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nction failur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3초

Protocatechuic acid impacts rotator cuff healing and reduces fatty degeneration in a chronic rotator cuff tear model in rats

  • Seo, Su-Jung;Park, Jae-Young;Park, Hyoung-Jin;Hwang, Jung-Tae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1호
    • /
    • pp.5-14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protocatechuic acid (PCA) on tendon healing and fatty degeneration in a chronic rotator cuff model. Methods: Twenty-eight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groups: Saline+repair (SR) and PCA+repair (PR). The right shoulder was used for experimental interventions, and the left served as a control. PCA (30 mg/kg/day)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at the site of infraspinatus tendon detachment in rats in the PR group, and the same volume of saline was administered to the same site in the SR group. The torn tendon was repaired 4 weeks after infraspinatus detachment. Four weeks after repair, hematoxylin and eosin (H&E), S100, and CD68 stain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degree of fatty degeneration and H&E and Masson trichrome stains were performed to assess tendon healing. Superoxide dismutase (SOD) was measured to test the efficacy of PCA as an antioxidant. Results: Results from histological evaluation indicated that SOD and CD68 levels at the musculotendinous region and collagen fiber parallel to the orientation at the tendon-to-bone junc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R and PR groups. The mean load-to-failure of the PR group (20.32±9.37 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R group (16.44±6.90 N), although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395). The SOD activity in the operative side infraspinatus muscle of the P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R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3). Conclusions: The use of PCA could improve tendon healing and decrease fatty degeneration after rotator cuff repair.

Effect of suprascapular nerve injury on muscle and regenerated enthesis in a rat rotator cuff tear model

  • Kenichiro Eshima;Hiroki Ohzono;Masafumi Gotoh;Hisao Shimokobe;Koji Tanaka;Hidehiro Nakamura;Tomonoshin Kanazawa;Takahiro Okawa;Naoto Shiba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2호
    • /
    • pp.131-139
    • /
    • 2023
  • Background: Massive rotator cuff tears (RCTs) are complicated by muscle atrophy, fibrosis, and intramuscular fatty degeneration, which are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tendon-to-bone healing failure and poor clinical outcomes. We evaluated muscle and enthesis changes in large tears with or without suprascapular nerve (SN) injury in a rat model. Methods: Sixty-two adult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SN injury (+) and SN injury (-) groups (n=31 each), comprising tendon (supraspinatus [SSP]/infraspinatus [ISP]) and nerve resection and tendon resection only cases, respectively. Muscle weight measurement, histological evaluation, and biomechanical testing were performed 4, 8, and 12 weeks postoperatively. Ultrastructural analysis with block face imaging was performed 8 weeks postoperatively. Results: SSP/ISP muscles in the SN injury (+) group appeared atrophic, with increased fatty tissue and decreased muscle weight,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and SN injury (-) groups. Immunoreactivity was only positive in the SN injury (+) group. Myofibril arrangement irregularity and mitochondrial swelling severity, along with number of fatty cells, were higher in the SN injury (+) group than in the SN injury (-) group. The bone-tendon junction enthesis was firm in the SN injury (-) group; this was atrophic and thinner in the SN injury (+) group, with decreased cell density and immature fibrocartilage. Mechanically, the tendon-bone insertion was significantly weaker in the SN injury (+) group than in the control and SN injury (+) groups. Conclusions: In clinical settings, SN injury may cause severe fatty changes and inhibition of postoperative tendon healing in large RCTs. Level of evidence: Level Basic research, controlled laboratory study.

소규모 맨틀 대류에 의한 한반도의 신제3기 이후 융기 운동 (Neogene Uplift in the Korean Peninsula Linked to Small-scaled Mantle Convection at Singking Slab Edge)

