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ds of sugar

검색결과 389건 처리시간 0.023초

성숙기에 따른 대추잎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Jujuba Leaf during Growth)

  • 김청;박정륭;김종배;차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05-510
    • /
    • 1999
  • 대추잎의 유용식물자원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확시기별 대추잎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추잎의 단백질 함량은 4.42~6.31%로서 수확시기가 늦어지면서 단백질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지방 함량은 4.31~5.71%로서 점차 증가하였다. 대추잎의 아미노산 조성은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glutamic acid, leucine순이었으며 methionine이 제한 아미노산이였다. 대추잎에 존재하는 유리당으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 4종류로 나타났으며 sucrose의 함량은 성장후기로 갈수록 급격히 감소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가 40% 정도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으며 다음으로 linolen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순으로 함유되어 이들 4종의 지방산이 전체 지방산 함량의 약 90%를 차지하였다. 대추잎의 무기질 함량은 K, Na, Ca의 함량이 특히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고, Fe, Mn, Cu의 함량은 아주 낮게 나타났다. 잎의 수확시기가 늦어지면서 Ca, Na 함량은 현저히 증가한 반면 Mg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K, Mn, Fe, Zn, Cu의 함량은 변화가 없었다.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0.83~0.89%, 축합형 탄닌함량은 0.40~0.45%로서 축합형 탄닌이 총페놀 화합물의 약 50%를 차지하였고 수확시기에 따른 함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추잎에는 rutin과 isoquercitrin 2종의 flavonoid 성분이 존재하였고 각각의 함량은 103.8~125.2mg/kg, 26.2~40.0 mg/kg으로서 수확시기에 따라 rutin의 함량이 isoquercitrin보다 약 3~4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 PDF

식생활(食生活) 관행(慣行)에 관한 한.일(韓.日) 양국(兩國)의 비교(比較) (Comparision on the Habitual Practice of Dietary Life in Korea and Japan)

  • 김혜자;박정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21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uccessive habitual practice of dietary life and all the educational tasks for the purpose of activating with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Japan. The reesults are as follows. Housewives in both countries prepare ${\ulcorner}the\;same\;menu{\lrcorner}$ for dinner about 65%. ${\ulcorner}The\;rate\;of\;domestic\;manufacturing\;of\;preservated\;food\;{\lrcorner}$ is superior in Korea. ${\ulcorner}Goch'ujang{\lrcorner}$ is made by the 92% of Koreans, ${\ulcorner}Doenjang{\lrcorner}\;89%,\;{\ulcorner}Ganjang{\lrcorner}\;48%,\;{\ulcorner}Oiji{\lrcorner}\;44%\;and\;{\ulcorner}Kimchi{\lrcorner}\;40%.\;{\ulcorner}Umeboshi{\lrcorner}$ is made by the 65% of Japanese, ${\ulcorner}Rakkyo-Zuke{\lrcorner}\;37%,\;{\ulcorner}Kajitsu-syu{\lrcorner}\;40%,\;and\;{\ulcorner}Miso{\lrcorner}$ 27%. Two countries' common seasonings are ${\ulcorner}Ganjang{\lrcorner},\;{\ulcorner}Salt{\lrcorner},\;{\ulcorner}Chemical\;condiment{\lrcorner},\;{\ulcorner}Sugar{\lrcorner},\;{\ulcorner}Pepper{\lrcorner},\;{\ulcorner}Doenjang${\lrcorner}\;and\;{\ulcorner}Vinegar{\lrcorner}$. Koreans use the traditional seasonings, and in addition flavoring vegetables and oil which is Korea's own characteristic. Japanese use western seasonings frequently besides traditional seasonings. ${\ulcorner}Mother's\;representative\;food{\lrcorner}$ as home dish are conscentrated on each count's native food. ${\ulcorner}Kimch'i\;lyu{\lrcorner}$ is made by the 42% of Koreans, ${\ulcorner}Doenjangchigae{\lrcorner}\;39%,\;{\ulcorner}Dakgangjong{\lrcorner}\;31%,\;and\;{\ulcorner}Saongsonmaeuntang{\lrcorner}\;19%.\;{\ulcorner}Misoshiru{\lrcorner}$ is made by the 83% of Japanese, ${\ulcorner}Nishime{\lrcorner}\;76%\;and\;{\ulcorner}Nikujaga{\lrcorner}$ 38%. Korea has more diverse kinds of food. People eat out ${\ulcorner}when\;they\;have\;special\;home \;events{\lrcorner},\;{\ulcorner}when\;they\;would\;like\;to\;do{\lrcorner},\;and\;{\ulcorner}when\;they\;are\;going\;out{\lrcorner}$, It means that to eat out is one of the daily dinning styles. Therefore, for those who are engaged in eating house business it is necessary to form their righteous view of evaluation. Koreans learn more various items of table manner than Japan, which are the symbols of dietary culture. ${\ulcorner}Carriage{\lrcorner}\;and\;{\ulcorner}Eating\;politely{\lrcorner}$ are common items. The extent to which ${\ulcorner}people\;practice\;table\;manner{\lrcorner}$ and to which ${\ulcorner}people\;think\;of\;it\;as\;being\;worth\;practicing{\lrcorner}$ are high in Japan than Korea.

