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jujube concentration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발효 흑대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ermented Black Jujube)

  • 홍주연;남학식;윤경영;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01-908
    • /
    • 2012
  • 본 연구는 건대추와 건대추를 이용하여 온도 $50^{\circ}C$, 습도 90%의 항온항습기에서 숙성시켜서 제조한 발효 흑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항산화성을 평가함으로서 대추의 식품학적인 기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의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발효 흑대추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흑대추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열수 추출물이 70%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의 추출물의 열수 및 에탄올 $1,0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85.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보였고, SOD 유사활성능은 발효 흑대추 추출물이 건대추 추출물에 비해 높았으며, 대체적으로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발효 흑대추보다 건대추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건대추 및 흑대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건대추에 비해 발효 흑대추 추출물의 저해활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발효 흑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발효 흑대추는 우수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추 추출물이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정승원;노완섭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9-356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effect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3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LBA) starter cultures in the MRS broth by the addition of 0, 0.1, 0.5, 1 and 2% extract The pH, titratable acidity and OD of LAB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get fundamental knowledge for the development a new product. The effects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LAB were variable depending upon the LAB species and concentrations of Jujube extract significantly (p<0.05). In the results, Jujube extract enhanced the acid production and propagation by the 3 LAB strains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Jujube extracts until 2.0% added was to the MRS broth medium (p<0.05). Addition of Jujube extract markedly stimulated the acid production and propag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Bifidobacterium longum.

  • PDF

건대추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대추와인 발효중의 이화학 및 항산화적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during the Fermentation of Jujube Wine Using Hot Water Extract of Dried Jujube)

  • 엄인주;최정인;김인호;김태훈;김성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98-1307
    • /
    • 2016
  • 본 연구는 대추 열수 추출액을 이용한 대추 와인의 발효중 이화학적, 항산화적 특성 변화 및 최적발효조건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대추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pH 5.05, 산도 0.01% 및 농도 $6.5^{\circ}Brix$이었다. 대추 와인의 발효를 위한 최적의 발효 균주가 최종 선별되었고 최종 선정된 1균주는 26S rRNA gene sequencing과 GenBank DB의 유사성 분석에 의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 되었다. 대추 와인 발효를 위한 추출액의 초기 농도 $15^{\circ}Brix$에서 알코올 함량은 13%로 가장 높았고 잔당 함량은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대추 와인발효 기간중의 알코올 함량은 3일째부터 급격한 증가가 있었고 발효 6일 이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잔당 함량은 알코올 함량의 증가와 더불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발효 12일째 대추 와인의 pH는 4.34, 산도는 0.29%, 알코올 함량은 12.8%, 당도는 $8.70^{\circ}Brix$로 조사되었다. 대추 와인의 유기산 함량은 malic acid의 경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succinic acid와 lactic acid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추 와인의 항산화능 특성 중 ABTS는 45.80%, DPPH은 61.89%, 아질산염 소거활성능은 91.95%이었고, total polyphenol은 3.69 mg/ml의 값을 보였다. 대추 와인의 관능적 평가에 의한 소비자 기호도에서 색과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평균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Enhancing the Organoleptic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Jujube by a Quick Aging Process

  • Kim, Ji-Eun;Kim, Min-Ah;Kim, Jung-Seok;Park, Dong-Cheol;Lee, Sam-P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50-59
    • /
    • 2013
  • Black jujube was made by aging dried jujube and its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ies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evaluated. The moisture and sugar contents we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period of aging times and the pH was reduced thereby increasing acidity. The color of black jujube extract was changed from red to black resulting in decreases of Hunter color values L, a and b. As the aging progressed, sucrose was decomposed by increasing glucose and fructose, indicating higher contents of the total reducing sugars. Among the six different types of organic acids extracted from dried jujube, the levels of ox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increased as the aging progress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dried jujube were 7.74 and 8.12 mg/g, respectively. The water extract of black jujube aged for 48 hr contain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s at 16.82 mg/g. The 5'-hydroxymethylfurfural (5'-HMF) contents of black jujube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by longer aging times, and contained higher contents in the ethanol extract than water extract. The ethanol extract of black jujube showed the highest 5'-HMF content with 338.89 mg% after aging for 3 days. Also, $IC_{50}$ values of black jujube aged for 72 hr evaluated by DPPH and ABTS radical assays were 0.54 and 0.59 mg/mL, respectively.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black jujube at the concentration of 3.33 mg/mL (ethanol extract) increased from 65 to 80 % after aging for 72 hr.

