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udzu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4초

인삼으로 오인하여 섭취한 후 발생한 자리공 뿌리 중독 4례 (Four Cases of 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Intoxication due to Misidentification as a Ginseng)

  • 배준호;김가을;김기중;이두현;이준열;정대진;김윤성;박찬우;이희영;조준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3-135
    • /
    • 2013
  • Poisoning by Phytolacca esculenta commonly occurs by misidentification as other edible plants. The root of Phytolacca esculenta is similar to other roots, such as kudzu, balloon flower, codonopsis lanceolata, and ginseng. The author experienced four cases of Phytolacca esculenta intoxication due to misidentification as a ginseng. We report on these case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PDF

A report of 24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belonging to the Phyla Proteobacteria and Bacteroidetes isolated in 2020

  • Kim, Ju-Young;Yoon, Jung-Hoon;Joh, Kiseong;Seong, Chi-Nam;Kim, Won-Yong;Im, Wan-Taek;Cha, Chang-Jun;Kim, Seung-Bum;Jeon, Che-Ok;Seo, Taegun;Kim, Myung Kyu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33-142
    • /
    • 2022
  • In 2020, 24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algae, kudzu leaf, mud, pine cone, seashore sand, sea water, soil, tidal flat, and wetland from the Republic of Korea. Isolated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and those exhibiting at least 98.7% sequence similarity with known bacterial species, but not reported in Korea, were highlighted as unrecorded species. These isolates were allocated to the phyla Bacteroidetes and Proteobacteria as unrecorded species in Korea. The four Bacteroidetes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the families Chitinophagaceae, Flavobacteriaceae, and Sphingobacteriaceae (of the orders Chitinophagales, Flavobacteriales, and Sphingobacteriales, respectively). The 20 Proteobacteria strains belonged to the Aeromonadaceae, Marinobacter, Microbulbiferaceae, Enterobacteriaceae, Erwiniaceae, Morganellaceae, Yersiniaceae, Lysobacteraceae, Halomonadaceae, Moraxellaceae, Pseudomonadaceae, Steroidobacteraceae, Xanthomonadaceae, and Myxococcaceae (of the orders Aeromonadales, Alteromonadales, Cellvibrionales, Enterobacterales, Lysobacterales, Oceanospirillales, Pseudomonadales, Steroidobacter, Xanthomonadales, and Myxococcales). This study focused on the description of 24 unreport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in the phyla Bacteroidetes and Proteobacteria belonging to six classes.

Anti-inflammatory Effect of Biotin and Plant extracts

  • Y. J. Joo;S. W. Jung;Kim, B. R.;Kim, I. Y.;Lee, J. D.;H. C. Ryoo;Lee, S. H.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601-610
    • /
    • 2003
  • Biotin is a water-soluble vitamin used as a skin conditioning agent and promotes the formation of intercellular lipid layers through increased lipid synthesis, which improves the skin's natural barrier functi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iotin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in vitro assay models, such as MTT assay, measurements of concentrations of nitric oxide(NO), prostaglandin E2(PGE$_2$), and inhibition rate of 5-lipoxygenase(5-LOX). In comparison with biotin, other plant extracts were tested at the same time which were kudzu vine extract, sage extract, paeonia extract, and dipotassium glycyrrhetinate. Nitric oxide is a signal molecule with functions such as neurotransmission, local vascular relaxation, and anti-inflammation in many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NO can cause apoptosis and necrosis of target cells such as keratinocytes and is generated from L-arginine by nitric oxide synthase (NOS). Prostanoids, including prostaglandins and thromboxanes, are generated by the phospholipase $A_2$/cyclooxygenase(COX) pathway, and leukotrienes are generated by the 5-lipoxygenase pathway from arachidonic acid. Prostaglandin E2 recently have been shown to be beneficial in the resolution of tissue injury and inflammation, also has been implicated as an immunosuppressive agent and plasma levels of PGE$_2$ are elevated in patients sustaining thermal injury. Lipoxygenase metabolites from arachidonic acid have been implicated in inflammation,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raw materials was evaluated in vitro by the offered inhibition of lipoxygenase.