  • 신재열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28-346
    • /
    • 2012
  • 본 연구는 한반도의 신제3기 이후 융기 운동에 관한 발생 요인을 탐구하고자 육상의 고해수준 기록들과 북동 아시아 일대의 심발 지진 자료를 분석하였다. 지구조적으로 한반도를 포함한 북동 아시아의 동쪽 연변부는 태평양 판, 필리핀해 판 그리고 유라시아 판이 함께 경계하는 복잡한 서태평양 섭입대의 후배호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서태평양 섭입대의 지진 자료 분석은 한반도의 융기 패턴이 서태평양 섭입판의 활동과 관련된 심발 지진의 발생 범위를 잘 반영하고 있다. 지구과학 제 분야의 기존 연구 성과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볼 때,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 아시아 동연변부 해안 지역을 따라 나타나는 대륙 융기 현상은 서태평양 섭입대의 맨틀 하강에 의해 발생하는 소규모의 맨틀 대류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융기 운동의 시작 시기는 마이오세(ca. 23 Ma) 이후의 시기로 판단 된다. 한편, 한반도 내에서 확인되는 동-서 그리고 북-남 방향의 최대 압축 응력들은 판 경계 응력에 대응하는 현생 응력 체계와 잘 일치한다. 이는 판 경계 응력에 대응한 암석권 최상부의 지각 변형이 또한 최근 수 백 만년의 시간 내에서 한반도의 융기를 가속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치면건조제와 접착제의 사용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재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DRYING AGENTS AND BONDING AGENTS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SEALANTS TO ENAMEL)

  • 임현화;장기택;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6-203
    • /
    • 2003
  • 전색재의 적용은 기술에 매우 민감한 술식으로써 도포 전에 치면의 완전한 건조를 요구한다. 전색재 실패의 여러 요인 중 가장 주된 원인으로는 산부식 후 전색재 도포 전의 수분 또는 타액에 의한 오염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산부식만을 해오던 술식과 수분오염의 극복을 위해 변형된 술식이 전색재의 유지력에 미치는 효과를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1, 2, 3, 4군은 unfilled sealant인 Teethmate-F를, 5, 6, 7, 8군은 filled sealant인 Ultraseal XT plus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인 1군과 5군은 35% 인산으로 15초간 산부식과 세척 후 건조시켰다. 2군과 6군은 여기에 치면건조제를 도포하였고, 3군과 7군에는 접착제를 도포하고 광중합하였다. 4군과 8군은 치면건조제와 접착제를 둘 다 도포하였다. 이후 직경 3mm, 높이 2mm의 몰드를 이용하여 전색재를 접착시키고 열순환을 시행한 다음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filled sealant(5, 6, 7, 8군)에서 전단결합강도는 unfilled sealant(1, 2, 3, 4군)에 비해 각각 유의성 있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2. unfilled sealant에서는 산부식 처리만 한 1군에 비해 2, 3, 4군은 유의성 있게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였으며(p<0.05), 2, 3, 4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filled sealant에서는 산부식 처리만 한 5군에 비해 6, 7, 8군의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였으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6, 7, 8군 간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파절면 검사결과 ailed sealant 군에서는 응집성 파절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unfilled sealant 군에서는 2, 3, 4군에서 응집성 파절이 나타났다.를 보였으며 복합 레진은 유의차가 없었다. 상악 견치 (8%), 하악 제 1소구치 (5%) 순이었다. 10. I군에서 추정되는 낭의 발생 원인으로는 치수절단술을 받은 유치가 59.2%로 가장 많았고 이외에 심한 우식 및 치료 받지 않은 외상 병력등 기타 가능한 원인들이 있었다. 11.함치성 낭의 치료법으로는 I군의 경우 61.2%에서 조대술이 시행되었고, II군과 III군의 경우 61.1%, 80.0%에서 적출술이 시행되었다.mH I처치시 SM1과 SM2는 4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어 같은 양상을 보였고, GS톤의 경우는 3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었다. Kpn I, Sma I, Xho I 그리고 Pst I에는 절단되지 않았다.s subsp. salicinius와 유전자 유사치가 99.60%, 99.73%를 보여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치아우식증이 없는 소아의 타액에서 분리된 유산균 중 과산화수소를 분비하여 인공치태 형성과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적으로 낮은 수축률과 우수한 물성을 보였으며, 나노필러를 사용한 복합레진의 경우, 기존의 hybrid 필러를 이용한 레진에 비하여 수축응력을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나노필러를 이용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gap junction은 흰쥐 악하선 세포로부터의 타액분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gap junction이 세포막 $Ca^{2+}$ 통로를 조절함으로써 수용체 자극으로 유발된 세포내

  • PDF

근관충전용 sealer의 성분이 포스트 세멘트시 레진 세멘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NAL FILLING SEALER TO RESIN CEMENT IN POST CEMENTATION)

