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space theory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17초

지식공간론에 기초한 천문학적 공간개념의 위계 분석 (Hierarchical Analysis of Astronomical Space Concepts Based on the Knowledge Space Theory)

  • 윤마병;김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9-266
    • /
    • 2010
  • 학습자의 개별 정답 문항에서 얻어지는 단편적인 정보들로부터 평가에 관련되는 지식 전체에 대한 정보를 추론할 수 있는 지식공간론을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천문학적 공간개념에 대한 위계와 개별 학생의 지식상태를 분석하였다. 천문학적 공간개념을 구성하는 요인의 위계는 '공간위치$\ll$공간추리$\ll$공간변화'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평가 자료의 분석은 기존의 평가 방법으로는 알 수 없었던 평가 문항과 문항 간의 관계와 학생 개개인의 지식상태를 알 수 있게 함으로서 학습자의 수준별 개별화 학습과 교육과정 선정에서 많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학습과제분석 지원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a Tool to Support Learning Tasks Analysis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 조형철;임진숙;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29-139
    • /
    • 2004
  • 정보화로 급변하는 사회는 학교 교육이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식에서 탈피하여 수업의 혁신과 효율성을 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효율성 있는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사전 지식에 대한 분석과 이에 따른 수업계획이 필요하다. 지식공간론은 학습자의 지식상태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 방법을 제공해 준다. 본 연구는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학습자 지식상태분석의 여러 방법들을 개발하여 교실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학습과제분석 지원도구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결정적 학습 경로를 위한 지식 구조 분석 시스템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System for Critical Learning Pathway)

  • 이상훈;문승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9-46
    • /
    • 2015
  • 지식 공간 이론이란 학습자들이 대해 최대한의 학습 성취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학습자들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주는 이론으로 여러 교육 환경에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지식 공간 이론을 사용해왔던 많은 방법들이 주로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져 왔고 이러한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서 비주얼 베이직 혹은 R 등의 프로그램이 사용되어 왔지만 프로그램을 따로 배워야 하는 불편함과 시간적으로 낭비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식 공간상에서 학습자들의 지식구조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결정적 학습 경로를 제공하는 이른바 지식 구조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아파치 웹상에서 구현되었고, 카이 제곱 값을 산출하여 결정적 학습 흐름도를 도출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사용자들이 웹에서 편리하게 학습자들의 지식 상태 분석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고 지식 구조의 체계적인 검토를 위한 방법을 제시해준다.

인터넷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사회적 자본 이론과 자기표현욕구를 중심으로 (The Factors to Promote Internet Knowledge Sharing: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and Self-Expression Concept)

  • 한진우;유철우;최영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6권1호
    • /
    • pp.153-180
    • /
    • 2009
  • The previous researches about knowledge sharing were proceeded in terms of KM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center. However, knowledge sharing is recently applied to Internet space, which is open to every users, as well as KMS, which is qualified for restricted people. For example, some portal sites, such as Naver, the most popular portal in Korea, have virtual spaces to share users' knowledges and it is common that many users use the spaces. Knowledge sharing online, compared with KMS, will be more advanced to promote intention for knowledge sharing because of the character of Internet space that is open to all users. Nevertheless,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knowledge sharing in the Internet.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is study is attempted to figure out the factors to promote Internet knowledge sharing,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and self-expression concept. A survey of experienced Internet user and PLS (Partial Least Square) were utilized for analysis. The test of this study reveals that social capital and self-expression are significant factors to influence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that also personal innovation and self-efficac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elf-expression. However, personal innovation does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result, self-expression, as well as trust and system itself, has significantly effect on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n order to promote knowledge sharing in the Internet.

  • PDF

평가부분에서 지식공간과 퍼지이론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pplications of Knowledge Space and Fuzzy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Evaluation)

  • 박달원;장이채;김태균;정인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27-43
    • /
    • 2003
  • 본 논문은 자데교수에 의해 소개된 퍼지집합을 정의하면서 시작된 퍼지이론과 도이거넌과 팔마건에 의해 발전된 지식공간의 수학교육의 교수학습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로 새로운 이론을 소개한다. 특히, 위 두 이론은 평가부분에서 현재의 평가방법이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을 접근하여 수학 학습 평가의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지식상태 분석법을 통한 예비 물리교사들의 학년별 물리개념 위계도 분석 (A Look at the Physics Concept Hierarchy of Pre-service Physics Teacher Through the Knowledge State Analysis Method)

