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mchi ingredients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1초

부산.경남지역의 향토 별미김치 종류와 특징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pecial Kimchi in Pusan and Kyungnam Province)

  • 이숙희;이경임;한지숙;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34-743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mmarize the known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pecial kimchies in Pusan and Kyungnam province. The taste of kimchi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within Korea. In the southern part of the country, where the weather is much warmer, more salt is added along with salted anchovy(Myulchi Jeot), and the kimchi is less juicy and richer in flavor. More than 180 different varieties of kimchi are reported in Korea, but there are 30~40 different kinds of kimchi in Pusan and Kyungnam province depending on the main ingredients are known. Puchu kimchi(leek kimchi), Uung kimchi(burdock kimchi), Kongnip kimchi(soybean leaf kimchi) are the typical traditional special kimchi in Pusna and Kyungnam province. Todays, dietary cultures has been gradually changed, and diminished the local characteristics. Also, these tendency appears in the taste of the traditional special kimchi. However, it still remains the distinciton in the taste, ingredients and the methods of preparation of kimchies of Pusan and Kyungnam province. In this paper, the dispersed informations on the kinds, characteristics,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special kimchies known in literatures and inherited persons in Pusan and Kyungnam province were tried to put together.

  • PDF

김치양념과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두부의 항산화 활성, 이소플라본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Isoflavone and Free Amino Acid Content of Fermented Tofu with Kimchi Ingredients and Lactic Acid Bacteria)

  • 강경명;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6-101
    • /
    • 2013
  • 김치양념과 두부를 혼합한 유산발효기법을 이용한 발효두부의 항산화 활성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유산균을 접종하지 않은 김치양념에 침지한 두부(control), 유산균을 접종(2%, v/v)한 김치양념에 침지한 두부(TL, tofu and kimchi ingredients with lactic acid bacteria)와 유산균를 접종하여 $37^{\circ}C$에서 24시간 발효시킨 김치양념에 침지한 두부(TPL, tofu in pre-fermented kimchi ingredients with lactic acid bacteria)의 발효기간 중 total polyphenol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그중 TPL구가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TPL구가 발효 12주에 84.1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 역시 TPL구가 각각 57.40%, 26.05%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 polyphenol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SOD 유사활성이 가장 우수한 TPL구의 isoflavone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isoflavone은 발효 전에 비해 30% 증가하여 2.34 mg/g이었다. 유리아미노산 역시 발효 전 1.51 mg/g에서 발효 14주에 TPL구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0.81 mg/g으로 발효 전에 비해 92% 증가하였다.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5.55 mg/g이었으며, 전체 아미노산의 27% 수준이었다.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lysine (1.24 mg/g)> leucine(1.20 mg/g)> valine(0.92 mg/g)> phenylalanine(0.78 mg/g)> isoleucine(0.65 mg/g)> threonine(0.50 mg/g)> methionin(0.26 mg/g) 순으로 나타났다.

콜롬비아 커피의 지리적 표시 활용 전략을 통해 본 지리적 표시의 상업적 의의와 김치의 지리적 표시제 개선 방향 (Understanding the commercial significance of geographical indicat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Korean kimchi through the example of Columbian coffee)

  • 송영주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4권4호
    • /
    • pp.268-277
    • /
    • 2021
  • A geographical indication (GI) is a sign used on products that have a specific geographical origin and possess qualities or a reputation that are due to that origin. This paper explores ways to protect Korean goods as GIs in the U.S. and EU by examining the efforts of the Colombian Coffee Federation (FNC) to protect Colombian coffee. The FNC enhanced the global awareness of Colombian coffee and increased the profits of Colombian coffee producers by registering Colombian coffee as a certification mark in the U.S. and as a GI under the EU's quality schemes. The Korean government protects kimchi under its own GI system. For kimchi products to earn the label "Korean kimchi," the three main ingredients must be produced in Korea. This has been a challenge for kimchi producers, who often rely on imported ingredients. Korea could learn from FNC's strategies to improve the current GI system for kimchi.

시판 김치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 구매 경험이 있는 전북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Purchase Behavior of Kimchi on Sale - Focusing on Housewives in Jeonbuk Area Who had Purchase Experience -)

  • 김현덕;송영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38-446
    • /
    • 2013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urchase behavior of Kimchi products by surveying housewives in Jeonbuk area who have purchased Kimchi products. The studied consumers purchased Kimchi products for the convenience and time-saving aspects. Factors taken into account when purchasing Kimchi were hygiene, taste and ingredients. The main places of purchase for Kimchi products were large discount markets. The purchase information paths were product displays at stores and recommendations from acquaintances. The most purchased type of Kimchi products was cabbage Kimchi. An one-time purchase amount was 10,000~30,000 won. The most purchased size was to be 500 g~1 kg. Desired improvements for Kimchi products were a display of the ingredients origin, exclusion of monosodium glutamate, freshness, and hygiene.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aids in analyzing the marketing mix (4P: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of Kimchi products for Kimchi manufacturers.

