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ice extrac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2초

해조류 및 흡착제의 첨가가 양파즙의 냄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weeds and Adsorbents o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Onion Juice)

  • 기해진;박양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77-1483
    • /
    • 1999
  • 양파의 향기성분을 보존 또는 제거할 목적으로 양파냄새를 masking하거나 제거하는 물질을 양파즙에 처리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pyruvate와 thiosulfinate를 측정하였으며 Solid Phase Micro Extraction(SPME)/GC법을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양파즙의 주요 향기성분은 dipropyl tetrasulfide, 1-propenyl propyl trisulfide, methyl propyl trisulfide, dipropyl trisulfide 등이었다. 다시마, 미역, 김, 규조토를 첨가한 양파즙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향기성분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활성탄과 ${\beta}-cyclodextrin$ 첨가군은 거의 모든 향기성분이 제거되었다. 여러 가지 첨가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양파즙에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양파 냄새는 감소하였으며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해조류를 첨가한 군의 pyruvate와 thiosulfinate 함량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활성탄을 첨가한 양파즙의 경우, 그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다시마, 미역, 김 등의 해조류 처리군은 양파의 향기성분과 매운맛 성분을 보존하면서 관능적으로 양파냄새를 masking하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beta}-cyclodextrin$과 활성탄은 양파에 존재하는 많은 휘발성 향기성분과 복합물을 형성하거나 홉착하여 양파냄새를 제거한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 PDF

착즙방법에 따른 유자과즙의 품질 비교 (Influence of the Extraction Method on Quality of Citron Juice)

  • 정진웅;권동진;황진봉;조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4-708
    • /
    • 1994
  • 유자 과즙의 착즙방식에 따른 유자 과즙의 품질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회전식 마폐착즙, 압착식 및 벨트식 착즙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회전식 마쇄착즙방식에 의한 과즙수율은 24.49%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압착식은 18.09%, 벨트식은 12.60%로 각각 나타났다. 압착식 및 희전식 마폐 착즙방식에 의한 과즙의 가용성 고형물은 $11^{\circ}Brix$ 수준으로 벨트식의 $9^{\circ}Brix$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적정산도는 벨트식이 6.1%로 가장 높고, 희분량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오일 및 펌프 함유량도 벨트식에 비해 $2{\sim}4$배 정도 높았다. 그리고 총당은 5%수준으로 착즙방식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유리당의 경우 fructose, glucose, sucrose 가 벨트식에서 각각 0.54, 0.37, 1.11% 수준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또한 지방산 함량은 회전식 마쇄착즙방식에서 oleic acid, 압착식에서 palmit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벨트식에서 stearic acid의 함량이 타 방식에 비해 다소 높게 분석되었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벨트식이 타 착즙방식에 비하여 적게 나타났으며, 특히 threonin은 회전식 마계착즙법에서만 감지되었으며, 그리고 methionin과 cystine은 모든 착즙방식에서 전혀 감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아미노산 총함량은 벨트식에서 3,613.49mg%로 타 방식에 비하여 약 $1.3{\sim}1.6$배 청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 PDF

분무건조에 의한 분말대추음료의 가공 (Processing of Powdered Jujube Juice by Spray Drying)

  • 안덕순;우강융;이동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86
    • /
    • 1997
  • 대추를 이용한 가공제품의 하나로서 분무건조에 의한 분말음료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대추 추출액은 그 자체로는 모든 농도 범위에서 분무건조 하기가 불가능하였고 건조보조제의 첨가에 의해서 분말음료로의 제조가공이 가능하였다 대추 추출액은 26。Bx 농도까지 농축시키고 알맞은 건조보조제를 첨가하여 최종농도를 30。Bx로 조정하여 분무 건조시켰다 첨가되는 건조보조제의 양은 대추 추출액과 건조보조제의 비율이고 형물 기준으로 1:1정도까지 흔합했을때 건조가 용이하고 얻어지는 제품의 품질이 양호하였다. maltose, 농축유, gum arabic, dextrin등의 건조보조제를 검토한 결과 maltose와 gum arabic을 흔합하여 사용할 때 제품의 관능적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대추 추출시의 효소처리는 수율을 13~39% 향상시 킬 수 있었다. 그렇지만 효소처리가 분말대추음료의 관능적인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추출수율 향상을 위해 사용되어진다면 품질열화가 적은 pectinase의 0.5% 처리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Cabbage Juice Medium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Starter

  • Jeong, Eun Ji;Moon, Dae Won;Oh, Joon Suk;Moon, Jin Seok;Seong, Hyunbin;Kim, Kwang Yup;Han, Nam 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2호
    • /
    • pp.2112-2118
    • /
    • 2017
  • Leuconostoc mesenteroides is used as a starter to produce high-quality kimchi products. In this study, an efficient and economical cabbage juice medium (CJM) was developed by process optimization of cabbage extraction and pasteurization and by compositional supplementation of various lacking nutrients. The pasteurized cabbage juice was determined to be a good medium candidate to cultivate L. mesenteroides, showing maximal cell numbers ($9.85{\times}10^8CFU/ml$) after 24 h. Addition of sucrose and yeast extract with soy peptone resulted in increment of bacterial cell counts in CJM, showing the supplementing effect of the lacking nutrients. Furthermore, addition of shell powder gave a protective effect on bacterial cells by preventing pH decline and organic acid accumulation in CJM, resulting in a 2-fold increase of bacterial counts. The optimized composition of CJM was 70% cabbage juice diluted with water, 0.5% (w/v) sucrose, 1% (w/v) yeast extract, 1% (w/v) soy peptone, and 1.5% (w/v) ark shell powder. The CJ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ble to yield a comparable level of bacterial counts with MRS medium and reduced the cost by almost 10-fold.

