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다. 중국 도시간 이동한 사람들에 대한 서베이 자료와 도시 수준의 PM2.5로 대표되는 대기오염자료를 매칭함으로써, 회귀분석을 통해서 도시의 대기질을 좋은 곳으로 이동한 사람들은 해당 도시에 더 오래 남으려는 유인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대기질의 유지가 도시의 인구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 분석 (Job Mobility and Coincidence of Job and Major - in the case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Youth in Korea -)

  • 김안국
    • 노동경제논집
    • /
    • 제29권1호
    • /
    • pp.153-184
    • /
    • 2006
  •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을 대학졸업생 자료와 고용보험 DB를 결합한 자료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이공계 대졸 청년들의 전공직종일치 비율은 그렇게 높지 않아 첫 직장에서 1/3 정도이며 두 번째 직장 이후 조금씩 높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전공직종일치인 경우가 전공직종불일치인 경우보다 임금수준이 낮았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평균임금 이하자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었고, 평균임금 이상자들의 경우 직종전공일치에 따른 임금수준의 저하 경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공계 청년들의 전공일치 선택확률은 임금이 높을수록, 수능점수가 높을수록 높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이공계 인력의 양적 미스매치와 질적 미스매치의 문제가 중하 수준의 인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이공계 대학의 정원 조정을 통해 이공계 인력의 배출을 줄이고, 대신에 이공계 대학원 인력의 배출을 늘리며, 또한 성적이 좋은 학생들이 이공계를 기피하는 현재의 구조를 개혁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이공계 전공을 살리는 직업에 대한 높은 보상체계가 마련되도록 하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 PDF

이주 유형이 자가소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결정요인과 이동유형 별 주거선택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Migration History on Tenure Choice : Focusing on the Determinants and Relationship between Migration Typology and Housing Choice)

  • 천진홍;이성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51-67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이동 유형을 지역 내 이동과 지역 간 이동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원인을 고찰하는 한편 두 가지 유형의 상호 연계성을 이동 후 관찰되는 자가소유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1980년부터 2000년까지의 인구주택총조사(Census)를 활용해 우리나라 인구이동의 일반적 특성을 고찰하고 기존의 이동거리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는 한편, 이동형태에 따른 자가소유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간 이동과 지역 내 이동의 연계를 밝혀주는 Goodman의 세 가지 가설과 Roseman의 조정이동 가설은 우리나라에서 대부분 성립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감소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거리에 따른 이주경력 결정요인을 살펴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차가 거주자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이동성향이 증가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성의 반복이동 성향이 증가하며 유배우자의 이동성향은 감소하였다. 단거리 이동의 경우여성의 이동성향이 남성에 비해 우세했다.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통제된 변인 중 보다 앞선 시기에 실업률이 부(-)인 지역으로 향하던 이주가 조사시점과 가까운 시기에는 정(+)인 지역으로 변화한 점과, 교원수 변인이 동일시기 정(+)인 지역에서 부(-)인 지역으로 변화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주 후 자가를 소유할 확률은 지역 간 이동에서 여성이 더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유형별로 살펴보면 판매직과 기능적의 경우 이동 후 자가를 소유할 확률이 가장 낮았으며 전문직 종사자는 가장 높은 확률을 보였다. 제주지역으로 이주한 가구가 타지역 이주가구에 비해 자가소유확률이 낮았으며 지가가 높은 지역을 목적지로 택한 가구일수록 자가소유 경향은 낮아졌다. 이동성향이 높은 가구는 자가소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스마트 홈 서비스 로봇 맥봇II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Smart Home Service Robot McBot II)