  • PDF

종국(種麴)의 종류(種類)가 간장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ffect of Seed Koji for the Soysauce Qualities)

  • 이석건;이택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3호
    • /
    • pp.155-161
    • /
    • 1976
  • 종국(種麴)의 종류(種類)를 달리하여 제국(製麴)한것으로 담금하여 발효과정중(醱酵過程中)의 효소활성(酵素活性), 미생물균수(微生物菌數), 일반성분(一般成分), 질소용해율등(窒素溶解率等)의 변화(變化)에 대(對)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간장 발효중(醱酵中)의 중성(中性) 및 alkali성(性) protease의 활성(活性)은 발효기간(醱酵期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실활(失活)되였고 세균함유종국구(細菌含有種麴區)가 더욱 현저하였다. (2) 간장 발효중(醱酵中)의 미생물균수(微生物菌數)는 발효기간(醱酵期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각시험구(各試驗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특히 세균함유종국구(細菌含有種麴區)가 현저하였다. (3) 일반성분중(一般成分中) TN, amino-N. ammonia-N 등은 발효기간(醱酵期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alcohol, 유리환원당, 순고형물(純固形物) 등은 발효초기(醱酵初期)에 다소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세균함유종국구(細菌含有種麴區)는 타시험구(他試驗區)에 비(比)하여 ammonia-N의 함량(含量)이 높았으나 pH는 낮은 편이였다. (5) 질소용해율(窒素溶解率) 및 관능검사의 결과(結果) 순수종국구(純粹種麴區)가 가장 좋았으며 세균함유종국구(細菌含有種麴區)가 가장 불량(不良)하였다.

  • PDF

참외 저급과 주스의 청징화를 위한 효소처리 조건 (Enzyme treatment for clarification of spoiled oriental melon juice)

  • 장세진;조용준;서지형;김옥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06-511
    • /
    • 2014
  • 경북 성주지역에서는 참외의 재배과정 중 연간 수백 톤의 저급과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활용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품질 참외 농축액 제조를 위하여 효소처리에 따른 참외 주스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참외 주스에 3종의 효소제를 여러 첨가수준으로 처리한 결과 pectinase와 cellulase를 혼합한 복합효소제를 0.01% (v/v) 처리한 PECE(I)에서 갈색도 및 탁도가 각각 0.16 및 0.01로 낮았고 L값은 97.00으로 높은 편이었다. 유리당으로 fructose, glucose, sucrose가 검출되었으며 sucrose가 약 4,000 mg%로 주요 유리당으로 나타났다. 복합효소제의 처리시간을 달리한 경우 60분 처리구에서 갈색도 및 탁도가 각각 0.15, 0.01로 낮고 L값이 97.25로 높은 경향이었다. 효소처리 온도에 따른 품질은 $50^{\circ}C$$60^{\circ}C$ 처리구에서 갈색도와 탁도가 낮은 편이었으나 $60^{\circ}C$$70^{\circ}C$ 처리구에서 L값이 높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 참외 주스의 가공시 pectinase와 cellulas를 혼합한 복합효소제를 0.01% (v/v) 첨가하여 $60^{\circ}C$에서 60분간 처리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산간지(山間地) 농촌주민(農村住民)의 영양실태조사(營養實態調査) (Nutrition Survey in a Korean Mountainous Farming Area)

