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mchi fermentation

검색결과 860건 처리시간 0.037초

숙성 기간에 따른 무우 김치의 텍스쳐와 섬유소, 헤미셀루로오스, 펙틴질의 함량 변화 (Changes of Texture in terms of the Contents of Cellulose, Hemicellulose and Pectic Substances during Fermentation of Radish Kimchi)

  • 정귀화;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8-75
    • /
    • 1986
  • 무우 김치를 $17{\sim}20^{\circ}C$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면서 텍스쳐의 변화와Dietary fiber(식이성 섬유)의 함량 변화를 측정했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무우 정치의 경도와 Brittleness는 감소하였으며, 그 변화는 Brittleness에 있어서 더욱 뚜렷하였다. 섬유소와 헤미셀루로오스의 양은 숙성기간동안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AIS 함량은 조금 감소하였다. 무우 김치 중의 펙틴질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수용성 펙틴은 소량 증가하고, protopectin은 소량 감소하는 경영을 보였다. 텍스쳐에 영영을 주는 fiber는 펙틴질이었으며, 특히 Protopectin 함량은 경도와 0.85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 PDF

홍국 풀을 이용한 김치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Using Monascus purpureus Koji Paste)

  • 김현정;박정현;황보미향;이효주;이인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01-707
    • /
    • 2003
  • 홍국 김치는 절임 배추에 홍국 쌀풀(20%)을 각각 2.5, 5.0%씩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다음, 2$0^{\circ}C$에서 18일간 저장하며 홍국 김치의 품질 및 관능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의 pH가 다소 높았고, 산도의 경우는 반대로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의 산도가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L, b 값은 발효 기간 내내 대조구가 홍국 첨가군보다 큰 값을 보였으나, a 값은 0-3일 발효시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의 값이 조금 적었다가 6일 후부터는 더 증가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담금 초기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에서 높은 값을 보였고, 특히 2.5%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숙성 3일째 5.0% 첨가군이 2.5% 첨가군 보다 환원당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그 이후부터 첨가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담금 초기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젖산균 및 효모수가 감소되었으나, 숙성이 진행되면서 각 군별 차이 없이 증가되었다. 총균수의 경우 숙성 3일째 대조구와 2.5% 첨가군에서 5.0% 첨가군보다 총균수가 증가되었다가, 숙성 6일째는 5.0% 첨가군이 대조구와 2.5% 첨가군 보다 더 크게 증가하였고 12일 후부터 각 군별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였다. 홍국 첨가 김치는 대조구에 비해 단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 등에서 더 우수하였고, 특히 홍국 김치의 제조시 색을 포함한 다른 항목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값의 2.5% 홍국 쌀풀 첨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솔비톨 및 당류 첨가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rbitol and Sugar Sources on the Fermentation and Sensory Properties of Baechu Kimchi)

  • 구경형;조진숙;박완수;남영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94-801
    • /
    • 1999
  • 김치의 맛을 내기 위하여 부재료로 사용하고 있는 설탕, 물엿과 김치 국제 규격에서 첨가제로 사용하고 있는 솔비톨의 김치 미생물의 이용 정도와 이들 당류가 김치 발효시 pH, 산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의 수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김치 미생물의 당 이용도는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 10종류중 3균주가 솔비톨을 이용하지 못하였다. 당을 1%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였을 경우 pH는 시료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적정산도의 경우는 대조구에 비하여 설탕 및 물엿 첨가구의 산생성이 높았으며, 솔비톨 첨가량이 많을수록 산 생성속도와 그 함량이 적어 적정산도 기준으로 솔비톨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가식기간이 약 2배정도 증가하였다. 총균수와 젖산균 경우 전반적으로 당첨가의 영향이 거의 없었으며, 조직감은 씹힘성에 있어서 솔비톨 첨가구가 전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에 있어서는 당을 1% 첨가한 구에서는 발효 전반에 걸쳐 신맛을 제외하고 각 항목에 있어서 시료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솔비톨 5, 10% 첨가구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조직감과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대조구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 PDF

