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lled vaccin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1초

조류 콕시듐증의 백신개발에 대한 최근의 진보 (Recent Progress in Development of Vaccines against Avian Coccidiosis)

  • Lillehoj, Hyun S.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49-170
    • /
    • 1999
  • Protozoa of the genus Eimeria are the etiologic agents of avian coccidiosis, th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Parasitic disease for the poultry industry. Coccidia multiply i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of a wide range of hosts, including livestock in addition to poultry. Chemotherapy is extensively used to control coccidiosis. However, development of drug resistance by Eimeria parasites, the intensive cost and labor involved in the identification of new anticoccidial compounds and public awareness of drug residues in foods warrant alternative methods to prevent coccidiocic in the fast growing poultry industry. For these reasons, there is a great interest in developing vaccines against avian coccidiosis. Live Eimeria vaccines confer protective immunity, however a significant disadvantage of using these types of vaccines is their pathogenicity. Live parasites with attenuated pathogenicity also usually produce immunity but may revert back to a pathogenic form and may be contaminated with other pathogenic organisms. Killed Eimeria vaccines are safer but, unlike live attenuated vaccines, are not able to generate cytotoxic T lymphocyte responses. Recombinant vaccines are biochemically purified proteins produced by genetic engineering that consist of particular epitopes or metabolites of Eimeria. Unlike live attenuated organisms, recombinant vaccines do not possess as much risk and generally are able to induce both humoral and cell mediated immunity. DNA vaccines consist of genes encoding immunogenic proteins of pathogens that are directly administered into the host in a manner that the gene is expressed and the resulting protein generates a protective immune response. Although all of these different types of vaccines have been applied to coccidiosis, this disease continues to cause substantial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poultry industry. Futur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vaccine against coccidiosis will depend on further investigation of protective immunity to Eimeria infection and identification of important immundgenic parasite molecules.

  • PDF

뱀장어(Anguilla japonica)에 대한 Edwardsiella tarda 불활화 백신의 침지 및 경구 투여 효과 (Effect of Immersion and Oral Vaccination using Formalin-killed Edwardsiella tarda against Eel Anguilla japonica)

  • 정승희;권문경;서정수;황지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3호
    • /
    • pp.672-681
    • /
    • 2015
  • 본 연구는 뱀장어 양식에서 오랜 기간 문제시되고 있는 에드와드병(Edwardsiellosis)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 투여 방법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뱀장어 유래의 Edwardsiella tarda로부터 포르말린 불활화백신(FKC)을 제작하여, 크기가 다른 3개 그룹의 뱀장어($26.8{\pm}1.2g$, $7.1{\pm}0.7g$, $2.2{\pm}0.4g$)에 침지 및 경구 투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혈청 응집항체가의 활성과 E. tarda 공격접종에 대한 방어력(상대생존율, RSP)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모든 그룹에서 응집항체가와 공격접종에 의한 방어력은 상관성이 없었다. 그러나 $26.8g{\pm}1.2g$그룹의 경우, 침지(10 mg/mL)와 침지(10 mg/mL)+경구(10 mg/g) 실험구에서 RSP는 각각 62.6% 및 52.2%를 나타내었으며, $7.1{\pm}0.7g$ 그룹의 경우, 침지(10 mg/mL)+경구(10 mg/g) 실험구에서 RSP는 56.8%로 나타나서 방어력(RPS>50%)이 확인되었다.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에 대한 포르말린 불활화 의 영향 (Effect of Formalin Inactivation on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 박정수;김형준;주영헌;권세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44-649
    • /
    • 2019
  • Killed vaccines, developed by inactivation with formalin, have been investigated for many fish viruses. In this study, the inactivation of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by formalin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infectivity titer. When viral cell culture supernatants were used, the infectivity titer decreased 1,000-fold at 1 d after treatment with 0.1% (v/v) formalin, but was below the detection limit at 7 and 14 d. Moreover, neither the N nor G gene were detectable by RT-PCR immediately after formalin treatment. In western blot analysis, N protein was not detected by rabbit antiserum against VHSV KR-9225 from 2 d after formalin treatment. On the other hand, when we used a virus that was purified and concentrated ~100 times, the infectivity titer was maintained at 106.05 TCID50/mL, even at 14 d after formalin treatment, and no change in the viral structural proteins was observed.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data on the production and use of formalin-inactivated vaccines.