  • PDF

민담 <외쪽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The Interpretation of a Korean Folk Tale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김지연
    • 심성연구
    • /
    • 제32권2호
    • /
    • pp.122-168
    • /
    • 2017
  • 한국 민담 <외쪽이>를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외쪽이> 민담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인도와 아프리카에 유화가 있다. 대상 민담을 보면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부인이 수태 음식 두 개 반을 먹고 온전한 아들 두 명과 팔도 하나, 다리도 하나, 눈도 하나인 반쪽 아들을 낳았다. 형들은 과거 보러갈 때 외쪽이가 따라오는 것을 싫어해서 바위와 나무에 묶어 놓지만, 외쪽이는 힘이 세서 쑥 뽑아서 집의 뜰에 가져다 놓았다. 형들은 외쪽이를 칡으로 묶어서 호랑이 앞에 던져 놓지만 외쪽이는 호랑이와 칡 끊기 내기에서 이겨 호랑이 가죽을 벗겨 돌아온다. 호랑이 가죽을 탐낸 숙소 주인과 장기 내기에서 이겨 주인의 딸을 데려오기로 하고 노끈과 북, 벼룩, 빈대를 가지고 가서 주인집 사람들을 곯려주고 처녀를 데려와서 잘 살았다는 이야기이다.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부인이 부처에게 비는 제시부는 창조성이 고갈된 의식의 한계 상황에서 의식의 자아가 무의식에 겸허한 태도를 취하며 정신의 자발적 활동을 기다리는 태도이다. 하얀 영감이 와서 고기 세 마리를 주는데 고양이가 와서 반 마리를 먹어서 부인은 고기를 두 마리와 반 마리만 먹고 온전한 아들 둘과 막내 아들 외쪽이를 낳는다. 노현자 상으로 나타난 정신(Geist)과 고양이로 나타난 동물적 본성이 작용하여 무의식에서 낯설고 새로운 형상을 지닌 정신적 내용이 생성되었다. 반쪽 존재는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원형상으로 많은 문화에서 신과 정령이 반쪽만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창조 신화에서 반쪽 존재는 생식 능력이 없지만, 죽지 않고 불멸한다고 전해진다. 인도네시아와 아프리카의 설화에서는 반쪽으로 태어난 소년이 하늘나라에 가서 자신의 반쪽을 만나 합쳐져서 온전한 몸이 된다. 반쪽 정령이 인간에게 해로운 경우도 있지만, 반쪽만 있는 새, 닭, 정령이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이야기도 있다. 반쪽 존재는 하늘에서 곡식을 훔쳐 오거나 대나무를 다루는 방법을 배워 오는 문화영웅이다. 반쪽 존재가 나중에 온전한 몸이 되는 이야기도 있지만, 대상 민담과 대부분의 유화에서는 이야기의 결말까지 반쪽 형상이 그대로 유지된다. 외쪽이는 무의식에서 태어난 정신적 체험의 상징이다. 형들이 외쪽이를 싫어하는 것에서 보이듯이 무의식의 내용은 처음에는 이상하고 기괴하게 보일 수 있으며 집단적 의식은 무의식의 내용을 받아들이지 않으려 하지만 새로운 정신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의식의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외쪽이는 호랑이를 퇴치하고 호랑이 가죽을 벗겨 오는데 호랑이는 집어 삼키려는 무의식이며 집단적 무의식의 부정적 모성 원형으로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에서 극복해야 할 괴물이다. 숙소 주인의 딸을 데려올 때 외쪽이는 떨어져 있는 것을 연결해 주는 끈과 음악과 무속에 쓰이는 악기, 하찮아 보이는 벌레를 들고 가서 점잖은 척 하는 사람들을 놀려주는 동시에 활기와 창조성을 가져다준다. 외쪽이는 트릭스터로서 유교적 신분 사회였던 우리 사회의 집단적 의식을 보상하는 역할을 했다고 보여진다. 외쪽이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세상 혹은 존재와 연결되어 있고, 어려움이 있을 때 도움을 주며 그전에 없던 것을 가져다 주는 문화 영웅이기도 한 정신적 내용으로 집단적 무의식에 존재하며 점차 드러날 심성이다.

