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endemic plants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25초

제주도 왕이메오름의 식물상 (Wang-ime Oreum Flora on Jeju Island)

  • 박지현;서민희;문성필;송관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861-881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lora of the Wang-ime oreum located on Seogwipo-si, Jeju-do, to basic data for the Jeju Island plant distribution. A total of 366 taxa were found with 94 families, 240 genera, 358 species, 1 subspecies, 6 varieties, and 1 forma.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in Korea appeared as 2 taxa of grade V, 13 taxa of grade IV, 46 taxa of grade III, 5 taxa of grade II, and 49 taxa of grade I. There were 14 taxa for naturalized plants. The different plant life forms that appeared were large ground plants (M)(54 taxa), small land plants (N) (52 taxa), epiphyte (E) (6 taxa), indicator plants (Ch) (4 taxa), and semi-aquatic plants (H) (168 taxa), There were 34 and 48 taxa of plants(G) and annuals (Th)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Wang-ime oreum, which is adjacent to ranches and grasslands, has little artificial interference, as more plants are distributed, and fewer naturalized plants are found than in Suwolbong and Dangsanbong. Accordingly, each oreu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lora of Jeju-do, thus a management plan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lcano is necessary.

전주천일대의 관속식물상과 도시화지수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in the Jeoniu Stream Area)

  • 변무섭;오현경;김영하;김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1-245
    • /
    • 2005
  • 본 조사 지역인 전주천일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66과 184속 236종 28변종 3품종 총 267종류가 확인되었다 이중 환경부의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생태계교란야생식물에는 물참새피, 도깨비가지, 돼지풀 등 3종류가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특산식물에는 털중나리, 왕벚나무, 개나리, 오동나무 등 4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에는 18과 49속 66종 2변종 총 68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25.5\%$으로 전체 관속식물상의 1/4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도시화지수는 $25.1\%$가 분석되었다.

The Ethnobotanical Investigation around National Parks in the Northern Area of Province Gyeongsangbuk-do, Korea

  • Lee, Ho-Young;Lee, Ji Yeon;Kang, Shin-Ho;Chung, Kyong-Soo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23-639
    • /
    • 2017
  • We investigated traditional knowledge about ethnobotanical uses around national parks in the northern areas of Province Gyeongsangbuk-do, with the focus on the Sobeaksan National Park area.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138 residents at 42 places from 7 counties and/or cities, and verified species and usage information were categorized by taxonomic groups, usage, and used parts. The ethnobotanical species of the regions consisted of a total of 277 taxa: 244 species, 3 subspecies, 28 varieties, and 2 forma in 213 genera of 79 families. The significant native plants included one Endangered Species (Paeonia obovata Max.) and four endemic species (Salix hallaisanensis H. Lev., Aconitum pseudolaeve Nakai, Paulownia coreana Uyeki, and Cirsium setidens (Dunn) Nakai, Sasa coreana Nakai). About 17 Approved Species for Delivering Overseas designat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have been also traditionally valuable in the regions. The main usage of the plants were edible (185 taxa) and medicinal (175 taxa). Leaves were most commonly used parts (109 taxa), followed by stems (73 taxa), fruits (69 taxa), roots (67 taxa), and wholes (57 taxa). The traditional usage of plants were diverse as those useful parts. Leaves, fruits and seeds were used as edible and medicinal; sprouts (young shoots) were mainly used as edible; but roots and flowers were used as medicinal. The study does not only provides examples of traditional uses of native plants, but also facilitates sustainable managements and developments of ethnobotanical knowledge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Vascular plant diversity of the Gogunsan Archipelago in the Korean Peninsula