  • 이청희;조광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
    • /
    • 1994
  • 근관 충전에 사용된 sealer가 포스트를 세멘트할때 사용되는 레진 세멘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절치 치근 86개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근관확대한 후, 44개의 치근은 I, II, & III군의 Z.O.E. sealer, 42개의 치근은 IV, V, & VI군의 수산화칼슘 계통의 sealer인 Apexit를 사용하여 근관충전하였다. 근관충전 1일(I, IV군), 3일 (II, V군), 7일(III, VI군)이 경과된 후에 기성의 Para-post stainless steel post를 사용하여 a군에서는 Z.P.C.로, b군에서는 All-Bond & composite resin cement로 깊이 7mm가 되게 세멘트하여 군당 시편의 수가 7-8개 되도록 하여 12군으로 나누었다. 완전한 세멘트의 경화를 위하여 5일이 경과된 후 인스트론 만능시험기에 retention jig를 사용하여 거상하고 1mm/min의 cross-head speed로 인장력을 가하여 유지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Z.O.E. sealer사용 후 All-Bond & composite resin cement로 세멘트한 군에서 I b군이 $15.5{\pm}7.1kg$, II b군이 $21.6{\pm}5.4kg$, 그리고 III b군이 $20.1{\pm}8.1kg$으로 나타나 I b군이 매우 유지력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2. 수산화칼슘 계통의 sealer 사용 후 All-Bond & composite resin cement로 세멘트한 군에서 IV b군이 $19.0{\pm}6.7kg$, V b군이 $17.3{\pm}6.5kg$, 그리고 VI b군이 $18.9{\pm}7.9kg$으로 나타났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3. 같은 sealer를 사용하고 같은 기간에서 Z.P.C.와 All-Bond & composite resin cement의 포스트 유지력 비교시 All-Bond & composite resin cement 군이 Z.P.C. 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 PDF

상아질과 Gutta-Percha에 대한 근관충전용 Sealer의 결합강도의 측정 (MEASUREMENT OF ADHESION OF ROOT CANAL SEALER TO DENTINE AND GUTTA-PERCHA)

  • 허미자;유미경;이세준;이광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1호
    • /
    • pp.89-9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onding of resin- based root canal sealer, AH26 when the sealer was applied as a thin layer between dentine and gutta-percha surface. In this study forty non-caries extracted human molars and resin-based root canal sealer(AH 26, DeTrey/Dentsply, Germany) were used. Disks of gutta-percha, 6mm in diameter.6mm thick (Diadent/Dentsply, Korea) for thermoplastic obturation were used and dentin surfaces were treated with 2% NaOCl(Group 1) or 2%NaOCl+17% EDTA(Group 3). Disks of gutta-Percha, 6mm in diameter.6mm thick (Diadent/Dentsply, Korea) for conventional obturation were used and dentin surface were treated with 2% NaOCl(Group 2) or 2%NaOCl+17% EDTA(Group 4). Enamel was removed by a horizontal section 1mm below the deepest portion of the central occlusal groove by using a watercooled low speed diamond saw. A second horizontal section was done around cementoenamel junction. Exposed dentin surface was cut to approximately $8{\times}8{\;}mm$ rectangular shape and was ground against 320, 400, 600 grade silicon carbide abrasive paper serially. After grinding, the dentine surface were soaked in a solution of 2% NaOCl for 30 minutes and twenty of specimens were treated with 17% EDTA solution for 1 minute. The treated specimens were washed and dried, Root canal sealer, AH26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s instructions The Gutta-percha and dentin surface were coated with a thin layer of the freshly mixed seal or. The specimens were left overnight at room temperature. After their initial set, they were transferred to an incubator at $37$^{\circ}C$ for 72 h. After 72 hours, resin blocks were made. The resin block was serially sectioned vertically into stick of $1{\cdot}1mm$. Twenty sticks were prepared from each group. After that, tensile bond strength f3r each stick was measured with Microtensile Tester Failure patterns of the specimens at the interface between gutta-percha and dentin were observed under the SEM(x1000) and Stereomicroscope (LEICA M42O, Meyer Inst., TX U.S.A) at 1.25 x25 magnificatio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using a One-way ANOVA and Tukey's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ensile bond strengths($mean{\pm}SD$) were expressed with ascending order as follows: Group 1, $3.09{\pm}$ 1.05Mpa : Group 2, $6.23{\pm}1.16MPa$ : Group 3, $7.12{\pm}1.07MPa$ : Group 4, $10.32{\pm}2.06MPa$. 2. Tensile bond strengths of the group 2 and 4 used disks of gutta-percha for conventional obtur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1 and 3 used fir thermoplastic obturation. (p < 0.05). 3. Tensile bond strengths of the group 3 and 4 treated with 2% NaOC1+17% EDT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1 and 2 treated with 2% NaOCl. (p < 0.05). 4. In analysis of failure patterns at the interface between sealer and gutta-percha, there were observed 49 (61%)cases of adhesive failure patterns and 31 (39%) cases of mixed failures patterns.