스쿠티카충 Miamiensis avidus에 대한 넙치의 면역반응 (Immune Respons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gainst Miamiensis avidus (Ciliophora: Scuticociliatida))

  • 정성주;키타무라신이치;아오야마마사토;송준영;김병관;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1
    • /
    • 2006
  • Miamiensis avidus는 넙치에 폐사를 일으키는 스쿠티카 섬모충이다. M. avidus에 대한 넙치의 면역반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FKC (formalin killed cell)를 마리당 2.6 × 106 cells을 복강주사하고, FKC를 초음파처리한 것을 2.4 × 106 cells/㎖로 14.9 cm (26.8 g)의 넙치에 2주 간격으로 두 번 면역하였다. 면역한 넙치의 항체는 충체의 운동성둔화 (immobilization)와 응집 (agglutination)을 유발하였다. 면역한 그룹은 면역하지 않은 그룹보다 높은 ELISA항체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복강주사로 면역한 넙치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phagocytic ratio, phagocytic index와 주화활성을 나타내었다. FKC의 면역방어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8.6 cm (6.3 g)의 넙치에 마리당 1.43 × 105 cells을 복강주사면역하고 2.2 ×105 cells/㎖의 농도로 침지면역했다. 2주 간격으로 두 번 면역하고 2.0 × 104과 2.0 × 103 cells/㎖ 농도로 침지 공격 감염시킨 후 폐사율을 관찰하였다. 감염시킨 3주 후 폐사율은 복강주사구에서 감소하였고 침지면역구는 폐사가 지연되었다. 위의 결과로부터 M. avidus의 불활화백신을 넙치에 면역하면 충에 대한 특이면역이 증강되며 증강된 면역반응이 방어력을 제공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바이러스 (SARS-CoV-2) 특징, 전파 및 임상 양상 (Epidemiology, Vir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Coronavirus Disease-19))

  • 박수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1호
    • /
    • pp.1-10
    • /
    • 2020
  • 2019년 12월에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원인 미상 폐렴이 무리 지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환자의 하기도에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가 분리되었으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로 명명되었다. 세계보건기구는 SARS-CoV-2에 의한 질병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로 명명하였다. 2020년 3월 11일에 COVID-19는 전세계 최소 114국으로 퍼졌으며 약 4,000명이 사망하여 세계보건기구는 COVID-19가 세계적 대유행임을 선언하였다. 지난 20년 동안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두 번의 유행이 있었다. 2002-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유행 시에는 8,098명의 확진 환자와 774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2012년에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주로 아라비아 반도에서 발생하고 있는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는 2019년까지 총 2,499명의 환자와 858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본 종설의 목적은 2020년 3월 12일까지 알려진 SARS-CoV-2의 특징과 전파 양상 및 COVID-19의 임상 증상을 알아보고 SARS와 MERS와의 유사점 및 차이점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는 것이다.

Effect of Dietary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Serum α-Tocopherol and Immune Status of Crossbred Calves

  • Samanta, A.K.;Dass, R.S.;Rawat, Mayank;Mishra, S.C.;Mehra, U.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4호
    • /
    • pp.500-506
    • /
    • 2006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enty crossbred male calves (7-15 days old) divided into 4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on the basis of body weights to study the effect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the serum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 and immune response of the calves. All the calves were fed on milk and calf starter up to 13 weeks and afterwards, they were fed on concentrate mixture and oat hay up to 32 weeks of age. In addition, the calves in groups I, II, III and IV were supplemented with 0, 125, 250 and 500 IU feed grade DL-${\alpha}$-tocopheryl acetate, respectivel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0 day and subsequently at 1, 2, 3, 4, 6 and 8 months of age to monitor the serum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 in crossbred calves. After 24 weeks of experimental feeding, 4 animals from each group were intramuscularly inoculated with single dose (3 ml) of Haemorrhagic septiceaemia (Pasteurella multocida P52 strain) oil adjuvant vaccine. The cumulative group mean serum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 (${\mu}g/100ml$) was 88.12, 210.11, 235.21 and 294.02 in-groups I, II, III and IV, respectively and differed significantly (p<0.001) among the four groups. Lymphocyte stimulation indices (LSI) did not differ among the groups significantly. The pooled mean ELISA antibody titer against Pasteurella multocida (P52 strain) was 788.02, 926.85, 1,214.00 and 1,109.51 for group I, II, III and IV,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higher antibody titer in groups supplemented with vitamin E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may be concluded that vitamin E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 in serum and dietary supplementation of vitamin E at higher level has a humoral immune enhancing effect against killed bacterial antigen.

