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information era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5초

IT서비스에 있어서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의 업무 및 역할 상호 평가 비교 연구 (Reciprocal Job and Role Assessments of Planners, Designers, and System Developers of IT Services)

  • 이동희;이정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1-79
    • /
    • 2022
  • In the rapidly changing era of knowledge revolution, user-centered IT services are emerging as a very important component of modern business. However, in order to lead IT services into success, traditional capabilities and competences are not good enough. Development of IT services involve service planners and designers as well as traditional systems developers. This detailed segmentation of job and corresponding competences among involved in IT service development brings in new type of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that may require special attention for IT services to be properly development and implement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define competences and roles of newly emerging job groups in IT services: planners, designers, and developers. In order to identify underlying competences of these emergeing groups, two stage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the first stage, general competence framework is developed across these groups with different skills for similar competence catogories. Using the categories developed at the first stage, members of each groups were asked to rate and assess the competences of other groups. Comparisons of these reciprocal assessment revealed the conceptual differences and biases across these groups. Detail differences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대면 및 비대면 프로그래밍 수업의 학생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udent Perceptions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Programming Classes)

  • 정인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341-348
    • /
    • 2021
  • 펜데믹 시대가 도래하면서 비대면 수업이 실시되고 있으며, 많은 교과에서 비대면 수업의 효과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프로그래밍 수업은 지식 전달과 실습을 겸하는 특성을 가진 과목으로 비대면 수업의 경우에 학생들의 인식면에서 어떤 특성을 보여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을 각각 실시한 후에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하였다. 수업에서의 질문과 응답 용이성, 수업 내용의 이해 및 수업에의 몰입에서는 전통적인 대면 수업이 좋다고 응답한 학생수가 많았으며, 실습 시간 확보 및 수업 제어 면에서는 비대면 수업이 좋다고 응답한 학생수가 많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수업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보안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직업분류체계별 정보보호 핵심지식 설계 (A Design on Information Security Core Knowledge for Security Experts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Framework)

  • 이효직;나원철;성소영;장항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3-125
    • /
    • 2015
  • 최근 발생하는 정보보안 사고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파속도나 그 피해규모 역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미래 환경이 산업융합의 시대로 발전함에 따라 가상의 사이버 환경이 물리적인 환경까지 확장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보안 위협이 발생하고 있다. 새롭게 대두되는 보안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기술 위주의 단편화된 보안인재를 넘어서, 기술적 보호와 물리적 보호를 관리적 관점에서 아우를 수 있는 다차원적 보안역량을 가진 보안전문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기술위주의 단편화된 정보보호 교육을 넘어서 산업융합 환경에 맞는 보안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직업분류체계별로 특색 있는 정보보호 교과목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직업군간의 이동시 추가로 교육이 필요한 교과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기술적 관점의 정보보호 교과목과 경영 관리적 관점의 정보보호 교과목의 조화로운 융합을 통해 산업융합 환경에 어울리는 다차원적 보안인력을 육성하고, 정보보호 직업군간의 이동 시 각 직업군별 핵심 지식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교육훈련과정을 개발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가상체험을 이용한 컴퓨터 학습 시스템 (Computer Education System using Simulation)

  • 안성옥;이순영
    • 공학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75-83
    • /
    • 2004
  •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발빠른 전 세계의 정보화를 경험하고 있다. 그에 따라 생활전반에 걸친 유통, 서비스품질들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면서 새로운 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의 사용은 현 기업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업무가 없을 정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가장 널리 퍼져 활발한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50대 컴퓨터 사용능력은 기업에서 요구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정작 그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 고객층인 40대 이후의 주부 및 50대 이상들의 인터넷 사용률은 컴퓨터의 조작 미숙으로 인해 비교적 낮은 상황이다. 제시하는 시스템은 지루한 텍스트 위주의 강의가 아닌 직접 도움말에 따라 실습을 해보는시뮬레이션기법의 가상체험 강의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한다. 또한 각 수강과목은 인터넷 시작/종료하기, 회원가입하기, 이메일 사용하기등 일반인들이 무시하기 쉽지만 미숙한 사용자에게는 두려운 부분까지 제시하여 좀 더 전문적인 강의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Recogni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f Science and Technician and Women's University Students