A Study on Wooung(Burdock, Arctium Iappa, L) Kimchi-Changes in Chemical, Microbial,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Wooung Kimchi during Fermentation

  • Han, Ji-Sook;Cheigh, Mee-Jeung;Kim, Seong-Joon;Rhee, Sook-Hee;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1호
    • /
    • pp.30-36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hemical, microbial,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wooung(burdock, Arctium lappa, L)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15$^{\circ}C$, Three types(A, B, C) of wooung kimchi were prepared. Sample A was prepared with basic ingredients, in the other hand, sample B was prepared with all sorts of ingredients. These samples were mixed after salting the sliced burdock with 4% brine for 30min. Sample C was prepared mixing with all sorts of ingredients after blanching the sliced burdock with 2% vinegar solution. pH decreased slowly until 3 day, and then decreased rapidly for 4~7 days in all samples. Total acidity increased gradually in all samples. The changes of pH and total acidity were the sample C and were the greatest in sample B. The reducing sugar contents decreased slowly until 7 day, and decreased rapidly for 8~14 days in sample A and B, and at 10 day in sample C, respectively. The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otal bacteria of sample B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of other sample. In sensory evaluation, sample B exhibited the best scores and sample C showed the worst scores in all characteristics.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in wooung kimchi were identified as ethanol, hexanal, 2-hexenal, disulfide dl- 2-prophenyl, zingiberene and $\beta$-sesquiphellandrene. The relative amounts of hexanal, 1-hexanol and ethanol were decreased, while the relative amounts of acetic acid ethyl ester, 3-htdroxy-2-butanone and acetis acid were increased gradually during fermentation.

  • PDF

국내 소비자들의 김치 소비 실태 연구 (A Survey on the Nationwide Customers' Usage of Kimchi Consumption)

  • 김주현;윤혜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99-307
    • /
    • 2012
  • In this study, Kimchi usage was examined by nationwide consumers. 1,000 consumers between 20~60 years olds from 15 cities/province based on an administrative district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which were one-on one interviews from September 23th to October 14th, 2009. 76.1% of the customers prepared Kimchi by them self, 26.9% customers received Kimchi from relatives and, 13.1% purchase Kimchi from the market. In addition, the rate of preparing Kimchi by themselves increased with age(p<0.05). 4~6 cabbage heads(34.5%) was the most preferred quantity for preparing Kimchi at a time, which was followed by more than 10 heads(25.2%) and 2~3 heads(22.9%). Chinese cabbage Kimchi was the most preferred type for purchase. 49.1% of customers purchased Kimchi at the supermarket and warehouse market and the origin of the ingredients, taste and-, price of Kimchi wer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The satisfactory scores of selling Kimchi were variety 3.60, taste 3.11, freshness of main ingredient 3.10, hygiene 2.86, -appropriate salt usage 2.99 and-, the origin of ingredients 2.9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in taste and hygiene of selling Kimchi (p<0.05). In conclusion, to provide more appropriate Kimchi based on changes in Kimchi usage and consumption patterns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new types of Kimchi should be developed.

문헌에 나타난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 제조 방법의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of Young Radish Kimchi (Yulmoo Kimchi) and Young Radish Watery Kimchi (Yulmoo Mool-Kimchi) in Literatures)

  • 공창숙;김도경;이숙희;노치웅;황해준;최경락;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6-130
    • /
    • 2005
  • 조리서 및 문헌을 통해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의 재료배합비 및 제조방법을 표준화하였다. 열무김치의 표준화과정에서 열무 이외에 사용빈도수가 50%이상인 부재료는 파와 홍고추였으며, 양념류로는 고춧가루, 마늘, 생강, 젓갈이 이에 속했다. 또한 재료 및 양념의 배합비는 절인 열무 100g에 대해 파 8.0$\pm$3.8, 마늘 2.5$\pm$1.3, 생강 1.6$\pm$0.7, 홍고추 7.0$\pm$1.7, 고춧가루 4.2$\pm$1.2, 젓갈 3.7$\pm$0.5로 나타났다. 열무물김치의 표준화과정의 경우, 사용빈도수가 50%이상인 부재료로는 풋고추, 홍고추, 파가, 양념류로는 마늘, 생강, 전분이 이에 속했으며, 열무물김치의 재료배합비의 표준화는 첨가된 물의 양을 기준으로 하였다. 즉, 물 100 mL에 대해 절인 열무 50.6$\pm$10.8, 파 3.3$\pm$1.3, 풋고추 3.3$\pm$1.9, 홍고추 2.4$\pm$1.3, 마늘 3.0$\pm$0.7, 생강 $1.5\pm$0, 전분 $1.5\pm$0.6의 비율로 나타났다.

