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endemic plants

검색결과 528건 처리시간 0.025초

속리산국립공원 내 쌍곡계곡 일대의 자원식물상 (Plant Resources of Ssanggok Valley in Sokrisan National Park, Korea)

  • 정태영;박철하;이경수;윤희빈;이귀용;안찬기;유주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25
    • /
    • 2009
  • 본 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 내 쌍곡계곡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조사기간은 2006년 3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88과 242속 342종 52변종 7품종 등 총 40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키버들, 개족도리, 할미밀망, 민산초나무,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분취 등 총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은 망개나무 등 1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개족도리, 고란초, 망개나무, 백작약, 태백제비꽃, 꼬리진달래, 말나리 등 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들의 보전을 위해서는 향후 희귀식물에 대한 구체적인 보전방안과 번식방법 등이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원식물은 관상용 식물 220분류군, 식용 식물 239분류군, 약용 식물 281분류군, 기타용 식물 20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오리새, 소리쟁이, 취명아주,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토끼풀, 큰달맞이꽃, 비짜루국화, 붉은서나물, 개망초, 망초, 뚱딴지, 서양민들레 등 13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귀화율은 약 3.24%, 자연파괴도는 약 4.53%로 나타났다.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관속식물 (Floristic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 채현희;김영철;이규송;남기흠;이새롬;이윤중;이윤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1-167
    • /
    • 2019
  • 보호지역에서 적절한 보전과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초 정보의 확보는 필수적이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조사결과를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 가능한 정보 확보를 위해 7개의 격자를 설정하고 정밀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16회의 조사를 통해 127과 408속 716종 10아종 88변종 16품종 830분류군이 정리되었다. 중점조사지역 6번에서 가장 많은 48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다음으로는 중점조사지역 4번에서 45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은 6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관찰종으로 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국고유종으로는 총 2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V등급이 15분류군, IV등급이 27분류군, III등급이 38분류군, II등급이 31분류군 그리고 I등급이 19분류군이 정리되었고 중점조사지역 6번에서 가장 많은 70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5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중점조사지역 6번에서 가장 많은 3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동강유역생태 경관보전지역은 지역적인 규모에서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규모에서 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보전하는데 있어서 중요성이 높다고 평가되었다.

분자생물학적 자료에 의한 한국산 개발나물속의 분류학적 고찰 (Taxonomic Review of the Umbelliferous genus Sium L. in Korea: Inferences based on Molecular Data)

  • 이병윤;이정란;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34-239
    • /
    • 2010
  • 핵 리보좀 DNA ITS 구간의 염기서열 정보를 이용하여 한국산 산형과 개발나물속의 분자 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ITS 계통수는 한반도 고유종인 대암개발나물(S. heterophyllum)이 한반도에 생육이 보고된바 없는 러시아 우수리지역의 고유종인 S. tenue와 동일한 종임을 밝혔다. ITS 1과 ITS 2 구간의 염기서열 비교시 S. tenue와 인천 문수산에 생육하고 있는 대암개발나물이 100%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ITS 구간의 염기서열은 최근 신종으로 발표된 세잎개발나물(S. ternifolium)이 개발나물속의 다른 분류군과 뚜렷하게 구별됨을 지지하고 있었다. 세잎개발나물은 유연관계가 가장 가까운 일본 고유종 S. serra의 ITS 염기서열 비교시 1.4와 1.6%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어 종으로서의 처리가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동 사문암지대의 식물다양성 (Floristic Diversity of Serpentine Area in Andong, Korea)