연쇄살인범 MO(Modus Operandi)에 대한 고찰 -유영철 사건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dus Operandi of Serial Killer -Centering on Ryu Young Chul's case-)

  • 오윤성
    • 시큐리티연구
    • /
    • 제9호
    • /
    • pp.177-200
    • /
    • 2005
  • 지금까지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쇄살인범 발생이 적었던 우리나라 상황에서 유영철에 의한 연쇄살인사건의 전말이 드러남에 따라 이제 더 이상 우리나라도 연쇄살인범으로부터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한동안 전국을 충격에 몰아넣었던 화성연쇄살인 사건이 아직 미제로 남아있는 상황에서 최근 화성, 천안지역의 여성 납치 살해범죄 등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최근의 추세는 우리 주위에 비록 정체를 드러내지 않지만 기회만 되면 범행을 저지를 준비가 되어 있는 잠재적 연쇄살인범들이 도사리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연쇄살인범의 범행수법은 특히 범행을 저지르고 난 이후에도 치밀하게 자신의 범행을 은폐하는 것은 물론 수사기관의 움직임을 관찰하면서 제2, 제3의 범행을 하기 위해 최초의 범행수법보다 더욱 진화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연쇄살인범에 대한 범죄 수사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아직 초보단계에 있다. 이제 연쇄살인범과의 대결은 피할 수 없는 과제이다. 우리들에게 모습을 드러낸 연쇄살인범 유영철의 생생할 살인행동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연쇄살인범의 MO(Modus Operandi)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cost-effectiveness of ASF detection with or without the use of on-field tests in different scenarios, in Sardinia

  • Cappai, Stefano;Loi, Federica;Rolesu, Sandro;Coccollone, Annamaria;Laddomada, Alberto;Sgarangella, Francesco;Masala, Sergio;Bitti, Giuseppe;Floris, Vincenzo;Desini, Pietro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2호
    • /
    • pp.14.1-14.10
    • /
    • 2020
  • African swine fever (ASF) is a highly contagious disease of domestic pigs and wild boars (WBs). Without a vaccine, early antibody and antigen detection and rapid diagnosis are crucial for the effective prevention of the disease and the employment of control measures. In Sardinia, where 3 different suid populations coexisted closely for a long time, the disease persists since 1978. The recent ASF eradication plan involves more stringent measures to combat free-ranging pigs and any kind of illegality in the pig industry. However, critical issues such as the low level of hunter cooperation with veterinary services and the time required for ASF detection in the WBs killed during the hunting season still remain. Considering the need to deliver true ASF negative carcasses as early as possible, this study focuses on the evaluation and validation of a duplex pen-side test that simultaneously detects antibodies and antigens specific to ASF virus, to improve molecular diagnosis under field conditions. The main goal was to establish the specificity of the two pen-side tests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to determine their ability to detect the true ASF negative carcasses among the hunted WBs. Blood and organ samples of the WBs hunted during the 2018/2019 hunting seasons were obtained. A total of 160 animals were tested using the pen-side kit test; samples were collected for virological and serological analyses. A specificity of 98% was observed considering the official laboratory tests as gold standards. The new diagnostic techniques could facilitate faster and cost-effective control of the disease.