근위 상완골 종양 치료 실패 후 역 견관절 전치환물을 이용한 구제술 (Salvage with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after the Failure of Proximal Humeral Tumor Treatment)

  • 전대근;조완형;김범석;박환성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505-512
    • /
    • 2018
  • 목적: 상완골 근위부 절제 후 다양한 재건술이 시도되었으나 역 견관절 전치환술의 도입으로 기능적 결과의 향상이 있었다. 그러나 광범위한 골결손을 동반한 경우에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와 비수술적 치료 실패 후 지연 재건하면 기능회복의 정도가 어떤지에 대해서는 불확실하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근위부 재건술 후 실패한 11예는 중첩 동종골과 역 견관절 전치환술의 조합술을, 비수술적 치료가 실패한 6예는 지연 역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후 기능적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합병증을 기술하였다. 결과: 역 견관절 전치환술과 동종골 조합술로 일차 수술이 실패한 11예 전부에서 안정된 재건술이 가능하였으며 수술 전 주 증상도 해소되었다. 골 접합부 평균 골유합 기간은 5.5개월이었다. 수술 전, 후 근골격계 기능 점수는 평균 20.3점에서 25.7점으로 증가하였다. 일차 수술 후 4년 이내에 역 견관절 전치환술로 치환한 6예 중 4예에서 $90^{\circ}$ 이상의 상지 거상이 가능하였으며, 일차 수술 후 4년 이후에 수술한 5예는 견관절의 안정성은 얻었으나 전부 $90^{\circ}$ 이상 거상이 불가능하였다. 합병증은 관절탈구와 무균성 감염이 각각 1예로 폴리에틸렌 교체와 반흔 조직 절제술로 치료하였다. 비수술적 치료 실패로 지연 역 견관절 전치환술을 한 6예에서 기능평가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전 예에서 상지의 $90^{\circ}$ 이상 거상은 불가능하였다. 결론: 중첩 동종골과 역 견관절 전치환술의 조합술은 대량의 상완골 골결손이 발생한 환자에서 간단하고 합병증이 적은 골질 회복방법으로 생각된다. 진단 시 근위 상완골 전 절제가 필요한 전이성 골종양 환자는 조기에 역 견관절 전치환술을 하는 것이 기능유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대형슈퍼의 개량확률모델에 관한 실증연구 (A Practical Study on the New Revenue Estimate Model Of SSM)

  • 안성우;이상윤;김판진;윤명길
    • 유통과학연구
    • /
    • 제7권3호
    • /
    • pp.5-24
    • /
    • 2009
  • 소매업에 있어서 입지선정은 점포의 성패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핵심요인이기 때문에 출점 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소매유통업계는 이러한 핵심적인 사항을 고려하지 않고 점포개발자들이 입지를 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권분석 기법의 대부분은 단순통계자료와 느낌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점포 입지선정에 실패하는 주요 이유는 사업현장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상권분석을 통한 점포출점이 이루어지지 못한데 있으며, 특히 슈퍼마켓 업계가 다른 소매업에 비해서 활용빈도가 현저히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중대형 슈퍼마켓을 운영하는 업체가 점포 입지를 선택하기 위한 상권분석 시 활용할 수 있는 모형의 구축을 위하여 광역상권을 모델로 한 기존의 상권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중소상권의 상권분석에 적용시켜 연구를 진행하고, 상권분석 연구의 결과를 이론으로 정립하고 정립된 이론을 근거로 모델 점포의 예상매출을 추정하여 실제매출과 비교검증 하였다. 쇼핑확률 산출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로 기존의 수정허프모델를 이용한 개량확률모델의 새로운 모형구축을 위해 컨버스의 신소매인력모델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쇼핑확률을 산출하기 위해서 수정허프모델을 이용하되 기존의 방법에 반영되는 변수들을 다르게 반영함으로서 광역상권 분석기법으로 중소상권을 분석할 경우 우려되는 차이를 최소화하여 소비자가 점포를 선택하는 조건을 쇼핑확률 계산에 가중치를 반영,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 PDF