한국산(韓國産) 사료(飼料)의 연함량(鉛含量)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urvey on the Lead Contents of Feedstuffs Produced in Korea)

  • 이현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9-185
    • /
    • 1988
  •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valuate the lead contents of various feedstuffs produced in Korea and the effect of the burning of gasoline by automobiles on the lead contents. Ninety-one samples near and 95 far road were collected from 9 regions(Do). All of the samples were washed, dry-ashed and analyzed for lead content using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mean values obtained were checked for significance of difference using computer.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lead content in ${\mu}g/g$ of agriculture-byproducts were measured with the following mean values and ranges(in parentheses). Rice bran: $2.07{\pm}1.67$ (0-5.00), rice hull $1.84{\pm}1.18$ (0-3.71), rice straw, $1.27{\pm}1.09$ (0-3.62), soybean pod:$4.55{\pm}3.13$ ($1.13{\pm}10.43$), and wheat bran: $1.69{\pm}0.86$ (0-3.65). 2. The lead content in ${\mu}g/g$ of pasture plants were measured with the following mean values and ranges. Kudzu:$2.71{\pm}1.74$ ($0.38{\pm}8.75$), leed: $2.03{\pm}1.61$ (0-4.54), lespedeza:$4.73{\pm}5.93$ (0-31.25), sagebrush: $4.08{\pm}3.75$ (0-12.18), Korean-grass: $2.11{\pm}1.38$ (0-5.50), maizestalk: $2.62{\pm}2.35$ (0-8.65), clover: $3.83{\pm}2.97$ (0-12.19), alfalfa: $7.14{\pm}0.97$ (4.46-9.25), and timothy: $5.86{\pm}4.79$ (0-9.25). 3. Fourteen samples (22.2%) out of 63 agriculture-byproduct samples and 42 (34.2%) out of 123 pasture plant samples showed lead content of more than $3{\mu}g/g$ which are said to be the upper limit value for cattle. 4.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lead contents of near road, and those of far road was recorgnized. 5. The regional mean values for all kinds of samples collected in Kyungbuk and Kyungnam were significantly (p<0.05, p<0.10) higher compared to those in Chungnam and Jejudo.6. From thes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burning of gasoline by automobiler did not affect on the lead contentes of washed feedstuffs produced in Korea at present.

  • PDF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육(飼育)에 관련(關聯)된 몇 가지 요인(要因)들에 관(關)한 조사(調査) (A Survey on Some Factors Related to the Rearing of the Korean Native Goat)

  • 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8-113
    • /
    • 1984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육시(飼育時)에 고려(考慮)해야 될 몇 가지 요인(要因)에 관(關)한 내용(內容)을 일부 산양(山羊) 사육(飼育) 목장(牧場)을 대상(對象)으로 2개년(個年) 간(間)에 걸쳐 조사(調査)를 실시(實施)하고 그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l. 자(雌) 산양(山羊)의 이유(離乳) 후(後)에 1년간(年間)의 증체량(增體量)은 최고(最高) 55.19g, 최저(最低) 30.1g, 그리고 평균(平均) 4l.9g으로 나타났다. 2. 시중(市中) 구입(購入) 산양(山羊)의 육성시(育成時)에, 생존양(生存羊)의 구입시(購入時) 체량(體量)은 평균(平均) 8.07kg이였고 사망양(死亡羊)의 체량(體量)은 평균 5.89kg이였다. 3. 산양(山羊)의 분만월(分娩月)은 년중(年中) 비교적 일정(一定)하게 분포(分布) 되었고 산자수(産仔數)는 초산양(初産羊)에서 1.2두(頭), 2산양(産羊)에서는 2.0두(頭)로 나타났다. 4. 양질(良質)의 야건초(野乾草)를 주(主)로 섭취(攝取)한 초임양(初妊羊)의 평균(平均) 건물섭취량(乾物攝取量)은 체량(體量)의 2.87%였고, 평균(平均)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62.91%로 나타났다. 5. 관목류(灌木類)를 주(主)로 섭취(攝取)한 육성중(育成中)인 자양(雌羊)의 평균(平均) 건물섭취량(乾物攝取量)은 체중(體重)의 3.92%였고, 평균(平均)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47.07%로 나타났다. 6. 가을철에 제조(製造)한 관목류(灌木類) 및 야초(野草)의 기호성(嗜好性)은 칡이 총(總)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의 65.14%로 가장 높았고 억새는 거의 섭취(攝取)하지 않았다.