  • 김승우;김하이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824-183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 서비스 로봇인 맥봇II(Mess-Cleanup Robot; McBot II)를 설계한다. 그것은 맥봇I에 비하여 더욱 지능적이고 실용적인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 지금까지 진공청소기는 가사 노동의 부담을 덜어주었지만 진공청소기를 운용하는 점에서 노동의 강도는 차이가 없다. 최근에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상용화된 청소로봇이 나왔지만 큰 시장을 형성하지는 못했다. 왜냐하면 여전히 진공청소 이전에 큰 부피의 쓰레기나 신문, 옷가지 등을 정리정돈 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실제 환경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발전된 새로운 정리정돈 로봇 맥봇II를 개발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로봇의 기계적인 설계와 기본적인 제어에 초점을 맞추어 논문을 구성한다. 맥봇II는 인간이 허리 및 손을 이용하여 정리 정돈 작업을 수행하는 메커니즘을 모델로 하여 설계되어 진다. 작업 시 인간의 허리 기능은 변화 범위가 큰 수직형 리프트와 전후진이 가능한 어깨 조인트 구조로 구현한다. 정리정돈 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로봇 팔과 핸드는 실용성을 위하여 최소 자유도를 갖는 시스템으로 설계한다. 또한 맥봇II가 좁은 면적의 실내에서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고속의 이동 능력을 갖기 위하여 홀로노믹(Holonomic)특성의 이동로봇으로 설계한다. 끝으로 최적화 설계로 구현된 로봇의 몸체/이동/로봇팔/핸드의 동작 제어 실험 결과들을 통하여 맥봇 II의 향상된 성능을 확인한다.

Methods of Regulating Migration Processes in EU Countries

  • Hamova, Oksana;Dergach, Anna;Pikulyk, Oksana;Zolotykh, Irina;Diachenko, Katery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3호
    • /
    • pp.257-265
    • /
    • 2021
  • Modern methods of regulating migration processes in EU states include a wide variety of adapted, transformed under the sway of globalization tools in order to influence the movement of human capital within the European space. The main purpose of the regulatory policy on migration flows is the redistribution of professionally competent professionals between different spheres of life. Herewith, the determining factor in the effectiveness of such distribution is a rational combination of stimulating and disincentive levers of influence on the movement of citizens of different EU countries and taking into account the motives of such mobility. Modernization of migration management approaches can be a major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progress of European countri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conduct a detailed analysis of existing practices of migration flow management, in particular their stimulation or containment, and to outline key migration trend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multicomponent approaches to migration regulation, transformation of regulatory legislation and changing priorities of modern society. The research methods: statistical-analytical method; ARIS method; method of tabular, graphical and analytical modeling; comparative analysis; systematization, generalization. Results. Current pan-European methods of regulating migration processes are insufficiently adapted to the multinational socialeconomic space; consequently, there are some disparities in the distribution of migrants between EU countries, although the overall dynamics of migration is positive. Fluctuations in the population of European countries during 2000-2019 and trends in the transformation of social-economic space confirm the insufficient level of influence of current methods of regulating migration flows. Along with this, the presence of a characteristic asymmetry in the distribution of migrants requires a greater focus on the modernization of regulatory instruments, in particular, the regulatory mechanism for managing migration processes. As a result of the conducted study, further prospects for the implementation of alternative methods of regulating migration processes in EU states have been outlined; the current and projected limits for increasing the level of observance of migrants' rights at the European level have been clarified through the adoption of appropriate regulatory acts; effective solutions for intensifying the influx of high-quality labor resources from different countries to EU have been identified.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to study methods of regulating migration processes in the countries in the global dimension.

