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empferol 배당체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서양고추냉이 추출물과 분리한 Kaempferol 배당체들의 브로모벤젠 처리 흰쥐에서 in Vitro 지질과산화억제효과 (Effect of Methanol Extract and Kaempferol Glycosides from Armoracia rusticana on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in Bromobenzene-treated Rats In Vitro)

  • 허종문;이종호;최종원;황기욱;정신교;김문성;박종철
    • 생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1-236
    • /
    • 1998
  • Three flavonoid glycosides have been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 of Armoracia rusticana P. (Cruciferae) in Korea and identified by means of spectral analysis as $kaempferol-3-O-{\beta}-D-xylofuranoside(l)$, $kaempferol-3-O-{\beta}-D-galactopyranoside(2)$ and $kaempferol-3-O-{\beta}-D-xylofuranosyl(1\rightarrow2)-b{\beta}-D-galactopyranoside(3)$. When 1 mg/ml of the methanol extract from the aerial part of this plant was added, lipid peroxide formation in the bromobenzene-treated rat liver decreased by 64%. Among the components isolated from title plant, compounds 2 and 3 reduced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by 16% and 39% respectively at the concentration of ${10}^{-1}$ mg/ml.

  • PDF

일본잎갈나무 잎의 후라보노이드 배당체 (Flavonoid Glycosides from Needles of Larix leptolepis(Pinaceae))

  • 김진규;박완근;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81-87
    • /
    • 1997
  • 일본잎갈나무잎을 채취하여 아세톤 : 물 (7 : 3, v/v) 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용성 화합물과 수용성 화합물로 분리하였으며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을 사용하여 화합물을 단리 하였다. 단리 화합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셀룰로오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를 실시한 후 자외선 램프 하에서 관찰하였다. 바닐린 발색제를 분무히여 정색반응을 조사하고 $R_r$ 값을 구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의 구조는 $^1H$-NMR과 $^{13}C$-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그 구조를 규명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용성 화합물에서는 (+)-catechin, (-)-epicatechin, kaempferol-O-arabinofuranoside와 kaempferol-3-O-arabinopyranoside, 수용성 화합물에서는 apigenin-8-C-rhamnosyl-($1"'{\rightarrow}2"$)-glucoside(2"-O-rhamnosylvitexin)을 단리 하였다.

  • PDF

나무수국 꽃의 Secoiridoid, Iridoid 및 Flavonol 배당체의 골격근세포 비대 유도 효능 (Secoiridoids, Iridoids and Flavonol Glycosides from Hydrangea paniculata Flowers and their C2C12 Myotube Hypertrophic Activity)

  • 고은미;김철영
    • 생약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57-63
    • /
    • 2022
  • Five secoiridoids (1-3, 5, 10), a iridoid (4) three flavonol glycosides (7-9) and a coumarin (6), were isolated from the flowers of Hydrangea paniculata.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kingiside (1), morroniside (2), sweroside (3), loganin (4), vogeloside (5), umbelliferone (6), quercetin-3-O-sambubioside (7), quercetin-3-O-neohesperidoside (8), kaempferol 3-O-sambubioside (9) and secologanin dimethyl acetal (10), respectively, by spectroscopic analysis. All isolated compounds 1-10 were assessed for their ability to induce C2C12 myotube hypertrophy. Among them, loganin (4) and kaempferol 3-O-sambubioside (9) increase the diameter of C2C12 myotubes. All isolated compounds 1-10 were firstly reported from the flowers of Hydrangea paniculata, and the skeletal muscle hypertrophic activity of 4 and 9 was also reported for the first time.

지리터리풀의 플라보놀배당체 (Flavonol Glycoside from the Aerial Part of Filipendula Formosa)

  • 황완균;함인혜;성환길;이무택
    • 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10
    • /
    • 1999
  • As one of the serial studies on the specific and indigenous plants of Mt. Chiri the constituents of aerial part from filipendula formosa (Rosaceae) were investigated. From of the MeOH extract, five flavonol glycosides, kaempferol-3-O-$\beta$-D-galactopyranoside, querecetin-3-O-$\beta$-D-galactopyranoside, quercetin-3-O-$\alpha$-Lrhamopyranosyl (1 6)-$\beta$-D-galactopyranoside, kaempferol-3-O-$\alpha$-L-rhamnopyranosyl (1 6)-$\beta$-D-galactopyranoside and quercetin-7-O-$\beta$-D-glucopyranosy-3-O-$\beta$-D-galactopyranoside were isolated by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 using Amberlite XAD-2 and Sephadex LH-20, and identified physicochemical evidences (IR, FAB-Mass, $^1H,{\;}^{13}C-NMR$).