  • PDF

모링가와 칡이 호르몬-민감성 인체 전립선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s of Kadzu and Moringa on Hormone-Sensitive Human Prostate Cancer)

  • 이명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53-259
    • /
    • 2019
  • 본 연구는 식물성 모링가와 칡이 호르몬-민감성 전립선암에 어떤 효능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전립선 특이항원 및 항산화 활성과 항암활성을 분석하였다. 각각 에탄올로 추출하여 control, 0.1, 1.0, 10.0, 50.0mg/ml의 농도에서 DPPH 분석한 결과 칡은 50mg/ml에서 42.1%, 과라나는 73.9%의 소거율을 보여 유의적인 항산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p<0.05). 호르몬에 민감한 인체 전립선암 세포주인 LNCaP에서 항암효과를 분석한 결과, 10mg/ml의 농도에서 모링가는 22±4.24%, 칡은 39.9±3.53%의 성장률을 나타냄으로써 분석한 두 가지 추출물 모두에서 뚜렷한 항암 효과가 있었고, 모링가 추출물이 칡 추출물보다 다소 높은 항산화 활성과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천연 식물성 성분인 칡과 모링가가 호르몬에 민감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새로운 항암제로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향후 이들 추출물 중에 어떤 특정성분이 이러한 역할을 하는지와 이에 대한 작용기작 및 안전성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공식품 중 태국칡(Pueraria mirifica) 혼입 판별법 개발 (Detection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Pueraria mirifica (Thai kudzu) in Processed Foods)

  • 박용춘;진상욱;김미라;김규헌;이재황;조태용;이화정;이상재;한상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66-472
    • /
    • 2012
  • 식품 중 P. mirifica 원료 함유여부에 대한 판별법 마련을 위하여 식물의 종 동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ribulose bisphosphate carboxylase (rbcL), RNA polymerase C (rpoC1), intergenic spacer (psbA-trnH) 및 seco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2) 유전자부위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유전자부위를 증폭하기 위하여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하였으며 각각 719 bp, 520 bp, 348 bp 및 507 bp의 PCR 산물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유전자은행에 등록되어있는 염기서열과 유사성에 대한 분석한 결과 rbcL, rpoC1 및 psbA-trnH 부위는 상동성이 매우 높아 프라이머를 설계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ITS2의 경우 염기서열의 차이점이 있어 4종류의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 mirifica, P. lobata, B. superba에 대한 PCR을 실시한 결과 SFI12-miri-6F/SFI12-miri-7R 및 SFI12-miri-6F/SFI12-miri-8R의 경우 P. lobata 와 B. superba에서 비 특이적 밴드가 없으며 P. mirifica에서 예상크기인 137 bp 및 216 bp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P. mirifica을 판별할 수 있는 종 특이 프라이머는 식품가능원료 및 가공식품에 대한 적용할 수 있어 인터넷 쇼핑몰 등 시중에 불법적으로 유통되는 제품에 대한 안전관리에 활용도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Pollen-Food Allergy Syndrome in Korean Pollinosis Patients: A Nationwide Survey

  • Kim, Mi-Ae;Kim, Dong-Kyu;Yang, Hyeon-Jong;Yoo, Young;Ahn, Youngmin;Park, Hae-Sim;Lee, Hyun Jong;Jeong, Yi Yeong;Kim, Bong-Seong;Bae, Woo Yong;Jang, An-Soo;Park, Yang;Koh, Young-Il;Lee, Jaechun;Lim, Dae Hyun;Kim, Jeong Hee;Lee, Sang Min;Kim, Yong Min;Jun, Young Joon;Kim, Hyo Yeol;Kim, Yunsun;Choi, Jeong-Hee;Work Group for Rhinitis,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 /
    • 제10권6호
    • /
    • pp.648-661
    • /
    • 2018
  • Purpose: Pollen-food allergy syndrome (PFAS) is an immunoglobulin E (IgE)-mediated allergy in pollinosis patients caused by raw fruits and vegetables and is the most common food allergy in adults. However, there has been no nationwide study on PFAS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FAS in Korea. Methods: Twenty-two investigat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which patients with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and/or bronchial asthma with pollen allergy were enrolled. The questionnaires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lis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food allergy. Pollen allergy was diagnosed by skin prick test and/or measurement of the serum level of specific IgE. Results: A total of 648 pollinosis patients were enrolled. The prevalence of PFAS was 41.7% (n = 270). PFAS patients exhibited cutaneous (43.0%), respiratory (20.0%), cardiovascular (3.7%) or neurologic symptoms (4.8%) in addition to oropharyngeal symptoms. Anaphylaxis was noted in 8.9% of the PFAS patients. Seventy types of foods were linked to PFAS; e.g., peach (48.5%), apple (46.7%), kiwi (30.4%), peanut (17.4%), plum (16.3%), chestnut (14.8%), pineapple (13.7%), walnut (14.1%), Korean melon (12.6%), tomato (11.9%), melon (11.5%) and apricot (10.7%). Korean foods such as taro/taro stem (8.9%), ginseong (8.2%), perilla leaf (4.4%), bellflower root (4.4%), crown daisy (3.0%), deodeok (3.3%), kudzu root (3.0%) and lotus root (2.6%) were also linked to PFAS. Conclusions: This was the first nationwide study of PFAS in Korea. The prevalence of PFAS was 41.7%, and 8.9% of the PFAS patients had anaphylaxis. These results will provide clinically useful information to physicians.