성숙도에 따른 대추(Ziziphus jujube Miller)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의 변화 (Change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Ziziphus jujube Miller Fruits During Maturation)

  • 홍주연;남학식;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12-719
    • /
    • 2010
  • 본 연구는 한방 약용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추의 효능과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추 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각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추 추출물의 수율은 미숙 대추가 가장 낮은 11% 내외의 수율을 보였으며, 완숙 대추가 미숙 대추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율을 보였고, 건조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55.67, 65.95%이었다. 대추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모두 미숙 대추에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았고, 10.0 mg/mL의 농도에서는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같이 9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 하였으나, 미숙 대추의 열수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SOD 유사활성능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능은 미숙 대추 추출물의 10 mg/mL의 농도에서는 39.92%의 SOD 유사활성능을 확인되었다. 대추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와 추출물의 1.0 m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미숙 대추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미숙 대추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실험에 사용한 시료인 미숙 대추, 완숙대추, 건조 대추에는 항산화 물질의 대표적인 폴리페놀 물질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로서 항산화성도 우수한 것으로 보여 천연항산화제나 기능성 식품 및 다양한 식품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추농축액을 첨가한 브라운소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Added with Jujube Concentrate)

  • 홍동표;오석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9-273
    • /
    • 2013
  • Brown sauce is very frequently used for western meat dishes, and this study aims to develop brown sauce for Asians and Koreans by adding jujube concentrate which has natural sugar and is used in Chinese medicine. The ingredi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added with jujube concentrate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ed amount of jujube concentrate added, while the pH decreased. In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sample added with 5% jujube concentrate had the highest score, and the one added with 9% jujube concentrate had the lowest score in color. In the flavor evaluation, the sample added with 5% jujube concentrate had the highest score, and the one added with 9% jujube concentrate had the lowest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the sample added with 5% jujube concentrate had the highest score, and the scores were high in order of 3%, 7%, and 9% concentrates when the samples were heated for 16 hours. Also, when making brown sauce made with beef leg bones, their ingredients continued to flow out even heated for more than 10 hours.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more delicious and healthier sauce could be made by adding jujubes when making beef leg bone brown sauce. Based on these results, even though brown sauce originated from western foods, it can be used to Koreans' taste by adding Korean ingredients. Moreover, more recipes can be made from the brown sauce added with jujube concentrate for more Asians including Koreans to enjoy.

  • PDF

Inhibitory effects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nd defense response signaling chemicals against anthracnose occurrence in Jujube (Zizyphus jujuba Miller)

  • Kim, Su Jun;Kim, Eun Su;Kim, Seung Heui;Yun, Hae 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3호
    • /
    • pp.365-378
    • /
    • 2018
  •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which is one of the major diseases of red dates, causes severe damages in jujube (Zizyphus jujuba Miller) production in Korea.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inhibition of anthracnose occurrence and pathogen growth by the treatment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such as a Bordeaux mixture and loess-sulfur mixture and by defense-response signaling in jujube. The in vitro test of th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nd signaling molecules that were routinely applied did not exhibit any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the pathogen for jujube anthracnose. The Bordeaux mixture and loess-sulfur mixture at a two-fold concentration showed inhibition zones that were 16.0 and 20.3 mm in diameter, respectively. In the pathogen inoculation test with detached jujube tree leaves, while treatment with th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diluted by half showed no inhibition of lesion development, they did show inhibition of lesion development when they were routinely applied to the leaves. In detached jujube fruits inoculated with the pathogen, better suppressive effects by the treatment of th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were seen in the fruits at a young stage rather than in the ripening stage. The in vivo test with jujube trees in pots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salicylic acid (1 mM) resulted in the best suppressive effects against lesion develop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incidence of anthracnose by the treatment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such as the Bordeaux and loess-sulfur mixtures and signaling chemicals such as ethephon, hydrogen peroxide, methyl jasmonate, and salicylic acid in jujube trees and fruits. Consequent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nd defense response signaling molecules could be used as suitable candidates for sustainable agrochemicals to manage anthracnose in jujube production.