  • Hwang, Eui-Chu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59-165
    • /
    • 2018
  •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that keywords of the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science and Technician K women's university students, areas to prioritize in the strategy of 4th industry revolution, to research compare analyze the recognition of science technology such as the most necessary educ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and companies in Korea and abroad according to the technology trend requir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which area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urvey result shows different thoughts of science and Technician(KOFST) and the women university students. In the 1)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96% of former are interested, while 60% of latter are interested. And in the most used keywords, the former group used AI(24%), Fusion new industry(21%) the most, while the latter group used AI(34%), Robot(18%). And, 3) in the strategic priority, the science technology experts are interested in education, R&D system innovation(27%), Io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26%) and the university students are interested in Io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31%), AI(28%). Finally, 4) the science technology experts thought of Autonomous Vehicle(20%), 3D Printer(7%), AI(16%) important, while the women university students thought of AI(27%), VR/Augmented Reality(17%), and Autonomous Vehicle(16%) the most necessary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 need people with ability to solve complicated problems with creativity based on understanding and absorbing new knowledge and thinking of converged idea.

오픈 소스 엣지 컴퓨팅 플랫폼 분석: 구조, 특징, 비교 (Analysis of Open Source Edge Computing Platforms: Architecture, Features, and Comparison)

  • 임헌국;이희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985-992
    • /
    • 2020
  • 엣지 컴퓨팅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연산하는 곳이 멀리 떨어진 데이터센터에 있는 게 아니라, 단말 장치 혹은 게이트웨이와 같은 엑세스 포인트에 가까운 엣지 사이드에 컴퓨팅 능력 및 데이터 처리 능력을 부가함으로써 저지연/초고속컴퓨팅의 실현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엣지 컴퓨팅의 종류로는 Mobile edge computing, Fog computing, Cloudlet computing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엣지 컴퓨팅을 실제 구현/구축하기 위해 현존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들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분석한다. 각 오픈 소스 엣지 플랫폼에 대해 구조 및 특징들을 체계적으로 묘사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오픈 소스 엣지 플랫폼을 이용하여 실제 엣지 노드를 구축 하고자 하는 산업계 엔지니어들에게 사용 사례에 부합한 최선의 엣지 플랫폼을 선택 할 수 있도록 하나의 제반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취업준비를 위한 career map and course map 추천 시스템 (Career map and course map recommendation system for employment)