남대양산 크릴의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NTARCTIC KRILL 2. Processing of Paste Food, Protein Concentrate, Seasoned Dried Product, Powdered Seasoning, Meat Ball, and Snack)

  • 박영호;이응호;이강호;변재형;김세권;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5-80
    • /
    • 1980
  • 크릴을 원료로 하여 품에 대한 화학적 및 관능적 평가를 포함하는 일련의 실험을 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krill paste의 제조에 있어서 krill juice는 $71\%$, krill scrap는 $29\%$의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krill juice에서 분리한 krill paste는 $53\%$, krill broth는 $47\%$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Krill paste의 아미노산 조성은 pro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및 leucine의 함량이 많았고, histidine, methionine, tyrosine, serine 및 threonine의 함량이 적었으며 필수아미노산에 있어서는 leucine 및 lysine의 함량이 높았고 methionine의 함량이 낮았다. 2. 크릴분말단백질의 제조에 있어 최적가공조건은 원료에 대하여 10배량의 $90\%$ isopropyl alcohol나 ethyl alcohol을 가하여 $80\%$에서 5분간 추출하는 조작을 5회 반복하는 것이었다. 추출용제로서는 ethyl alcohol 보다 isopropyl alcohol이 양호하였으며, 크릴분말단백질의 수율은 생동결크릴의 경우는 isopropyl alcohol 추출때가 $10.2\%$ ethyl alcohol 추출때는 $8.8\%$였고, 자숙동결크릴의 경우는 각각 $13.0\%$$11.8\%$였다. 크릴분말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은 생육질부의 아미노산조성과 거의 비슷하였다. 한편 크릴분말단백질을 첨가한 국수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한 결과, 원료 밀가루에 대하여 $3\%$까지 첨가 한 것이 국수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않고 단백질을 강화할 수 있다고 판정하였다. 3. 크릴조미조림품의 품질은 전반적으로 볼 때 열풍건조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가장 양호하였고, 다음이 일건크릴을 원료로 했을 때이며, 자숙냉결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가장 못 하였다. 4. 크릴의 건조분말에 볶은참깨가루, 소금, 분말우육엑스, monosodium glutamate, 고추가루 및 후추가루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여 분말조미료를 만들 었을 때의 품질은 색택에 있어서는 열풍건조크릴을 사용한 것이 양호하였고, 냄새는 일건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양호하였으며, 열탕에 녹였을 때의 풍미는 sample B(크릴함량 $77\%$)가 가장 적당하였다. 5. 크릴 및 조기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고 여기에 일정량의 밀가루, monosodium glutamate 및 소금을 첨가하여 krill meat ball을 만들어 그 색택, 맛 냄새, texture 및 젤리강도 등에 대하여 관능검사를한 결과, 크릴의 첨가량이 $25\%$까지의 제품이 양호하였으며, 생동결 및 자숙동결크릴을 원료로 했을 때의 품질차는 인정할 수 없었다. 6. 크릴, $\alpha$-전분, 고구마전분, 설탕, 소금, monosodium glutamate, glycine, 주석산칼리, 중탄산암모늄 및 중탄산소오다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여 크릴${\cdot}$스낵${\cdot}$과자를 만들어 품질을 비교 검토한 결과 sample B(크림함량 $7.1\%$) 및 sample C(크릴함량 $10.8\%$)서 가장 양호하였다. 크릴${\cdot}$스낵${\cdot}$과자의 제조에 있어서 각종 전분의 가공적성을 시험한 결과 고구마전분이 가장 양호하였고 다음이 옥수수전분, 갈분의 순이었으며, 밀가루가 가장 못 하였다. 튀김방법은 소금튀김에 비하여 기름튀김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있고, 튀김온도는 $210\~215^{\circ}C$가 적당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