  • 함정례;김영수;이기열;김영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6권3호
    • /
    • pp.37-45
    • /
    • 1973
  • The main character of the Korean diet has been found to be low in protein both quantity and quality and high in carbohydrate.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study the amount of salt intake related to the dietary pattern in Korea. The nutrition survey was conducted in a mountainous farming area located in Auhchun-ri, Gaebuk-myon, Changsoo-gun, Chunbuk Province, February 14-19 in 1973 (7 days). The precise weighing method was used in evaluating the kinds of foods and nutrients intake for 24 households during a three day period. The phys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by a doctor on 120 persons and a detailed biochemical test on both blood and urine was made on 42 persons over 40 years ol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verage nutrients intake of an adult per day: calorie intake was 2,446 Cal and its components-protein(61.1g) was 10 percent, fat(12.9g) was 5 percent and carbohydrate(521g) contributed 85 percent of the total calories. Other nutrients-calcium (443mg), thiamine(1.09mg), riboflavin (0.90mg), niacin (14.4mg) and vitamin C (63.2mg) were lower than the recommended daily allowance but vitamin A(2,083 I.U.), iron(11mg) and phosphorous(998mg)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2) To evaluate the nutritional deficiences, clinical examinations were conducted. Angular stomatitis was present in 16.7 percent of those examiners. No edema was found. The rate of osteoarthritis, hepatomegaly diseases appeared in 20 percent of the total subjects and the symptoms appeared highest among those Iron 50 to 59 years old. (3) The following chemical components of blood serum were analyzed and found to be within the normal range: glucose, blood urea nitrogen, uric acid, total protein, albumin, globulin, bilirubin, total cholesterol, inorganic phosphate, alkaline phosphatase, sodium, potassium, chloride, calcium and lecithine dehydrase. One case of each of the following were found: hyperglycemia, hypocholesterolemia, renal problem, hypoproteinaemia and diabetes mellitus, and two persons were classified as showing hypoglycemia and hyponaturemia. (4) The sodium content in urine was 199.6 mEq/L, potassium content was 24.6 mEq/L. The sugar, pH and specific gravity in the urine was shown to be normal.

  • PDF

배지의 철이온과 pH 변화에 대한 인삼모상근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Hairy Roots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to Iron Status and pH Change)

  • 양덕조;윤길영;김용해;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37
    • /
    • 2000
  • 인삼 (Panax ginseng C.A. Meyer)의 뿌리로부터 유도한 모상근의 proton 방출은 철이온의 결핍 또는 nitrate나 ammonium이온에 의해 증가되었다. 철이온 결핍에 의한 수소이온 방출의 증가는 정단 조직에서 나타나는 반면에 nitrate와 ammonium 이온에 의한 수소이온 방출은 기저부위에서 높게 나타났다. 배지의 pH변화에 따른 무기이온의 흡수는 무기이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나타냈다. $Ca^{2+}$, $Mg^{2+}$ 그리고 Fe$^{2+}$ 는 pH 4.8 에서 가장 높은 흡수를 나타냈으며, Mn$^{2+}$, $Zn^{2+}$ 그리고 Cu$^{2+}$ 는 pH 3.8에서 가장 높았다. HPLC를 이용한 유리당 및 ginsenoside분석에서, 인삼모상근 유리당 구성의 주성분은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 였으며, glucose와 fructose는 pH 6.8에서 sucrose는 pH 4.8 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반면에 ginsenosides와 phenolic compound의 함량은 MS 배지의 표준인 pH 5.8 에서 가장 높았다. pH 변화에 대한 인삼모상근의 이러한 생리적 반응은 인삼근의 적변유발과 관련된 무기이온의 mobilization 및 흡수기작의 구명을 위한 모델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다양한 고구마를 이용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akgeolli Manufacture Using Several Sweet Potatoes)

  • 천지은;백무열;최성원;김창남;김병용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9-34
    • /
    • 2013
  • 국내산 고구마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고구마 막걸리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고구마 막걸리 제조 방법 선정과 믹스쳐 디자인을 이용한 고구마 막걸리의 최적 배합비를 산출하였다. 엿기름 첨가 유무에 따른 혼합당화, 분리당화발효법을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한 결과, 동시당화발효를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하는 것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최적의 고구마 막걸리 배합비를 구하기 위하여 쌀, 고구마, 물 세 가지 재료 요인으로 mixture design을 이용하여 다양한 배합비를 결정한 후,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고구마 막걸리의 선호도,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통계적 모델링과 분석을 하였고, trace plot 및 contour plot을 이용하여 각 재료의 함량이 반응값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의해 예측된 고구마 막걸리의 최적 배합비는 15.11(쌀) : 44.89(고구마) : 40(물)이었으며, 이 배합비에 따른 반응값의 예상치는 선호도 6.17, 총 폴리페놀 함량이 414.95 mg GAE/${\ell}$,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8.02%로 예측되었다. 최적배합비를 바탕으로 일반고구마, 호박고구마, 자색고구마를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한 결과, 호박고구마 막걸리의 알코올 함량이 5.8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자색고구마 막걸리>호박고구마 막걸리>일반고구마 막걸리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채취시기에 따른 참다래와 야생다래의 수액특성 및 화학 성분변화 (Seasonal Changes in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nents of Xylem Sap from 'Hayward' and Wild Kiwifruit Species)