  • 박상태;변두원;이희복;김준태;육근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46-753
    • /
    • 2005
  • 평가는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가장 중요한 것들을 반영해야 한다. 지금까지 학교교육에서의 대부분의 평가는 학력의 측정에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으며 설령 진단평가와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더라도 그 평가결과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이러한 원인은 평가결과로부터 개인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도구가 없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의 평가결과로부터 얻을 수 없었던 집단별, 개인별 정보를 끄집어 낼 수 있는 평가도구를 소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평가결과를 지식공간론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이것으로부터 개인의 향후 학습지도를 위한 이정표를 제시하였다. 지식공간론은 수학이나 과학과 같이 비교적 위계관계가 강한 학문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구성하는 지식구조를 지식의 위계라는 관점에서 정확히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물리교육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처리 과정을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객관적 타당도를 높이고 많은 양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개개인에 대해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피드백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 성취도 평가 문항에 대하여 지식공간론을 적용하여 예비 물리교사들의 학년별 평가결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물리교육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KMS 활용을 통한 지식창조 기제 연구 : 몰입의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nowledge Creation with KMS Usage : Focusing on the Flow Theory)

  • 이지면;박기우;문준서;김종현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8권1호
    • /
    • pp.75-100
    • /
    • 2011
  • For decades, thousands of corporation introduc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to respond knowledge-based society. However, it seems that the systems merely focusing on knowledge accumulation and its sharing have been bounded by many restrictions in terms of new knowledge creation based on the life cycl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Moreover, recently, a variety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regarding organization, systems, and process is emphasized as a strategic asset for a corporation to create core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the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knowledge creation and the success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 virtual space. Prior studies argued that flow experience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creative knowledge creation. In that vein, this research revealed the causal relationships for flow experience between the determinants of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congruence of challenge and skill. Additionally, it empirically examined how flow experience affected the exploratory behavior of knowledge creation.

지리교과를 통한 시민성 교육의 내재적 정당화 (Intrinsic Justifica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Geography Subject)

  • 조철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54-472
    • /
    • 2005
  • 본 연구는 지리교과를 통한 시민성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민성'과 '시민성의 공간' 에 대한 내재적 정당화에 관한 논의이다. Peters의 지식의 형식과 입문으로서의 교육관에 따라 지리적 지식의 형식을 검토하여 시민성을 내재적으로 정당화하였다. 지리학은 탈실증주의 패러다임의 언어와 이데올로기의 도입을 통해 기존의 '공간' 중심에서 '인간'과 '사회'에 더욱 관심을 가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이는 다름아닌 시민성의 공간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즉, 사회공간이론을 통해 가치중립적인 물리적 공간 개념을 거부하고, 가치내재적인 '시민성의 공간'으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지식의 형식의 변화가 지리교과의 내용지식의 변화를 주도한다고 볼 때, 시민성은 내재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리교과의 내용지식으로서의 시민성은 사회과 교육목적을 그대로 수용하는 외재적 정당화가 아니라, 지리적 지식의 형식을 통해 내재적으로 정당화될 때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시민성 공간에 토대한 시민성이라는 가치와 신념으로의 입문으로서의 지리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어떤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관점을 가지고 나아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Middle School Students' Knowledge State Analysis about Light

  • Lee, Hyong-Jae;Ha, Ji-Seon;Park, Sang-Ta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45-1355
    • /
    • 2012
  • In this study, 15 evaluation questions about light were developed and presented to 30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n the theory of knowledge space was used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knowledge about light. Not only was the state of the students' knowledge about light intended to be measured by schematizing the knowledge hierarchy obtained; the data obtained were also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evaluation results, the individual knowledge state, and the hierarchy of quest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different knowledge structures were found in the individuals and groups, and it was determined that individuals and groups should be diagnosed differently. In addition, the implication that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each question and the individual knowledge state was drawn.

Ac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Heritage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 a Blended-Space Approach

  • Jang, Sun-Young;Kim, Sung-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2권4호
    • /
    • pp.8-16
    • /
    • 2016
  • This research proposes the composition logic of an Active Learning Environment (ALE), to enable discovery by learning through experience, whilst increasing knowledge about modern architectural heritage. Linking information to the historical heritag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elps to overcome the limits of previous learning methods, by providing rich learning resources on site. Existing field trips of cultural heritages are created to impart limited experience content from web resources, or receive content at a specific place through humaniti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blended space theory, an augmented space experience method for overcoming these shortages was composed. An ALE space framework is proposed to enable discovery through learning in an expanded space. The operation of ALE space is needed to create full coordination, such as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MS). It involves a relation network to provide knowledge to the rule engine of the CMS. The application is represented with the Deoksugung Palace Seokjojeon hall example, by describing a user experience scenar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