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occupational stress scal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4초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Blue Collar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 신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7-68
    • /
    • 2016
  • 본 연구는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의 융복합적 관련성을 파악하며,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유의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14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스스로 작성하는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의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KOSS)수준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BMI, 주관적 건강상태, 흡연상태, 규칙적인 운동여부, 커피음용여부, 외래진료유무, 직장생활의 만족도, 직무스트레스(KOSS)가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이며 변수설명력은 34.1%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별, 건강관련 행위특성별, 직무관련 및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융복합적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ist)

  • 박은영;김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208-216
    • /
    • 2008
  • 이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작업치료사 164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특성,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결과, 직무스트레스 척도 중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직장문화 요인과 자기효능감 척도의 자신감, 자기조절, 과제 난이도 하위 척도 모두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 결과, 작업치료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들 중 지위 변인을 제외한 연령, 학력, 지위, 급여, 경력은 모두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작업치료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이 연구의 모형은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장애유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비교 (The Study of Comparing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ype of Disability)

  • 김희정;김동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1-182
    • /
    • 2012
  • We tried to look for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parents who look afte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tellectual disability, physical disability, and deafness. We also tried to know type and severity of parenting stress and inform a necessity of a resource and social support through the study. We subjected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visit 7 medical centers to treat in the 4 cities. The parent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We analysed the scale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using Likert 5 point scale. As a result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by type of disability, parenting stress was very high regardless of type of disability. However,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y had lower social support. In detail,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ad the highest parenting stress, and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eafness had the lowest parenting stress. In the social support,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received high social support, and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received low social support.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흡연행동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moking Behaviors among Small Scale Manufacturing Male Workers)

  • 신은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509-8515
    • /
    • 2015
  • 본 연구는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흡연과의 관련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24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856명을 대상으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흡연율은 35.2%이었다.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과 흡연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한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 총점과 하위영역(물리적 환경, 직무요구,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및 직장문화)에서의 스트레스요인 점수가 정상군에 비해 고위험 스트레스군에서 현재 흡연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에서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인 군보다 고위험스트레스군에서 흡연과의 관련성이 더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Effect of Workload on Job Stress of Ghanaian OPD Nurses: The Role of Coworker Support

  • Kokoroko, Emmanuel;Sanda, Mohammed 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3호
    • /
    • pp.341-346
    • /
    • 2019
  • Background: Although the concept of workload is important to nursing practice, only a few nursing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issue of workload within the nursing context. Knowledge of how the dynamics of workload affects the job stress of nurses working in a specific unit or department in a hospital setting, and the influence of coworker support on this relationship, still remains limited. This study, therefore examined the effect of workload on job stress of Ghanaian outpatient department nurs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worker support on this relationship.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an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a sample of 216 outpatient department nurses from four major hospitals in Ghana. The data collected measured workload, job stress, and coworker support using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Task Load Index, job stress scale, and coworker support scale, respectively.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High levels of workload wer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job stress of the nurses. Also, higher levels of workload were related to higher levels of job stress for nurses who received high levels of coworker support, but this was not the case for those who received low levels of coworker support (reserve buffering effect). Conclusion: The finding reiterates the adverse effect of workloads on employees' health, and the reverse buffering effect implies that supporting a colleague at work should be conveyed in a positive manner devoid of negative appraisal.

직장인의 현실요법 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Reality Therapy Program Effect for Reducing The Occupational Stress in Company Employee)

  • 변상해;김세봉;장경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750-758
    • /
    • 2009
  • 본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A 지역의 30-40대 생산직 남성 근로자로, 현재 근무하는 직장에서 2년 이상 근무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측정도구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 검사 단축형으로 한국직무스트레스 학회에서 2년에 걸쳐 개발한 표준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 목적에 맞게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인 직무스트레스 점수는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에서는 직무요구, 조직체계, 보상부적절은 p<.01 수준에서, 직무자율,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직장문화는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진다. 즉 현실요법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다.