  • Kim, Jung-Hyun;An, Ji-Hong;Nam, Gi-Heum;Park, Hwan-Joon;Kim, Jin-Seok;Lee, Byoung Yoon;Lee, Kyeong-Ui;Chang, Yeon-So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136-159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six islands belonging to the Gogunsan Archipelago (i.e., Sinsi-do, Seonyu-do, Munyeo-do, Yami-do, Bian-do, and Duri-do) in the Korean Peninsula. As results of five field surveys from March to October of 2016, we have identified 575 total taxa, representing 527 species, five subspecies, 42 varieties, and one hybrid, placed in 358 genera and 118 families. Of these 575 taxa, four are endemic to Korea, six taxa are listed on the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67 ar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nd 74 are invasive alien species. In this study, we compared species richness among the islands, and find that the larger the islands, the higher the species richness. In the case of habitat affinity types, forest species were most common, followed by farmland, seacoast, bare ground and wetland species. From similarity analyses based on the composition of vascular plants, each island did not exhibit either local specificity or unique diversity. On the contrary, the proportion of invasive alien and ruderal species may increase by human activities. Investigations and analyses of island flora such as this are important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the flora, predict future vegetation patterns and the spread of the alien species, and establish managment plans of plant diversity.

DMZ접경지역에 위치한 파주시 삼봉산·자웅산 일대의 관속식물 다양성 (Vascular Plant Diversity of Sambong and Jaung Mountains in Paju City, Border Area of the Korean DMZ)

  • 송진헌;변경열;길희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0-5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삼봉산 (282m), 자웅산 (263m) 지역을 중심으로 관속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2개 산지 식물상 조사결과, 94과 271속 383종 11아종 34변종 6품종으로 총 434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10과 24분류군, 나자식물이 2과 8분류군, 쌍자엽식물이 73과 322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8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은 특산식물 키버들, 세잎승마, 개나리, 오동나무, 백운산원추리 5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취약종(VU)은 세잎승마, 왜박주가리, 금붓꽃이 확인되었고, 약관심종(LC)은 쥐방울덩굴, 금강제비꽃, 두루미천남성, 지치, 말나리가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끈끈이대나물, 흰명아주, 좀명아주, 일본목련, 개소시랑개비, 족제비싸리, 자주개자리, 아까시나무, 토끼풀, 애기땅빈대, 수박풀, 달맞이꽃 등 총 40분류군으로 조사되어, 조사식물 434분류군의 9.2%를 차지하였다. 이 지역은 취락시설과 가까운 산지들로서 특기할만한 식물들의 생태적인 보전·방안 및 대책수립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구광역시 비슬산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Biseul in Daegu)

  • 김중현;김용현;윤창영;김주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81-504
    • /
    • 2008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비슬산(1,083m)의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6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10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89과 302속 397종 1아종 59변종 11품종의 총 4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자주꿩의다리, 매미꽃, 청괴불나무 등 17분류군,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은 세뿔투구꽃의 1분류군, 산림청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태백제비꽃, 나도개감채, 금강애기나리 등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3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7.3%, 도시화지수는 12.2%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새롭게 확인된 식물은 160여 분류군이며, 이중에 귀화식물은 미국자리공, 금낭화, 다닥냉이, 잔개자리, 애기땅빈대, 돼지풀, 코스모스, 주홍서나물, 털별꽃아재비, 원추천인국, 방가지똥, 만수국아재비, 서양민들레, 나도바랭이, 큰김의털, 호밀풀, 자주닭개비 등 17분류군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본 지역은 세뿔투구꽃을 포함한 보존가치가 많은 식물자원이 분포하고 있으나 무분별한 개발 행위와 많은 탐방객의 출입 등으로 자연파괴가 가속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탐방객수 제한이나 자연휴식년제와 같은 관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동 측백나무군락지의 식물상 및 보전방안 (Conservation Methods and Vascular plants of Oriental Thuja Community in Dodong, Daegu)