사회경제, 인구학적 요인과 이혼율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Divorce Rates and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al Factors)

  • 정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1호
    • /
    • pp.51-67
    • /
    • 2008
  • The study analyzes divorce rates in Korea and makes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f divorce rates. Based on the data from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KOSIS) of the National Statistics Organization, trends for divorce rates change and the relations between divorce rates and macro environmental factors are analyzed. Macro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Korean War, Vietnam War, oil shock, IMP economic crisis and gross national income (GNI), whereas demographical factors include population structure, rates of female labor participation, and geographical location. The principle characteristics of divorce rates are as follows: 1) the Crude divorce rates (CDR) and the number of divorced had been increased from 1970 to 2004, then the trend changed to a decrease; 2) the slope of the change were the highest during 1998 to 2004 after the IMP economic crisis. The relations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re as follows: 1) during the war there was a small increase of CDR for a short period of time; 2) the economic crisis of the nation tend to increase the CDR, while the IMP economic crisis had a strong impact on an increase of CDR because of the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population structure, women's sex role changes as well as the level of standard of living. The increase in CDR from 1990 to 2000 can be explained partly by the population of baby Boomers passing through their marriage and divorce process. The number of population residing in the rural area and the middle class households, and the mobility of population also had an impact on the divorce rates changes. Th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need to develop new divorce statistics that are based on a marriage cohort or a birth cohort because family behavior is a mixture of personal, social and political responses, and because CDR is not an accurate measure of divorce rate since it was influenced by population structure; 2) the need to include micro personal factors as well as macro social factors in a model to fin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ose variables.

지역이동이 대졸자의 임금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ternal Migration on Wage Growth among College Graduates)

  • 최광성;강동우;최충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2호
    • /
    • pp.61-88
    • /
    • 2018
  • 본 연구는 대졸자가 첫 직장에서 두 번째 직장으로 이행할 때, 지역이동이 이주자의 임금에 미치는 효과를 이중차분매칭법으로 분석하였다. 지역이동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이동으로 정의하였고, 특히 지역이동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상호 이동의 임금상승 효과를 각각 추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대졸자직장이동경로조사(2010GOMS)를 이용하였으며, 성향점수 추정에는 대졸자의 개인 특성뿐만 아니라 대학수학능력시험 백분위 점수 및 지역특성 변인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의 이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임금상승 효과가 나타났다.

  • PDF

과학기술 출연(연) 연구자의 경력개발 현황과 개선방안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Career Development of Researchers at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of Science and Technology)

  • 홍성민;조현숙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3호
    • /
    • pp.101-121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식의 융합 및 교류와 연구자의 성장이 더 중요해지는 최근 연구개발 활동의 특징을 반영해, 연구자 경력개발(전문성 심화) 및 경력 유동성(핵심연구주제 변화) 지원체계 구축으로 우수 연구자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 있다.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자 5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활용해, 경력개발 및 경력 유동성이 연구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계량적으로 검증한 후, 연구자 성장에 적합한 경력개발을 촉진하는 연구환경 요소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안정적인 경력개발이 이루어진 후 경력 유동성이 강화되는 게 더 바람직하나 출연연구기관의 인적자원 및 경력개발 지원체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자 경력개발과 유동성을 지원하는 정책방안을 4단계로 제언하였다.

  • PDF

ARDL-Bounds Test에 의한 요소가격균등화 검정: 한국,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ARDL-Bounds Testing Approaches to the Factor Price Equalization: The Case of Korea, U.S., and Japan)

  • 이현재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1-123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 미국, 및 일본간의 상호무역에서 요소가격균등화가 성립되는가를 ARDL모형에 의한 bounds test로 분석하여 요소가격균등화(factor price equalization, FPE)의 동일성(equality)과 수렴성(convergence)을 검정하려는 시도이다.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국제화가 심화됨에 따라 국가간 무역에서 시현될 가능성이 높아진 요소가격균등화는 무역규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대국인 미국이나 일본보다는 한국과 같은 소국에서 나타나며, 실질변수 보다는 명목변수를 통한 조정과정이 용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국가간에 노동이나 자본과 같은 생산요소가 직접적으로 이동하는 단기적인 효과가 요소가격균등화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어 요소가격균등화가 장기적인 경제현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 교역비중이 높은 미국, 일본, 중국, 및 EU 등과의 무역정책과 기타 국가와의 무역정책은 선별적으로 수립해야 하고, 또한 보다 장기적인 차원에서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