해조류 첨가사료가 돌돔의 성장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김병기;원경미;유병서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80-81
    • /
    • 2003
  • 양식 생물의 질병 제어는 예방과 치료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항생제의 오ㆍ남용으로 인하여 약제 내성균의 증가와 치료 효과가 감소하고, 나아가 식품안전성 문제로 양식생물의 소비를 위축시켜왔다. 따라서 질병이 발생한 후에 시행하는 화학약품 치료법은 이미 한계에 달하였다. 이에 따라 사전에 질병을 차단하는 예방법인 vaccine이나 질병에 대한 저항능력을 키우는 비특이적 면역 증강물질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해조류에는 다량의 lectin이 포함되어 있는데, Lectin은 당에 결합하는 단백질의 총체적인 이름으로, defence molecule로 작용하여 어류가 섭취할 경우 외래 항원으로 인식하여 지속적으로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돌돔사료에 kelf meal을 첨가하여 공급한 후 이들의 성장과 비특이적 면역기구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사료는 상업용 kelf meal을 0%, 2%, 5% 첨가하고, 2반복으로 500L FRP 탱크에서 8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어류는 40g 내외의 돌돔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료공급 4주 및 8주에 각 실험구의 돌돔을 대상으로 비특이적 면역기구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체액성 면역 조사로는 혈청 및 점액 lysozyme 활성과 Escherichia coli에 대한 혈청 내 보체의 살균 능력을 조사하였고, 세포성 면역 조사는 전신 식세포의 NBT 환원 실험과 말초혈액의 식세포 식균능을 측정하였다. 식균능 시험은 Escherichia coli FKC (formalin killed cell)에 대한 식균율 및 식균지수로 나타내었다. 나아가 돌돔 말초혈액의 혈구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적혈구 5,000 세포당 임파구, 전구, 호중구의 수를 계수하였다. 8주간의 사육결과 사료계수는 각각 1.20, 1.25, 1.42로 대조구와 2% 첨가구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5% 첨가구는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섭취량은 kelf meal의 첨가량이 늘어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비특이적인 면역 기구에 대한 자극 효과는 체액성 면역의 지표로 측정한 lysozyme의 활성도는 혈청과 점액 모두에서 대조구보다 실험구에서 활성이 높았고, 혈청 lysozyme 활성은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혈청 내 보체의 살균능은 실험구간 차이가 없었다. 세포성 면역의 지표로 측정한 전신 식세포의 $O_2$ 생성능(NBT 환원능)은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말초 혈액의 식균능은 식균율과 식균지수 모두 실험구에서 높았고, 특히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말초 혈액 혈구조성의 변화는 임파구와 전구의 경우 실험구에서 높았으나 호중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양식 돌돔에 kelf meal을 2% 첨가하는 것이 사료계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돌돔의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을 적절히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나, 돌돔의 기능성 사료 첨가물로서 이용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 of sodium butyrate on performance, immune status, microarchitecture of small intestinal mucosa and lymphoid organs in broiler chickens

  • Sikandar, Arbab;Zaneb, Hafsa;Younus, Muhammad;Masood, Saima;Aslam, Asim;Khattak, Farina;Ashraf, Saima;Yousaf, Muhammad Shahbaz;Rehman, Habi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5호
    • /
    • pp.690-699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dium butyrate (SB)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status, organs weights, and microarchitecture of lymphoid organs and small intestine. Methods: A total of 120, 1-d-old broiler chicks were distributed into the following four treatment groups: corn-soy based basal diet (BD) without supplement (control), or the same BD supplemented with 0.1 g/kg zinc bacitracin (ZnB), 0.5 g/kg SB (SB-0.5), or 1.0 g/kg SB (SB-1), respectively. Six birds/group were killed on d-21 and d-35, and samples were collected. Results: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at 48 h post-Phytohemagglutinin-P injection, and antibody titer against Newcastle disease vaccine and sheep red blood cells on d-35 was noted higher (p<0.05) in SB-1 compared to ZnB and control. Lower (p<0.05) feed conversion ratio (FCR) was attained by the supplemented groups. Thymus and spleen weighed more (p<0.05) in SB-1, and bursa registered more (p<0.05) weight in both SB groups compared to control. On d-21, areas of thymus medulla and spleen germinal centers were noted higher (p<0.05) in SB-1 group. The villus height and villus surface area increased (p<0.05) in duodenum and jejunum in both SB groups on d-21, and in SB-1 on d-35, respectively compared to ZnB and control. On d-21, number of goblet cells containing mucins of acidic nature increased (p<0.05) in all the segments of small intestines in SB-1 group compared to control, and on d-35 in ileum compared to other groups. Conclusion: In conclusion, SB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immunity as well as modulated morphology of lymphoid organs and gut mucosa in broiler chick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