  • 최병기;임정철;이창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72-83
    • /
    • 2015
  • 천연기념물 제1호인 도동 측백나무군락지에 대한 식물상 연구를 통하여 측백나무와 함께 지역 고유의 식생을 구성하는 식물종의 다양성을 발굴하고, 생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국가식생/식물자원의 가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도동 측백나무림의 식물상은 67과 147속 199종 16변종, 4품종, 21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출현종 가운데 멸종위기종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IUCN 기준의 취약종인 모감주나무와 약관심종인 측백나무, 가침박달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연구지역은 지질학적 연구에서 비석회암지역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측백나무를 포함한 부싯깃고사리, 금털고사리, 돌좀고사리, 산조팝나무, 분꽃나무, 청가시나무 등의 호석회식물이 다소 많은 수(15종)가 분포하고 있으며, 털개살구, 털조록싸리, 큰구와꼬리풀, 개나리(식재기원) 등 한국 특산식물도 4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어, 지역 종급원 형성에 중요한 서식처의 하나로 판단된다. 귀화식물은 큰닭의덩굴, 소리쟁이, 물냉이, 미국가막사리, 개망초 등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가 3.6%와 2.2%로 대구지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귀화식물에 의한 지역 생태계의 교란위협 정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지역은 측백나무가 고유의 식생경관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뿐 아니라 국내에서 자생하는 측백나무림의 최남단분포지라는 것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서식처를 반영한 고유한 지역식물 구성종들이 독특한 종조성을 형성하고 있어 생태학적 보존가치가 높이 평가되었다. 나아가 측백나무 자생지의 서식처에 대한 질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보존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방안들을 고찰하였다.

포도산(경북 영양) 관속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Podosan (Yeongyang, Gyeongbuk))

  • 정규영;박명순;정수영;이선희;최하나;남보미;이유미;최혁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1-291
    • /
    • 2008
  • 본 연구는 경북 영양군 포도산(해발 748m, 북위 $36^{\circ}$ $31^{\prime}$ $79.1^{\prime\prime}$$\sim$$36^{\circ}$ $30^{\prime}$ $16.8^{\prime\prime}$, 동경 $129^{\circ}$ $12^{\prime}$ $43.8^{\prime\prime}$$\sim$$129^{\circ}$ $14^{\prime}$ $07.1^{\prime\prime}$)의 관속식물 분포와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7년 5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총 5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88과 267속 384종 4아종 43변종 6품종의 437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11종류, 약용 229종류, 공업용 85종류, 관상용 71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105종 류이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9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III등급 13종류, IV등급 4종류, 귀화식물이 17종류로서 귀화율은 3.9%, 도시화지수는 6.3%로 나타났다.

선달산(경상북도 봉화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A Flora of Vascular Plants of Seondalsan Mountain (Bonghwa-gun, Gyeongsangbuk-do))

  • 안민우;정선;김재영;조형준;허태임;이혜정;서을원;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89-316
    • /
    • 202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하는 선달산(1,236 m)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밝히고 그들의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14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20회에 걸쳐 조사된 식물은 확증표본을 기초로 할 때 총 96과 341속 562종 18아종 53변종 5품종 63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20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 1분류군, 취약종 3분류군, 약관심종 9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 중 V등급이 1분류군, IV등급이 11분류군, III등급이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분류군의 유용성에 따른 구분에 의하면 식용 440종류, 약용 505종류, 향료용 19종류, 산업용 234종류, 관상용 335종류, 생태복원용 214종류, 사료/퇴비용 269종류로 나타났고, 이 외에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이 30종류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30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덕유산 국립공원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A Floristic Study on the Economic Plants of Deogyusan National Park Area)

  • 박광우;권영한;최경;오승환;김동갑;도재화;태경환;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2-56
    • /
    • 200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 useful resources plants and the flora of Deogyusan. The flora of Deogyusan was investigated from April in 2002 to November in 2003. Vascular plants of this area consist of total 549 taxa; 9 forma, 64 varieties, 476 species, 281 genera, 90 families. It corresponds to $13.5\%$ of totally 4,071 taxa appeared in Korea. Useful plants of this area were investigated 399 taxa. It corresponds to $72.5\%$ of collected plants in this area under our study. Among the useful plants, there are 205 taxa of edible source, 179 taxa of pasture source, 159 taxa of medicinal source, 70 taxa of ornamental source, 15 taxa of timber, and 17 taxa of industrial raw materials. Korean endemic plants were composed 18 families, 23 genera, 19 species, 4 varieties and totaling 25 tax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