  • 김중현;김선유;정은희;김진석;노태권;배호명;남춘희;이병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38
    • /
    • 2016
  • 본 연구는 안동 사문암지대의 관속식물상, 현존식생 및 토양특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2014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속식물은 88과 239속 311종 6아종 33변종 6품종 3교잡종으로 총 35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249분류군의 분포가 새로이 밝혀졌다. 안동 사문암지역은 식물구계학상 온대중부지역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으로 구성된다. 한반도 고유종은 외대으아리, 은사시나무, 오동나무, 벌개미취가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은 7분류군으로 준위협종(NT)에 채고추나물, 원지, 쑥방망이, 관심대상종(LC)에 낙지다리, 솜양지꽃, 창포, 미평가종(NE)으로 멱쇠채가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V등급 2분류군, III등급 5분류군, II등급 4분류군, I등급 7분류군 등 19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3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 9.5%, 도시화지수 10.6%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의 산림토양은 표층~20cm에서 양토와 미사질양토, 20cm~40cm에서 양토와 미사질점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 내 중금속은 Ni과 Cd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진도와 용초도의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Bijin and Yongcho Islets)

  • 김인택;박태호;최재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4호
    • /
    • pp.223-230
    • /
    • 2005
  • 본 조사는 2000년 2월 1일부터 2002년 5월 30일 사이에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비진도와 용초도를 중심으로 식물종을 조사하고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본 지역의 식생을 분석하기 위해 상재도표와 군락조성표 등을 작성하였다. 본 조사지역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37목, 112과 352속 476종 59변종 12품종으로 총 547종류가 기록되었다. 그리고 그 중 귀화식물은 메귀리, 능수참새그령, 미국개기장 등 36종류, 상록 활엽수는 모밀잣밤나무, 모람, 멀꿀, 생달나무, 육박나무, 센달나무, 후박나무, 참식나무, 동백나무 등 36종류, 재배식물은 삼나무, 편백, 보리, 은사시나무 등 41종류, 그리고 한국특산식물은 개고사리, 풀싸리, 회양목 등 6종류가 기록되었다. '98년도 환경부 지정 보호야생식물은 고란초(Crypsinus hastatus, 98식-4) 1종류가 기록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삼림식생을 식물사회학적으로 분석, 정리한 결과 곰솔군락, 모밀잣밤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참식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굴피나무군락, 억새군락, 사방오리식재림 등 총 9개 자연군락과 1개의 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외래식물에 의한 대학 교정 생태계의 교란 (Disturbance of University Campus Ecosystems by Alien Plants)

  • 김세은;이효혜미;차현철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80-92
    • /
    • 2015
  • 귀화식물은 외국으로부터 들어와 야생에서 자라는 외래식물로서 대부분 번식력이 뛰어나 우리 생태계에서 서식지를 확대하며 토종식물들을 위협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동인구가 많고, 비교적 큰 규모의 생물서식공간을 제공하는 대학교 캠퍼스에 자연 생태계로 유입되어 귀화된 외래종이 얼마나 많이 서식하고, 어떠한 물리적 환경 요인이 귀화식물의 분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캠퍼스는 천안시 소재의 단국대학교, 백석대학교, 상명대학교, 호서대학교를 대상으로 각 교정에 출현하는 귀화된 외래종 (원예종 제외) 및 고유종을 조사하고, 교지와 녹지 면적, 각 학교 사이의 거리 및 고속도로와 거리를 조사하였다. 발견된 총 식물종과 외래종 수는 각각 189종과 43종이었고, 단국대 136종과 35종, 호서대 108종과 25종, 상명대 103종과 31종, 백석대 97종과 26종이 출현하였다. 각 대학 교정에서 외래종의 풍부도는 고속도로와 가까울수록 높았다. 또한 대학 간의 도보거리가 가까울수록 출현 외래종 식물상의 유사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학 교정에서 외래종에 의한 생태계 교란이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인간 활동이 외래종의 분포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Morphology and phytogeography of Laminaria appressirhiza and L. inclinatorhiza (Phaeophyceae) from the Sea of Okhotsk