발아현미 추출분말 첨가 배추김치의 발효 중 품질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Korean Cabbage Kimchi add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Powder During Fermentation)

  • 우승미;정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48-654
    • /
    • 2006
  •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GBREP) 첨가량을 0, 0.67, 3.35 및 6.70%(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꾸준히 감소하였고 총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은 담금 직후 GBREP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구간들의 총당 함량이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발효 3일째 약간 증가한 후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Leuconostoc sp.은 발효가 진행됨에 띠라 꾸준히 증가하여 발효 12일째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였고 Lactobacillus sp.은 발효 12일째 최대치를 나타낸 후 일정한 균수를 유지하였다. 관능적 기호도에서는 GBREP 3.35% 첨가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Origin of lactic acid bacteria in mulkimchi fermentation

  • Hwang, Chung Eun;Haque, Md. Azizul;Hong, Su Young;Kim, Su Cheol;Cho, Kye M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441-446
    • /
    • 2019
  • The assortment of endophytic lactic acid bacteria (LAB) in kimchi derives from its raw vegetables, which include Chinese cabbage, radish, welsh onion, onion, garlic, red pepper, and ginger. These vegetables were examined during mulkimchi fermentation using gene-specific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16S ribosomal RNA sequence analysis. Sixteen species from five LAB genera (Leuconostoc, Lactobacillus, Lactococcus, Pediococcus, and Weissella) appeared in the raw kimchi materials. Interestingly, nine LAB species were identified in mulkimchi on fermentation day 0 as follows: Leuconostoc carnosum, Leuconostoc citreum, Leuconostoc gelidum, Leuconostoc inhae,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sakei, Lactococcus lactis, and Weissella confusa. Seven additional LAB species were present in mulkimchi at fermentation day 9 as follows: Leuconostoc gasicomitatum, Leuconostoc kimchii,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pentosus, Pediococcus pentosaceus, and Weissella koreensis. These species corresponded completely with the LAB in kimchi vegetables. Wei. confusa was the predominant LAB during early fermentation (pH 6.20 to 4.98 and acidity 0.20 to 0.64%), while Lac. sakei, Lac. plantarum, and Wei. koreensis became dominant later in fermentation (pH 4.98 to 3.88 and acidity 0.64 to 1.26%). These results collectively demonstrate that the LAB involved in mulkimchi fermentation originates from the raw vegetables examined.

발아현미 농축액 첨가 김치의 숙성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the Kimchi with Addi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Concentrate during Fermentation)

  • 우승미;장세영;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7-394
    • /
    • 2005
  • 발아현미 농축액(GBRC) 첨가량을 0, 1, 3 및 $5\%$(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총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은 담금 직후 GBRC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구간들의 총당 함량이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발효 3일째 약간 증가한 후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Leuconostoc sp.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여 숙성 12일째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Lactobacillus sp.은 숙성 9일째 최대치를 나타낸 후 일정한 균수를 유지하였다. 관능적 기호도에서는 발효전반에 걸쳐 GBRC $1\%$ 첨가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김치 발효를 위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균주의 개량과 starter로의 첨가효과 (Strain Improvemen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for Kimchi Fermentation and Effect of Starter)

  • 강상모;양완숙;김영찬;정은영;한용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61-471
    • /
    • 1995
  • The heterofermentative Leuconostoc mesenteroides, which is propagated from the initial to the intermediate stage of Kimchi fermentation, produces organic acids and carbon dioxide to impart refreshment, weak acid taste to Kimchi. But owing to lactic acid production by the homofermentative Lactobacillus Plantarum, Kimchi finally reaches its acidified state. So, Leu. mesenteroides was isolated from Kimchi and identified and was improved by mutation for carbon dioxide production at low pH, and for the high total acceptability. We tested with a wild-type strain K-1 and its improved mutant strain M-10 of Leu. mesenteroides. The wild-type strain K-1 could grow in pH 4.2 at 30$\circ$C or 20$\circ$C, and in pH 5.0 at 10$\circ$C. But the mutant strain M-10 could grow in pH 3.3 at 10$\circ$C. In the respect of total acceptability, mutant strain M-10 inoculated Kimchi was ever better than any others. Mutant M-10 inoculated Kimchi prolonged the optimum ripening period of Kimchi up to two time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PDF

