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wifruit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6초

저장온도에 따른 한국산 양다래(Actinidia deliciosa)의 화학적 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Kiwifruit(Actinidia deliciosa) by Storage Temperature)

  • 김정민;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18-622
    • /
    • 1997
  • 한국산 양다래를 시료로 하여 수확 후 저장 온도를 각각 $0^{\circ}C,\;5^{\circ}C,\;20^{\circ}C$로 하여 7주 동안 저장하면서 이에 따른 양다래의 화학성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0, $5^{\circ}C$ 시료의 경우 수분의 함량은 $85{\sim}86%$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면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20^{\circ}C$ 시료의 경우 함량의 증가를 보였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0^{\circ}C,\;5^{\circ}C$ 시료는 증가하였고, $20^{\circ}C$ 시료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들의 함량은 $11{\sim}14\;^{\circ}Brix$를 유지하였다. pH와 적정산도는 $0^{\circ}C,\;5^{\circ}C$ 시료와 $20^{\circ}C$ 시료에서 모두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pH의 경우 $3{\sim}3.5$의 값을 나타냈으며, 적정산도는 $1{\sim}1.5$ 사이의 측정치를 나타냈다. 유기산의 함량변화는 malic acid, quinic acid의 경우 모든 저장시료에서 증가하였으며, citric acid는 6주동안 급격하게 상승하였다가 6주가 경과하자 급격히 함량이 감소하였다. $20^{\circ}C$에서 저장한 시료의 경우는 $0^{\circ}C$$5^{\circ}C$ 저장시료와 그 변화의 패턴이 일치하였다. 유리당의 함량은 $0^{\circ}C$$5^{\circ}C$ 저장시료의 경우 glucose, fructose 그리고 sucrose는 대부분 시료에서 증가하였으며, $20^{\circ}C$ 저장 시료는 glucose와 fructose는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sucrose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

  • PDF

지구온난화에 따른 제주도 내 참다래 개화일의 지리적 이동 (Geographical Shift in Blooming Date of Kiwifruits in Jeju Island by Global Warming)

  • 권영순;김수옥;서형호;문경환;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79-188
    • /
    • 2012
  • 제주도의 새로운 소득 과수인 참다래 '헤이워드'를 대상으로 IPCC의 미래 시나리오 기후조건에서 개화기 분포를 정밀하게 추정함으로써 도내 재배적지의 지리적 이동을 가시화 하였다. 개화기 예측을 위해 휴면시계모형과 발육속도모형을 각각 '헤이워드' 품종에 맞도록 조정하였으며, 시공간적으로 독립적인 자료(해남 2006-2009, 제주 2010-2011)에 의해 검증한 결과 개화일 추정오차는 RMSE = 2.5일(휴면시계모형)과 4.0일(발육속도모형)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현재평년(1981-2010) 기온 및 A1B 시나리오에 따른 10년 단위 미래 기온을 종관기상자료와 공간기후추정기술에 의해 상세 격자형 분포도로 제작하였다. 일별 기온분포도를 이용하여 휴면시계모형을 구동시켰으며 그 결과를 30m 해상도의 상세 개화일분포도로 가시화 하였다. 이 모의결과에 따르면 미래로 갈수록 현재평년에 비해 개화일이 앞당겨지는 한편, 저온요구도의 부족으로 개화불량인 지역이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개화기에 근거한 재배적지의 면적은 가까운 미래에는 증가하지만 먼 미래로 갈수록 급격히 줄어들어 21세기 말에는 현재의 절반이 될 것이며, 같은 기간 재배적지는 해안지대로부터 해발 250m 정도 한라산 방향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참다래를 가해하는 해충과 우점종인 열매꼭지나방의 가해특성 (Investigation of Insect Pests and Injury Characteristics of Stathmopoda auriferella (Walker) on Kiwi Fruit Tree)

  • 박종대;박인진;한규평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8-152
    • /
    • 1994
  • 1991~1993년에 참다래 집단 재배지역인 전남 남부해안지방을 중심으로 참다래를 가해하는 해충과 우점종인 열매꼭지나방의 가해특성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 해충은 총 12과 13종이 조사되었으며 그중 열매꼭지나방과 뽕나무깍지벌레가 우점종이었다. 열매꼭지나방 의 태별크기는 난이 0.12mm, 종령유충이 9.8mm, 용이 5.9mm 그리고 성충의 날개편 길이는 12.3mm이었다. 열매꼭지나방에 의한 피해과율은 평균 45.9%이었으며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성충은 연 2회발생하며 1회는 5월하순~7월중순 , 2회는 8월중순~9월상순으로 최성기는 각각 6월상중순, 8월하순이었다. 시기별 유충과 용의 비율은 7월상순에서 100:0이었다. 중순은 96.1:3.9, 하순은 64.9:35.1 이었고 8월 상순에는 19.8:80.2, 중순은 0:100이었다. 또한 피해과는 7월상순에 4.6%로 처음 발견되었으며 7월중순 이후에는 40%이상으로서 이 시기의 피해가 당년의 피해정도를 결정하였고 가해하는 부위는 과정부가 70%, 과경부가 11.1%이었으며 품종별로는 국내 주 지배품종인 헤이워드 32.2%, 몬티 22.2% 향록 13.9%, 아보트 9.3%. 브로노 6.0% 이었다.

  • PDF

LC/MS/MS를 이용한 국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by LC/MS/MS)

  • 김미옥;황혜신;임무송;홍지은;김순선;도정아;최동미;조대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64-675
    • /
    • 2010
  • 국내 유통 농산물 16품목을 대상으로 LC/MS/MS로 분석 가능한 다종다성분 농약 60종을 검사하여 식품의 잔류농약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농산물 510건 중 대부분의 농산물인 490건(96.1%)의 농산물은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18건(3.5%)의 농산물에서 농약이 검출되었으나,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들깻잎, 부추 등 엽채류의 검출빈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었고, 시금치, 부추에서 각각 ethaboxam, fluquinconazole이 잔류허용기준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검출 농약은 9종이었으며, azoxystrbin과 dimethomorph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쌀 등 16품목의 다소비 농산물을 대상으로한 모니터링 결과 농약의 잔류량은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농산물에 대한 농약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Pd/ZSM-5 촉매와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과와 키위의 상온 저장 안정성 향상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of Apple and Kiwi at Room Temperature Using Pd/ZSM-5 Catalyst and Nonthermal Plasma)

  • 김승건;이호원;목영선;유승민;전형원;김성봉
    • 공업화학
    • /
    • 제32권5호
    • /
    • pp.547-55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촉매-플라즈마 반응기를 농산물(사과, 키위) 저장고에 적용하여 저장 중 발생되는 에틸렌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1 m3 유닛 컨테이너 2개를 제작하여 에틸렌을 처리하지 않는 대조군과 발생하는 에틸렌을 촉매와 플라즈마에 의해 처리하는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상온에서의 장기 저장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실험군에는 곰팡이 등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소량의 오존을 주입하였다. 상온에서 사과와 키위를 각각 50 day와 57 day 동안 저장하여 에틸렌 농도 변화, 경도, 당도, 산도, 및 손실율을 비교하였다. 저장기간 동안의 에틸렌 농도 변화는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해 높게 나타나 실험군에서 에틸렌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후의 경도, 당도 및 당산비는 저장 전에 비해 좋게 나타났으며, 특히 키위가 사과에 비해 높게 향상하였다. 또한 저장 종료 후, 대조군에서 사과와 키위의 손실율은 각각 10%와 54.1%로 나타났으나, 실험군에서의 손실율은 각각 6%와 34.8%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군의 저장성이 대조군에 비해 좋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