대추 Extract를 첨가(添加)한 요구르트의 제조(製造)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Jujube Extract)

  • 유풍현;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70-79
    • /
    • 1996
  • 환원(還元) 탈지분유(脫脂粉乳)에 대추 extract를 0%, 1%, 2%, 3%, 4%, 및 5%를 첨가(添加)하고 혼합(混合) 유산균(乳酸菌)(Str. hermophilus, Lac. bulgaricus)으로 발효(醱酵)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한 후(後) 대추 extract 첨가가 유산균(乳酸菌)의 pH 및 산생성, 유산균(乳酸菌)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점도변화(粘度變化), 당류변화(糖類變化) 및 관능검사(官能檢査)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추 extract 첨가군(添加群)이 대조군(對照群)에 비하여 산(酸) 생성(生成)의 증가(增加) 및 pH의 저하(低下)가 빨랐으며, 첨가구간에서도 대추 extract 첨가(添加)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pH의 저하(低下) 및 산(酸) 생성(生成)의 증가(增加)가 빨랐다. 2.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대추 extract 첨가구들의 유산균수(乳酸菌數)가 증가(增加)되었고, 첨가구들간에서도 첨가농도(添加農度)가 높을수록 유산균수(乳酸菌數)는 증가(增加)되었다. 3. 배양(培養) 6시간에는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대추 extract 첨가(添加)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점도(粘度)는 증가(增加)되었고, 4%, 5% 첨가구(添加區)는 12시간까지 급격한 점도(粘度) 저하(低下)가 나타났으나, 이중 5%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4. 배양후 0시간에서는 대추 extract 첨가(添加)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glucose와 fluctose는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함량이 높아졌으며, 12시에서는 lactose는 대조구(對照區) 및 첨가구(添加區)들에서 비슷하게 감소(減少)되었고, fructose와 glucose도 감소(減少) 경향을 보였으며, galactose는 대조구(對照區) 및 첨가구(添加區)에서 0시간에 비하여 축적되는 경향을 보였다. 5. 관능검사 결과 맛(taste)과 냄새(odor)는 조구(照區)에 비하여 4%, 및 5% 첨가구가 우수하였으며, 색(色)(color)은 대조구(對照區) 대추 extract 첨가구(添加區)와 비교하여 우수하였고, 조직(Texture)은 대조구(對照區)가 대추 extract 첨가구들보다 좋았으나 4%, 및 5% 첨가구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체(Overall)적으로는 대추 extract 3%,및 4% 첨가구가 우수하여 대추 extract 첨가(添加) 요구르트의 제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대추즙을 첨가한 양갱의 제조 및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zation of Yanggaeng added with Jujube Extracts)

  • 윤향식;정은지;권누리;김익제;홍성택;강효중;엄현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83-889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jujube extracts. The jujube extracts were incorporated into yanggaeng at different levels (containing 25%, 50%, 75%, and 100% jujube extract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water. To analyz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manufacture of yanggaengs, pH, moisture content, density of dough, height, specific volume, baking loss, texture, color, antioxidant activity,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sensory test were determined. As the content of jujube powder increased, the pH of yanggaengs decreased but the acidity in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isture content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jujube extracts. The color, lightness and redness of yanggaeng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increased, whereas the yellowish color increased. As the jujube extracts content increased,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reducing sugar and total tannin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yanggaeng contains jujube extract with acceptable sensory properties, such as color, sweet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hich could be integrated into yanggaengs to meet the taste and functional needs of the consumers.

대추 식초 음료 생산을 위한 대추 추출액 발효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Acetic Acid Fermentation for Producing Vinegar from Extract of Jujube (Zizyphus jujuba Mill.) Fruits)

  • 조영제;민들레;한정우;이영은;최영진;임석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11-718
    • /
    • 2015
  • 대추 추출물로부터 식초를 생산하기 위한 발효공정의 최적 조건을 연구하였다. 아세트산 세균을 이용한 발효 공정의 조절 변수로 초기 세균수, 에탄올의 농도, 대추 추출물의 농도, 온도, pH를 고려하여 반응 표면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FCD 기반의 통계 분석을 통해, 영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초기 세균수와 대추 추출물의 농도는 고려요소에서 제거한 다음, 아세트산 생성과 최대 산도를 얻을 수 있는 발효 공정 최적 조건을 탐색하였다. 최대 산도와 최대 아세트산 생성 조건에 대해 각각 $R^2$값이 0.71, 0.78로 나타난 반응 표면 회기식 분석을 통해 7.69% 에탄올을 함유한 25%의 대추 추출물로부터 $21.75^{\circ}C$에서의 아세트산 발효를 통해 52.76 mg/mL의 아세트산을 생산하는 것이 최대 효율 공정으로 예측되었으며 이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