김치의 숙도조절 (The Fermemtation Control of Kimch)

  • 김미정;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5-91
    • /
    • 1994
  • As a part of the fermentation control scheme for the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Kimch, this paper summerizes a result of the research into the cleaning method of materials, the fermentation of Kimch using cleaning materials, the search of lacticacidbacteria for starter, the seperation state of cell wall by starter, the fermentation of Kimchi in the airtight instrument and in the air controlled state. And it shows the influence on the growth of lacticacidbacteria when the herb-medicine is used as a sub-ingredients, and the effects on the quality of ginseng added Kimchi.

유기농법에 의해 재배된 열무김치의 품질 및 기능적 특성 (Physi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ung Radish (Yulmoo) Kimchi Cultivated by Organic Farming)

  • 정수진;소병옥;신상욱;노순옥;정은수;채수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197-1206
    • /
    • 2014
  • 유기농법으로 재배한 친자연개발퇴비열무(YR-FNC), 일반퇴비열무(YR-GC)와 일반관행농법인 화학비료로 재배한 일반열무(YR-Control)로 김치를 제조하여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른 품질특성, 관능적 특성 및 기능성에 대한 차이를 관찰하였다. 열무의 일반영양성분 중 수분 및 조단백질의 함량은 유기농 열무(YR-FNC, YR-GC)보다 일반열무(YRControl)에서 높았으나 식이섬유소 및 비타민 C의 함량은 유기농 열무에서 높았다. 무기질 중 인과 구리의 함량은 유기농 열무가 높은 반면 질소, 칼륨,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및 아연의 함량은 일반열무(YR-Control)에서 높게 나타났다. 일반열무김치(YR-Control)는 발효진행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이 되어 적숙기 pH에 빨리 도달하였고, 유기농 열무김치(YR-FNC, YR-GC)는 발효가 서서히 진행되어 저장성이 길어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당초 열무김치 담금 초기(0일)부터 열무김치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유기농 열무김치(YR-FNC, YR-GC)의 경우 일반열무김치(YR-Control)에 비해 약 1.5~3배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발효기간이 경과되면서 일반열무김치(YR-Control)와 유기농 열무김치(YR-FNC)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김치 발효 7일째에 김치의 젖산균인 lactic acid bacteria 함량과 총 균수(total microbial)는 일반열무김치(YRControl)에 비해 유기농 열무김치(YR-FNC)에서 높은 수준이었다. 발효기간이 경과하면서 유기농 열무김치는 관능적 품질의 특성이 우수하였고 저장성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일반관행농법으로 재배한 일반열무 김치에 비해 유기농 열무김치를 섭취함으로써 맛의 증진 효과뿐만 아니라 고기능성 생리활성물질을 높게 섭취할 수 있어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청국장김치의 품질 특성 및 초등학교 급식에서의 수응도 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Kimchi and Its Acceptability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양은선;양향숙;김애정;노정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07-515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ndard recipe and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Kimchi (CKK) and evaluated its acceptanc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cceptability of Kimchi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evaluated by monitoring the plate waste rate. Chungkukjang powder was added to the Kimchi recipe at 0, 20, 40, 60% of the total weight of red pepper powder. The pH of the CKK decreased as fermentation proceeded, and the total acidity was $0.24{\sim}0.25%$ in all samples. The salinity of the CKK was 2.32%. The L color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reat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b and a color values increased in the beginning, but tended to decrease during fermentation.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ppearance on preparation day,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6th (p<0.05) and 20th days (p<0.01), with the highest scores observed in the 40% added group. Sourness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during fermentation in all samp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in crispness on the 3rd day among the treatment groups, and it tended to decrease as fermentation progress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avor during the early stage (p<0.001),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as fermentation proceeded. Overall acceptability was high in the 40% added group. Evaluation of acceptability by monitoring the plate waste rate in the school dining room showed that acceptability was highest in the 20% added group. Thus, it was concluded that acceptabil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est for CKK from the 20% Chungkukjang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