  • 박용서;나택상;김승화;임동근;나양기;임근철;정순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1호
    • /
    • pp.11-14
    • /
    • 1999
  • 참다래 및 야생다래에서 수액 채취시기에 따른 수액특성, 수액내 유리당, 무기물 및 아미노산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참다래 및 야생다래에서 수액 채취시기에 따른 수액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심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액내 수분함량, 당도, 점도 및 pH는 두 종간 차이가 없었으나 산함량 및 탁도는 야생다래보다는 참다래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당은 참다래에서 fructose, glucose, sucrose, galactose, manitol이 함유되어 있었고 야생다래에서는 fructose, glucose가 함유되어 있었는데 당의 대부분은 fructose였다. 수액내 주요 무기물은 칼슘, 카리 및 마그네슘으로 칼슘함량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다. 두 종에서 각각 17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이들중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ysine 및 isoleucine이었는데 이중 glutamic acid함량이 가장 높았다. 참다래에서 histidine, methionine과 tylosine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야생다래에 비해 높았다. 무기물 및 아미노산함량은 수액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반면 유리당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액의 품질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액채취량은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효모에 따른 약주의 품질특성 2. 발효과정중 약주의 품질특성 (Characterization of Yakju Prepared with Yeasts from Fruits 2.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during Fermentation)

  • 양지영;신귀례;김병철;김용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01-804
    • /
    • 1999
  • 전보에서 과실로부터 분리한 에탄올 생성능과 향기생성능이 우수한 2종의 균주(Saccharomyces cerevisiae S-2와 Saccharomyces cerevisiae S-6)와 Saccharomyces cerevisiae IFO 1950을 이용하여 약주 제조시 주모로 첨가하여 약주의 품질특성을 분석하고 효모가 약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Saccharomyces c cerevisiae S-2, Saccharomyces cerevisiae S-6과 Sac­charomyces cerevisiae IFO 1950의 발효과정 중 pH의 변화는 경시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발효 8일 후에는 S-2균주는 pH 3.0, S-6균주는 pH 2.9, IFO 1950은 pH 3 3.3으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도의 변화는 발효 개시후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발효 8일 이후에는 S-2는 4.8ml, IFO 1950은 4.3ml를 나타내었다. 그러 나 S-6균주는 8.7ml로 다른 균주에 비해 거의 두배정도 높은 산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S-6의 citric acid와 lactic acid의 함량이 다른 두 균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낸 것에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세가지의 균주에서 발효된 약주에서는 공통적으로 glucose와 maltose가 검출되었고 S-6균주의 약주는발효기간전체에 걸쳐 유리당이 검출 되어 다른 두 균주에 비해 발효능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것은 에탄올 함량변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압출성형이 인삼의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usion Process on the Change of Components in Ginseng)

  • 유병희;최미정;정구춘;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1-4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수용성 물질의 추출 수율을 높이고 압출 온도가 ginsenoside 및 당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압출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압출성형 백삼의 추출수율과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삼의 증류수 추출 수율은 압출성형 백삼이 가장 높았으며 백삼이 가장 낮았다. 압출 성형백삼의 경우는 압출 온도가 높을수록 추출 수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증류수 추출시 80% 에탄올 추출시보다 추출수율이 증가하였다. 조사포닌 함량은 압출 성형 백삼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압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사포닌 함량도 증가하였다. 11종의 총 ginsenoside함량은 홍삼이 가장 높았다. 백삼에서는 R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홍삼에서는 Rg1, Rg3, Rb2가 가장 높았다. 압출성형 백삼에서는 Rg2, Rh1 및 Rh2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인삼의 유리당 함량은 홍삼이 가장 높았으며 압출 성형 인삼이 가장 낮았다. 인삼의 명도(L)값은 백삼이 가장 높았으며 압출 성형백삼이 가장 낮았다. 적색도(a)와 황색도(b) 값은 압출성형 백삼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실험에서 압출 성형 백삼은 정수로 추출 시 추출 수율이 백삼에 비해 25%이상 높았고, 조사포닌 함량도 약 20% 높았다. 또한 Rg2, Rh1, Rh2, Rg3의 ginsenoside 함량이 백삼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이는 압출 성형 백삼을 이용하여 제품 개발 시 높은 추출 수율, 사포닌 함량이 높은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결과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