  • PDF

켐벨얼리(Vitis labruscana B.)와 머루(Vitis coignetiae) 포도잎의 생육단계별 생리 활성 성분 및 혈관 이완능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and vasorelaxation effect of Vitis labruscana B. and Vitis coignetiae grapevine leaves at growth stages)

  • 유진주;김혜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40-4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켐벨얼리 품종과 머루 품종의 포도 잎을 생육단계별로 채취하여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quercetin, kaempferol, isorhamnetin)의 함량 변화와 혈관 이완 효과를 평가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품질관리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포도의 생육단계는 전엽기, 개화기, 결실기, 착색기 및 성숙기로 구분되는데, 산업적으로 포도 잎 원료 확보가 쉬운 결실기, 착색기 및 성숙기 포도 잎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시험 결과 두 품종 모두 생육단계별로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 함량의 차이가 있었고, 결실기>성숙기>착색기 순으로 성분들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육단계별 혈관 이완 효과는 두 품종 모두 혈관 이완 효과를 보였으며 켐벨얼리 포도 잎이 머루 포도 잎보다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포도잎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물론, 안타깝게도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 성분이 혈관 이완 효과를 대표하는 효능성분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지만, 착색기 포도 잎에 비하여 결실기와 성숙기에 함량이 높은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가 지표성분으로 써의 가치는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포도 잎을 기능성 원료로 활용 시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를 지표성분으로 활용하고, 각 생육단계별 포도 잎 원료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일정한 효능과 지표성분 함량을 관리하는 방법이 되리라 생각한다.

솔잎의 후라보노이드 아세틸화 배당체 (Flavonoid Acetylated Glucosides of the Needles of Pinus densiflora)

  • 이상극;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48-52
    • /
    • 2001
  • 강원대학교 구내림에서 자란 생장이 양호한 소나무 잎을 채취하여 아세톤-물(7 : 3, v/v)로 추출하고 네 개의 분획으로 분리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용성 분획물에 대하여 Sephadex LH-20 칼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으며 용리용매는 메탄올 및 에탄올 수용액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단리된 화합물은 주로 flavan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flavonoid 유도체인 kaempferol-3-O-g1ucopyranoside와 quercetin-3-O-(6"-O-acetyl)-gluco pyranoside도 소량으로 단리되었는데 이들은 소나무 잎의 추출성분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단리된 화합물은 NMR 및 M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정확한 구조를 결정하였다.

  • PDF

쇠뜨기 추출물의 성분 분석과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과 연구(II) (Component Analysis and Study on Anti-elastase Activity of Equisetum arvense Extracts(II))

  • 박수남;양희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39-144
    • /
    • 2007
  • 선구 연구로부터 저자들은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대한 결과를 이미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성분 분석과 elastase 저해활성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쇠뜨기 추출물 중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 및 HPLC 실험에서 각각 4개의 띠와 피이크로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4가지 성분은 luteolin, quercetin, apigenin 및 kaempferol이었다. 그리고,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19.12%, 12.87%, 15.81%, 52.20%로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쇠뜨기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7개의 띠로 분리되었고, HPLC 크로마토그램은 8개의 피이크를 보여주었다. TLC와 HPLC의 띠와 피이크를 확인한 결과, HPLC의 8개의 피이크는 용리순서로 kaempferol-3,7-O-diglucoside(조성비, 15.74%), luteolin-5-O-glucoside(galuteolin, 11.91), apigenin-5-O-glucoside(12.91), kaempferol-3-O-glucoside(astragalin, 27.94), quercetin-glycoside (10.81, 구조 미확인), kaempferol-glycoside(12.33, 구조 미확인), luteolin(3.72) 및 apigenin(4.62)으로 확인되었다. Aglycone 분획은 elastase 저해활성($IC_{50}$)이 9.8 ${\mu}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ethylacete 분획(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은 elastase 저해 활성이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이미 보고된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과 더불어 쇠뜨기 성분에 대한 분석과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의 큰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aempferol 및 Kaempferol Rhamnosides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Kaempferol and Kaempferol Rhamnosides)