Association of Amplitude and Stability of Circadian Rhythm, Sleep Quality, and Occupational Stress with Sickness Absence among a Gas Company Employees-A Cross Sectional Study from Iran

  • Zare, Rezvan;Choobineh, Alireza;Keshavarzi, Sareh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8권3호
    • /
    • pp.276-281
    • /
    • 2017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ickness absence and occupational stress, sleep quality, and amplitude and stability of circadian rhythm as well as to determine contributing factors of sickness absence. Methods: This cross 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400 randomly selected employees of an Iranian gas compan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Karolinska sleepiness scale, circadian type inventory, and Osipow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s. Results: The mean age and job tenure of the participants were $33.18{\pm}5.64years$ and $6.06{\pm}4.99years$, respectively. Also, the participants had been absent from work on average 2.16 days a year. According to the results, 209 participants had no absences, 129 participants had short-term absences, and 62 participants had long-term absence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hort-term absenteeism and amplitude of circadian rhythm [odds ratio (OR) = 6.13], sleep quality (OR = 14.46), sleepiness (OR = 2.08), role boundary (OR = 6.45), and responsibility (OR = 5.23). Long-term absenteeism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mplitude of circadian rhythm (OR = 2.42), sleep quality (OR = 21.56), sleepiness (OR = 6.44), role overload (OR = 4.84), role boundary (OR = 4.27), and responsibility (OR = 3.72).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poor sleep quality, amplitude of circadian rhythm, and occupational stress were the contributing factors for sickness absence in the study population.

판매 및 유통업 종사 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n Female Workers' Job Stress in Sales and Retail Industries)

  • 이윤정;정혜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2-32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job stress and to explore risk factors of female workers in the retail and sales industri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Methods: A total of 321 participants responded to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24 items of the KOSS(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24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March 2007 and analyzed. Results: The mean scores of female workers' job stress in the retail and sales industries ranged in Q50~74 compared with the average scores of female Koreans. The level of job insecurity was significantly high, and ranged in Q75~. However, the level of insufficient job control ranged in Q~2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plain the risk factors of female workers: monthly salary and insufficient sleep wer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High level of job stress suggested that appropriate stress management programs be implemented for female workers in the retail and sales industries.

  • PDF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 직무 스트레스 및 피로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leep Quality,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on Depression Among Small-scale Manufacturing Male Workers)

  • 이규선;강정숙;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230-2240
    • /
    • 2011
  • 본 연구는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수면의 질, 직무스트레스 및 피로가 우울수준 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에 종사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856명을 대상으로 2010년 4월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우울군(CES-D 21점 이상)의 분포는 44.3%를 차지하였으며, 우울수준은 직무스트레스(r=0.538, p<0.01), 피로(r=0.533, p<0.01) 및 수면의 질(r=-0.399,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수면의 질이나 피로수준보다 우울수준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 및 피로수준이 증가할수록, 수면의 질이 낮을수록 우울수준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자들의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작업환경 및 직무내용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재난 및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자의 인식조사 (Awareness of disaster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홍영호;조수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539-547
    • /
    • 2017
  • 본 연구는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재난 및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향후 작업치료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전국에 있는 3년제와 4년제 대학의 작업치료과 재학생 545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결과는 SPSS 19.0 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빈도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분석된 설문자료의 검증을 위하여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설문항에 대한 Cronbach'alpha는 0.891이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작업치료를 전공으로 하고 있는 학습자의 약 20%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증상 및 발생기전 그리고 진단기준에 대해서 인지하지 못하였다. 산업재해를 통해 신체적인 손상뿐 아니라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같은 정신적인 증상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이유에 대한 지식은 Likert 5점 척도로 2.92로 충분하지 못했다. 재활치료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작업치료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Likert 5점 척도로 3.90으로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재난에 대한 인지도간의 상관성보다 재난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Pearson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