흉부식도암 절제술 후 식도-위 문합술군과 유리공장이식술군간의 조기 합병증 비교 (Clinical Comparison of Complications Between Esophagogastrostomy and Jejunal Free Transfer After Resection of Thoracic Esophageal Cancer)

  • 신호승;이재진;홍기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1호
    • /
    • pp.843-847
    • /
    • 2001
  • 배경: 식도질환의 수술 후 식도재건술은 아직도 식도수술에 관여하는 외과의사에게 해결해야 될 부분이 많이 있다. 1996년 1월부터 1999년 12월가지 흉부식도암환자 27명에서 흉부식도절제술 후 15예의 식도-위 문합술과 12예의 유리총장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식도암 수술 후 문합부 누출, 문합부위의 협착, 역류성식도염, 수술시간, 호흡기 합병증 등을 양 군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식적 우회술 또는 식도인공삽입술, 인두식도와 식도 위 결합부위의 암은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우측 개흉술로 식도를 절제하였고, 자동봉합기를 사용하여 식도-위 문합을 시행하였다. 유리공장이식술의 경우 근위부의 식도는 6예에서 자동봉합기를 사용하였으며, 6예의 근위부와 12예의 원위부는 수기통합하였다. 모든 식도 재건술은 후종격동을 경유하였다. 결과: 3예의 수술사망을 포함하여 3예의 문합부 누출, 2예의 이식공장괴사 등 중한 합병증과 11예의 역류성 식도염, 5예의 문합부 협착이 발생되었다. 식도-위 문합술의 평균 수술시간은 300$\pm$160분, 유리공장이식술은 550$\pm$280분이었다. 결론: 역류성 식도염은 식도-위 문합군에서 더 많았고, 수술시간은 유리공장이식군에서 더 길었다(p<0.05). 적절한 환자의 선택과 장시간의 수술에 따르는 술 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면, 식도재건수술후의 역류식도염을 감소시키는 수술로 유리공장이식술이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 PDF

추골동맥 및 분지부 동맥류의 치료결과 (Management Outcomes of Aneurysms of Vertebral Artery and its Branches)

  • 안재성;김준수;김정훈;권양;권병덕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호
    • /
    • pp.33-40
    • /
    • 2001
  • Objective : Aneurysms of vertebral artery and its branches make up approximately 3% of all intracranial aneurysms. As the aneurysm have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lower cranial nerves and medulla, surgical management of the aneurysms are one of the challenging neurosurgical problems. The authors analyzed the management outcomes for aneurysms arising from vertebral artery and its branches. Methods : At the authors' institution between May 1989 and Jan. 2000, 42 patients were treated with transcranial and endovascular surgery for aneurysms of vertebral artery and its branches. The medical records and neuroimaging studies of the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Forty two patients were comprised of 28 female and 14 male patients aged from 26-80 year old(mean : 51.8). Of the 42 patients, 37 patients(88%) had subarachnoid hemorrhage. Of the 37 patients with subarachnoid hemorrahge, 35 patients(95%) were in good neurological status(Hunt Hess grade I-III), 2 patients(5%) in poor grade(H-H grade IV-V) before operation. Location of the aneurysm were 16 in vertebral artery, 12 in vertebro-PICA junction, and 14 in the peripheral PICA. Twenty ni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transcranial surgery and 13 patients with endovascular surgery. The management outcome of the transcranial surgery was : Glasgow outcome scale(GOS) I and II ; 24, GOS III ; 2, GOS IV ; 1 and GOS V(death) ; 2. The causes of mortality related to transcranial surgery were rebleeding after failure in clipping in one and suspected brainstem infarct in one. Morbidity was attributed to vasospasm(3), lower CN palsy(7, including temporary dysfunction) and pseudomeningocele(1). The management outcome of the endovascular surgery was : Glasgow outcome scale(GOS) I-II ; 9, GOS III ; 1, GOS IV ; 1, and GOS V(death) ; 2. The causes of mortality related to endovascular surgery were sepsis from pneumonia(1) and vasospasm(1). There were one cerebellar infarct and one lateral medullary syndrome. Conclusion : Excellent and good surgical results can be expected in 80% of the patients with aneurysms of vertebral arery and its branches. The outcomes of endovascular surgery in treating vertebral artery aneurysm were satisfactory and endovascular surgery may offer a therapeutic alternative especially in vertebral dissecting aneury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