  • Klochkova, Tatyana A.;Kim, Gwang-Hoon;Belij, Mihail N.;Klochkova, Nina G.
    • ALGAE
    • /
    • 제27권3호
    • /
    • pp.139-153
    • /
    • 2012
  • The re-examination of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s of Laminaria appressirhiza and L. inclinatorhiza collected from different localities in the Sea of Okhotsk was performed. Despite their commercial and ecological importance to the region they have not been comprehensively reviewed since their first description in 1970. Our results show that some original diagnostic key characters (e.g., shape of holdfast, shape of sporangial sori, and dissection of blade) are not stable and have deviations from the type morphology when plants grow in different environments. In L. inclinatorhiza, the sporangial sori development occurred differently to the pattern indicated in original species description as they did not develop simultaneously on both sides of the blade. Instead, the sporangial sori outlines on both sides of the blade did not coincide at first and only became coincident later. Also, a deep-water population of L. inclinatorhiza with an unusual and interesting morphology, growing at depths of 15-25 m on opened rocky coasts in Taujskaya Bay (northern part of the Sea of Okhotsk) was found. The stable diagnostic key characters to distinguish these two species are the cone-like, multilayered, very thick and massive holdfast (in L. inclinatorhiza) and rolled margins of blades, lamellar rosette-like part of thallus, and sporangial sori developing only on one side of the blade (in L. appressirhiza).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both species in the Sea of Okhotsk are discussed. Both species are perennial and widely distributed in the region. L. appressirhiza is more often found as a subdominant species among other kelps, forming maximum biomass and density of 7-9 kg and 8-25 plants per $1m^2$, respectively. L. inclinatorhiza sometimes forms local mono-species communities with maximum biomass and density of 10-12 kg and 10-15 plants per $1m^2$, respectively.

남한강 비내늪의 공사전후 관속식물상과 생태적 특성 (Flora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the Binae Marsh, Namhan River)

  • 유주한;안영섭;이철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1-80
    • /
    • 2012
  •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for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wetland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the Binae marsh, Namhan River, Chungju-si. The flora in the Binae marsh were verified 204 taxa including 48 families, 152 genera, 179 species, 23 varieties and 2 forms. In flora, pteridophyta were 2 taxa including 1 family, 1 genus and 2 species, among angiospermae, dicotyledonae were 153 taxa including 37 families, 110 genera, 138 species, 13 varieties and 2 forms and monocotyledonae were 49 taxa including 10 families, 41 genera, 39 species and 10 varieties. In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life form of flora, megaphanerophytes (M), nanophanerophytes (N) and chamaiphytes (Ch) were each 9 taxa (4.4%), 37 taxa (18.1%) of hemicryptophytes (H), 19 taxa (9.3%) of geophytes (G), 97 taxa (47.6%) of therophytes (Th) and 24 taxa (11.8%) of hydrophytes (HH). The rare plant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as 1 taxa (Aristolochia contorta), and the endemic plant was 1 taxa (Salix koriyanagi) too.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 taxa. From among these, the species of degree I were 5 taxa including Salix chaenomeloides, Aristolochia contorta, Artemisia selengensis, Cirsium pendulum and Vallisneria natans, and degree III was 1 taxa including Alisma orientale.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5 taxa and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mbrosia trifida. The naturalized index (NI) was about 22.1%, 16.1% of urbanized index (UI) and 27.3% of disturbed index (DI). The extinct species by construction were 17 taxa including Persicaria sagittata, Typha orientalis, Zizania latifolia and so forth. The new-occured species were 14 taxa including Brassica juncea, Thlaspi arvense, Carduus crispus and so forth. The important species among the extinct species were Aristolochia contorta, Alisma orientale and Vallisneria natans.

두 외래종 민들레 번식 특성의 계절적 변이 (Seasonal Variation of Reproductive Characters in Two Introduced Species of Taraxacum)