  • 권원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6-279
    • /
    • 2022
  • 4차 산업혁명은 지식의 생산속도가 빠르고 지식산업의 비중이 매우 증가하는 지식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이와 관련하여 디지털 혁명이 지속되고 있다. 신기술에 의한 산업구조의 재편과 직업·직무의 변화는 교육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고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경계가 없고 개별적이며 역동적인 교육이 새로운 교육의 표준이 되어 가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정규 과정 학위보다는 신기술에 관한 나노 학위(Nano Degree)나 핵심강좌에 집중된 마이크로 디그리(microdegree)에 대한 관심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유다시티(Udacity)는 직업과 연계된 온라인 나노디그리 과정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고, 주요 기업들과 협업하여 기업에 필요한 핵심 교육과정을 개발 및 교육함으로 기업의 인재 확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렇게 온라인 직업 및 직무 교육이 활성화되면서 이제 개인 스스로가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목표를 세우고 포트폴리오 방식의 지속가능한 학습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 졌다. 그러나 효과적인 직업 교육을 위해서는 자동화된 개인 맞춤형 교육컨텐츠 설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학습시대에 직업준비를 위한 개인 맞춤형 career and course map 추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4차 산업혁명시대 가정과교육의 역할 (Th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이은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49-161
    • /
    • 2019
  • 현재 우리는 지금까지 아무도 예측하지 못할 정도의 인공지능의 발달과 빠른 기술혁신에 따른 4차 산업혁명시대로의 변화시점에 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로의 변화에 따라 가정과교육은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의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의 특징과 교육의 방향에 따른 가정과교육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사물인터넷(IoT), 빅 데이터(Big Data), O2O(Online to Offline) 등으로,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사회체제와 과학기술, 그리고 직업의 구조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그 과정에서 비인간화되어가는 현상, 로봇과 인공지능의 발전에 따른 인간의 도덕성과 윤리적인 면에 문제를 줄 수 있기 때문에,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의 방향은 미래 공동체를 위해 함께하는 인성과 시민의식을 갖춘 미래 인재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총체적인 변화가 모색되어져야 한다. 또한 초지능, 초연결 사회로의 변화를 가져올 4차 산업혁명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인간이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스스로 내면화하도록 교육의 역할이 강조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인성교육은 교육과정의 통합 속에서 개념이 정립되고 보편타당한 내면화된 의식으로 자리 잡아야 하며 구체적인 실천적 전략들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 가정과교육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시대 가정과교육은 인간의 본성인 인성교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인성교육을 주도적으로 담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시대 가정과교육은 인간의 다양한 삶의 본질적인 개선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은 인간의 정신적, 육체적 활동뿐만 아니라, 인간의 정체성도 바뀌어 갈 것이다. 3차 산업혁명 이후의 사회에서는 산재해 있는 지식을 얼마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습득할 수 있느냐가 중요했다면 4차 산업혁명의 지능정보화사회에서는 빠른 변화 속에서 인간의 본성을 지키기 위해 지식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배우는 것이 요구된다. 이렇듯 4차 산업혁명은 우리 삶을 형성하는 시스템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가족과 조직, 공동체를 긍정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방향성을 모색하게 되는데 가정과교육이 이러한 역할을 선도적으로 담당해야 한다.

웹사이트 평가지표에 기초한 지역축제 웹사이트 분석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Local Festival Based Upon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Website)

  • 우찬복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3-209
    • /
    • 2003
  • 본 연구는 지역축제 정보를 담고 있는 웹사이트들의 효율적인 운영 및 활용의 입장에서 지역축제 웹사이트를 평가지표를 새롭게 구성하여 정량적 평가모델에 의해서 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평가지표모델은 국내외의 웹사이트 평가 및 관광, 호텔 웹사이트 평가와 관련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평가기준(criteria)을 종합하여 공통적인 것을 하나의 영역으로 그룹화하고 재분류과정을 통해서 디자인(design), 인터페이스(interface), 축제정보(contents),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D-1-C-C라는 총 4개의 평가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영역은 다시 세부측정항목 39개를 도출하여 평가하였다. 지역축제 관련 웹사이트의 보다 객관적인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2년 문화관광부가 지정한 29개 문화관광축제를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지방자치단체 웹사이트와는 별개로 독자적인 도메인을 가지고 축제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영암왕인문화축제, 대구약령시축제, 춘천국제마임축제, 세계태권도문화축제, 고성공룡나라축제,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금산인삼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부산자갈치문화관광축제 등 9개의 축제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Unified Policy of the Public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

  • 곽동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5-47
    • /
    • 2016
  • 21세기는 지식정보화의 시대이자 교육과 문화의 세기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의 중심에 있는 공공도서관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공공도서관은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위한 베이스캠프로서 학문과 문화의 저수지이다. 최근 이러한 공공도서관이 도서관 관련 법규도 준수하지 못하는 열악한 상태에서 행정체계 일원화 추진과 함께 도서관계의 큰 이슈로 대두되면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행정체계 일원화 추진에 대한 제반 주장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공공도서관 일원화 논의의 전개과정을 고찰하였고, 둘째, 공공도서관 일원화의 쟁점과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셋째, 공공도서관 일원화 관련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