  • 이근하;조영롱;주철규;주연정;권순상;안수미;오수진;노호식;박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57-26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kaempferol 및 그 배당체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free radical 소거활성, ROS inhibition assay, TARC 생성 억제 관련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kaempferol과 그들의 rhamnosides (${\alpha}$-rhamnoisorobin, afzelin, kaempferitrin)의 구조에 따른 생리적 활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Kaempferol과 ${\alpha}$-rhamnoisorobin은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에서 각각 62.5, 50.0 ${\mu}M$이 측정되었으며 afzelin과 kaempferitrin은 농도와 상관없이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ROS inhibition assay에서는 시료 농도를 10, 50, 100 ${\mu}M$을 처리한 결과 kaempferol은 대조군(100 %)에 비하여 ROS 발현 농도를 각각 97.5, 57.8, 47.8 %로 감소하였으며 ${\alpha}$-rhamnoisorobin은 93.1, 59.1, 41.4 %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TARC (thymus and activation regualted chemokine) 생성 억제능 실험을 통해 시료의 항염증 효능을 평가한 결과 kaempferol은 10, 50, 100 ${\mu}M$ 농도에서 대조군(100 %)에 대비하여 각각 48.8, 5.5, 4.4 %로 농도 의존적으로 TARC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alpha}$-rhamnoisorobin은 88.1, 19.0, 1.0 %로 TARC 생성의 감소 효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kaempferol과 그들의 rhamnoside 중 kaempferol과 ${\alpha}$-rhamnoisorobin은 항산화, 항염증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며 더 나아가서는 항노화 및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에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aempferol, quercetin 및 그 배당체의 amyloid beta 유도 신경독성에 대한 C6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kaempferol,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on amyloid beta-induced neurotoxicity in C6 glial cell)

  • 김지현;김현영;조은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327-332
    • /
    • 2019
  •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은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이며, 뇌 내 amyloid beta (Aβ) 축적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반응은 대표적인 AD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kaempferol (K), kaempferol-3-O-glucoside (KG), quercetin (Q) 및 quercetin-3-β-ᴅ-glucoside (QG)와 같은 4가지 flavonoids의 C6 신경교세포에서 Aβ로 인한 신경독성으로부터의 보호 효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C6 신경교세포에 Aβ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감소한 반면, 4가지 flavonoids 중에서 Q와 QG의 처리 시 세포 생존율 증가를 통해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Aβ를 처리한 control군의 경우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을 유도한 반면, flavonoids의 처리 시 ROS 생성이 감소하였다. 특히 Aβ를 처리한 control군은 133.39%의 ROS 생성을 나타내었으며, 1 μM의 KG와 QG를 각각 처리시 107.44, 113.10%의 수치를 나타내어 ROS 생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Flavonoids의 Aβ에 대한 신경교세포 보호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Aβ로 신경독성이 유도된 control군은 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flavonoids를 처리한 군의 경우 염증 매개 인자인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and interleukin-1β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특히, KG와 QG를 처리한 군은 aglycone 형태인 K와 Q를 처리한 군에 비해 효과적으로 염증 매개 인자 발현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는 flavonoids의 일종인 K, Q와 그 배당체인 KG, QG의 Aβ로 신경독성이 유도된 신경교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반응 조절을 통한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생리활성성분은 AD 예방 및 치료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PLC-DAD-QTOF/MS를 이용한 대추나무(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잎과 열매의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분석 (Profiling of flavonoid glycosides in fruits and leaves of jujube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using UPLC-DAD-QTOF/MS)

  • 이민기;김헌웅;김영진;이선혜;장환희;정현아;김숙배;이성현;최정숙;김정봉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004-101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대추나무의 잎과 열매의 flavonoid 배당체를 조사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된 인용문헌을 바탕으로 대추나무, 묏대추나무, 야생대추나무 등 대추나무속(Zizyphus)에 따른 flavonoid의 화학적 정보 수집 및 정리하여 대추나무속의 flavonoid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각 flavonoid 개별성분은 UPLC-DAD-QTOF-ESI/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제작된 라이브러리의 정보를 이용하여 국내산 대추나무로부터 총 6종의 flavonoid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내산 대추나무 잎의 주요 성분은 quercetin 배당체인 rutin임을 확인하였고, 특히 quercetin 3-O-robinobioside 및 isoquercitrin는 구축된 라이브러리를 바탕으로 대추나무 잎에서는 처음 확인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와 같이 대추나무속 flavonoid의 화합물 정보를 포함하여 제작한 라이브러리는 선행된 연구와의 차이점 판단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