  • 강혜순;최유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1호
    • /
    • pp.457.2-486
    • /
    • 1998
  • Ecological success of introduced species is frequently attributed to the reproductive characters of those specie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flowering season and plant size and reproductive characters in two introduced species of Taraxacum, e.g., T. officinale and T.laevigatum. Seventy six plants of T. officinale and 23 plants of T. laevigatum were randomly tagged from a population at the sungshin Women's University in April of 1997. The size and number of vegetative characters such as rosette diameter, leaf number, and the largest leaf length and width were measured for each plant at the onset of flowering. The infructescence was collected continually from each plant before seed dispersal from April to August of 1997. The number of infructescence per plant, and seed number and total seed weight per infructescence were measured. Mean individual seed weight per infructescence was also obtained. T. officinale possessed larger sized, but smaller number of, leaves than T. laevigatum, thereby resulting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leaf area. There was a trend that vegetatively larger plants in both of these species produced reproductive characters larger in size or greater in number, except for seed number and total seed weight per infructescence in T. laevigatum. All reproductive characters examined in T. officinale decreased toward the end of flowering season. In T. laevigatum, infructescence number per plant also declined during a flowering season: however, mean seed number per infructescence increaed toward the end of flowering season with no significant seasonal change in the total seed weight per infructescence. T. officinale produced on average about twice as many seeds per plant as T. laevigatum during a growing season. These two Taraxacum species produced quite small seeds in size compared to the endemic species, exhibiting a far better dispersal ability of introduced species. These data demonstrate that most reproductive characters decline in size and number in both species during a long flowering period, but the two species appear to employ different strategies to achieve reproductive success in disturbed habitats.

  • PDF

청옥산 - 두타산 남사면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the Southern Slope Area at Mt. Chongok and Mt. Tuta(Kangwon-do))

  • 조창구;백원기;이우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40-252
    • /
    • 1999
  • 본 조사는 1996년 5월과 8월, 1997년 4월에 청옥산과 두타산 남사면 일대의 관속식 물상과 식생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기발표된 북사면의 식물상과 식생을 비교\ulcorner분석하는 동시에, 본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과 식생을 재검토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청옥산과 두타산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100과 358속 573종 95변종 18품종으로 총 686종류로 나타났으며 양치식물계수(Pte-Q)는 1.13이었다. 남사면은 87과 287속 419종 73변종 11품종, 총503종류이며 북사면은 94과 293속 427종 73변종 12품종, 총512종류으로 양쪽 사면에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류는 332종류이고 남사면에 만 분포하는 종류는 172종이며 북사면에만 182종류가 분포하였다. 과 내의 종 다양성은, 가장 많은 분류군이 포함된 상위 11개 과에 속하는 분류군의 수가 328종류로 전체의 47.8%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가장 높은 종다양성을 보이는 과는 국화과였고 다음으로는 장미과였다. 조사된 686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16과 24속 20종 8변종 2품종, 총 30종류로 이는 전체 식물의 4.4%에 상당하며 남사면(25종류)과 북사면(19종류)에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류는 14분류군이며 남사면에만 분포하는 것은 11종류이고 북사면은 5종류이었다. 희귀식물은 16과 20속 21종 1변종, 총 22종류가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8과 16속 19종 1변종, 총 20종류로 우리나라 귀화식물 218종류의 9.2%에 해당하며, 남사면에 분포하는 것이 16종류이고 북사면에 16종류가 분포하며 공통분포가 12종류이다. 조사지역의 생활형 조성은 H-D1-R5-e type으로 온대의 전형적인 생활형을 보였으며,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식용 자원이 42.4%, 약용 자원이 31.5%, 관상용 자원이 15.6%, 목초용 자원이 13.3%로 나타났다. 남사면 일대의 산림식생에 대하여 Z-M방식에 의한 식물사회학적 조사방법으로 분석 한 결과 1개의 군목과 1개의 군단과 5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철쭉군목 (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case Kim 1990)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 (Lindero-Quercion mongilicase Kim 1990) A.신갈나무 전형하위군락(Typical community) B.사시나무-신갈나무군락 (Populus davidiana-Quercus mongolica community) C.잣나무-주목군락 (Pinus koraiensis- Taxus cuspidata community) D.소나무-산거울군락(Pinus densiflora-Carex humilis vu. nana community) E.거제수나무-사스레나무군락 (Betula costata-Betula ermanii community) 이 곳의 산림식생의 층상구조는 교목층과 초본층의 피도가 84%와 78%로 비교적 높은 반면에 아교목층(39%)과 관목층(42%)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피도를 보이는 전형적인 산림구조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어 비교적 식생이 잘 보전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발표된 북사면의 식생과 비교해 볼 때 전체적으로는 신갈나무-철쭉군목으로 대표되나 군단이 하의 군목들은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