배추김치의 재료배합비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Ingredient Ratios of Chinese Cabbage Kimchi)

  • 조은주;박건영;이숙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28-1235
    • /
    • 1997
  • 문헌을 이용한 표준화 배추 김치의 배합비를 표준 값으로 하고 표준편차 만큼의 양을 가감하여 관능검사 및 이화학적 실험과 기능성 실험으로 항돌연변이성과 항암성을 평가하여 배추김치의 재료배합비를 표준화하였다. 절인 배추 100에 대해 무 13.0, 파 2.0, 설탕 1.0, 고춧가루 3.5, 마늘 1.4, 생강 0.6, 멸치액젓 2.2, 염도 2.5% 또는 2.7%로 조절한 배추김치의 경우가 관능검사에서 주관적인 평가항목인 종합적인 냄새, 향미, 질감과 종합적인 평가에 있어서 좋았고, 객관적 평가항목인 군덕내, 군덕맛이 적게 감지되었으며, 이화학적 실험결과 및 재료배합비에 따른 $AFB_1$의 항돌연변이성과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김치 시료에서 높은 항돌연변이효과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보였고, 특히 표준화 배추김치의 즙액은 84%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80%이상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여 관능성과 기능성의 연을 고려해 볼때 가장 적절한 배추김치의 표준화를 위한 재료배합비는 절인 배추 100g에 대해 무 13.0 g, 파 2.0 g, 설탕 1.0 g, 고춧가루 3.5 g, 마늘 1.4 g, 생강 0.6 g, 멸치 액젓 2.2 g, 염도 2.5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문헌을 통한 표준화의 재료배합비 중 최종염도만 2.7에서 2.5로 변한 것 외에는 일치하였다.

  • PDF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Kimchi and Its Ingredients

  • Lee, Ji-Hyun;Ha, Ji-Hyoung;Lee, Hae-Won;Lee, Jae Yong;Hwang, Ye-Seul;Lee, Hee Min;Kim, Sung Hyun;Kim, Su-Ji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4-10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김치 제조시 철저한 재료 세척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더불어 비가열 식품인 김치의 위생 안전성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 미생물 저감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국내에서 유통되는 김치 원 부재료 200건의 세척 전과 후의 비교분석과 시판 김치 100건에 대하여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김치 원 부재료 및 완제품에 대하여 일반세균수, 대장균 및 대장균군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병원성 미생물 9종(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정성 정량, Staphylococcus aureu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Campylobacter jejuni/coli, Yersinia enterocolitica,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정성)을 분석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김치 원 부재료 및 완제품에서 일반세균은 1.4~9.0 log CFU/g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원 부재료 중 생강에서 8.8 log CFU/g, 완제품 중 총각김치에서 9.0 log CFU/g으로 일반세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장균군은 0.5~7.3 log CFU/g으로 확인되었으며, 생강에서 7.3 log CFU/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병원성 미생물 9종의 분석결과, Bacillus cereus를 제외한 나머지 8종의 식중독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김치 제조 시 사용되는 김치 원 부재료들의 세척공정 후 미생물 수는 일반세균수 0.2~3.2 log CFU/g, 대장균군 0.3~2.7 log CFU/g, Bacillus cereus 1.0~3.9 log CFU/g 감소하였다. 따라서, 김치 원 부재료의 세척 공정으로 미생물 오염도를 감소 시켰으며, 이 결과를 통하여 김치 완제품의 위생 및 저장성 증진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응표면 분석에 의한 김치 타블렛 부재료의 혼합조건 연구 (Studies on Mixing Conditions of Sub-ingredients of Kimchi Tablet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석란;김미경;황성희;윤광섭;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8-303
    • /
    • 2002
  • 김치타블렛의 영양성과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재료로 유자, 사과, 당근, 표고버섯의 혼합조건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검토하였다. 당근분말은 0.75 g 첨가시에 타블렛의 견고성이 낮았으며, 표고버섯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이 증가하였다. 사과는 1.0 g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표고버섯 및 당근의 첨가량이 견고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김치 타블렛의 hue angle은 유자, 사과, 당근 및 표고버섯의 첨가량이 0.5 g 이하 및 1.0 g 이상일 때는 83∼86, 0.75 g로 첨가하였을 패는 88을 나타내었다. 인공담즙액에서의 용해도는 당근의 경우는 큰 영향이 없었으며 표고버섯은 1.0 g, 사과는 0.75 g 첨가구에서 용해성이 높았다. 타블렛의 종합적 기호도는 사과와 당근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표고버섯은 0.75 g에서 높았다. 각 반응변수에 미치는 독립변수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당근만이 김치 타블렛의 hue angle에 영향을 미칠 뿐 그 외 다른 부재료는 반응변수에 대하여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당근, 사과 및 표고는 0.75 g을 중심으로 폭넓은 첨가가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