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in the Jeoniu Stream Area  

Beon Mu-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im Young-H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im Y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19, no.3, 2005 , pp. 231-24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flora of the studied area in the Jeonju stream was listed as 267taxa; 66families, 184genera, 236species, 28varieties and 3forms. Based on the list of an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3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Paspalum digtichum(Gramineae), Solanum carolinense(Solanaceae), Ambrosia artemirizyolia var. elatior(Compositae).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 4taxa were recorded: Lilium amahile(Li1iaceae) , Prunus yedoens is(Rosaceae), Forsythia koreana(01 eaceae) , Paulownia coreana (Scrophulariaceae). Naturalized plant species was listed as 68taxa; 18families, 49genera, 66species, 2varieties, and Naturalization Index was 25.Spercent of 1/4 the vascular plants, Urbanization Index was 25. Ipercent analysis.
Keywords
XOREAN ENDEMIC PMNT; NATURALIZED PLANTS; NATURALIZATION INDEX;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병화, 심상인(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발생상황. 한국잡초학회지 22(3): 207-226
2 국립환경연구원(2003) 한국외래식물. 국립환경연구원
3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184
4 이유미, 김성식, 조동광, 정승선(2002a) 경기도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 104-123
5 임동옥, 유윤미, 황인천(2004b)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및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3): 288-296
6 沒田眞(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リ-13.大日本圖書. 160쪽
7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3-4): 69-83
8 박수현(2001)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178쪽
9 이유미, 박수현, 정승선(2002b) 서울 중랑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 271-286
10 노재현, 허준(2004) 버나큘러 경관상 개선을 위한 전주천변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3): 26-32
11 박수현(1995)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371쪽
12 김무열(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247-351
13 최중대(1996) 하천의 자연성 제고를 위한 관리 정책. 자연보존지 95: 16-20
14 이창복(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5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이동우, 윤희빈, 이귀용, 이철희(2003a)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2): 210-223
16 김계환, 서병수, 박종민, 변무섭, 박준모(2002) 만경강 중.하류 유역의 식물군집구조. 전북대학교 농대논문집 33: 78-87
17 전동준(2004) 하천생태계의 특성과 생물다양성 보전. 자연보존지 126: 7-14
18 임동옥, 박양규, 유윤미(2004a) 동복천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4): 346-359
19 박선주, 김종홍, 김상민, 박홍덕, 우복주, 백기열(2004)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18-41
20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한주환, 이철희(2003b) 충청북도 미동산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2): 112-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