반응표면 분석에 의한 사과 주스의 Patulin 감소 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Decreases in the Patulin Level of Apple Juic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백창호;박난영;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4-9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사과의 주스 가공과정에서 patulin 함량 최소 방법을 모니터링 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으로 ascorbic acid 첨가량(100, 200, 300 및 400 ppm)과 활성탄 사용량(50, 100, 150 및 200 ppm)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각각의 조건에서 사과주스를 제조한 결과 patulin 잔류량은 ascorbic acid 함량 237.77 ppm, 활성탄 함량 106.58 ppm에서 최소점을 나타내었다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활성탄 사용량보다는 ascorbic acid 첨가량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페놀성 물질 함량의 정상점은 안장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예측된 정상점은 최대점으로 나타나 ascorbic acid와 활성탄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사과주스 가공시 patulin 잔류량은 ascorbic acid 246~274 ppm (v/v), 활성탄 93~122 ppm (v/v)에서 최소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과주스 가공 품질인자의 $R^2$는 모든 구간에서 1~10%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웅황과 자황의 소화 반응과 인체내 존재형태에 대한 예측 모델링 (Gastric juice and Realgar and Orpiment Mineral Medicine Reaction; Reaction Path and Speciation Modeling in Human Body)

  • 김선옥;박맹언;신순식;김경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65-372
    • /
    • 2002
  • The mineral medicines mean a sort of mineral or rock for medical treatment and natural material using their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it was apprehended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As-bearing group mineral medicines. The extraction test is an vitro test system for predicting the bioavailability of the major and minor elements from mineral medicines and incorporates gastrointestinal tract parameters representative of a human(including stomach and small intestinal pH, stomach mixing time and velocity). The results of the extraction test are used for reaction path modeling in human body. Reaction path modeling in human body can predict digestion with gastric juice as well as bioavailability, speciation. Also, it can predict accumulation of arsenic as pH condition. As the results of the extraction test for digestion, the amounts of Fe extrac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s, Ca, Ni. In addition, as the results of the reaction path modeling between arsenic compounds and gastric juice using thermodynamic data, when absorbed, major species are followed by H₃As₃S/sub 6/(aq), As₃S/sub 6/ (aq), AsO/sup +/, H₂As₃S/sup 6-/, H₂AsO/sup 3-/, HAs₃S6/sup 2-/, HAsO/sub 3//sup 2-/ and AsO/sub 3//sup 3-/. Specifically the concentration of H₃As₃S/sub 6/(aq) is the highest. As pH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H₂AsO/sup 3-/, HAsO/sub 3//sup 2-/, HAsO/sub 3//sup 3-/, HAs₃S/sub 6//sup 2-/, H₂As₃S/sup 6-/, and H₃As₃S/sub 6/ increases, whereas the concentration of H₃As₃S/sub 6/ and AsO/sup +/ decreases.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ble to find out effective and toxic components of poisonous arsenic group of mineral medicines and expected to be widely us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medicines.

흑오미자 즙액의 추출조건과 추출물의 특성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and Extracting Conditions of Juice Preperation from Schizandra nigra)

  • 박문수;임요섭;신수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4호
    • /
    • pp.453-458
    • /
    • 2006
  • 본 연구는 흑오미자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가공적성 가운데 가공제품의 생산과 상품성에 관련이 깊은 몇 가지 특성을 한국산, 중국산 오미자와 비교 조사하였다. 온도 및 추출시간($80^{\circ}C$에서 3, 4, 5시간, $40^{\circ}C$에서 7시간), 추출용매(증류수, 20% 에탄올 수용액)를 사용하여 즙액의 추출 수율과 색도, 당도(가용성 고형분), pH를 측정하여 흑오미자, 한국산 오미자와 중국산 오미자, 흑오미자 줄기를 비교한 결과, 수율을 기준으로 한 흑오미자의 추출조건은 20% 에탄올 수용액으로 $80^{\circ}C$ 물 중탕에서 3시간 추출이 가장 적합하였다. 추출액의 색도 측정에서 L값(명도)은 $80^{\circ}C$로 4시간 20% 에탄올 수용액 추출액이 낮고, $40^{\circ}C$로 물 추출액이 높았다 a값(적색도)은 20% 에탄올 수용액으로 4시간 추출이 가장 높았으며, b값(황색도)은 온도가 높고($80^{\circ}C$, 5시간) 장시간 증류수 추출액이 높아 적색색소의 추출방법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흑오미자 추출물의 당도는 2.0-2.6% Brix 범위로 오미자 추출물보다는 낮았다. pH는 3.39~3.62 범위로 산성을 나타내었고, 오미자 즙액의 안정한 적색을 나타내는데 충분한 pH 범위였으며, 흑오미자 줄기의 즙액도 증량제로 이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흑오미자(Schizandra nigra Max) 즙액의 추출조건과 추출물의 특성 (The properties and extracting conditions of juice preperation from Schizandra nigra Max.)

  • 신수철;강성구;장미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7-193
    • /
    • 2003
  • 흑오미자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가공적성 가운데 가공제품의 생산과 상품성에 관련이 깊은 몇 가지 특성을 한국산, 중국산 오미자와 비교 조사하였다. 흑오미자로부터 온도(80, 4$0^{\circ}C$), 추출시간 (3, 4, 5, 7시간), 추출용매(증류수, 20% 에탄올)를 사용하여 즙액의 추출 수율과 색도, 당도(가용성 고형분) pH을 측정하여 한국산 오미자와 중국산 오미자를 비교한 결과, 수율을 기준으로 한 흑오미자의 추출조건은 20% 에탄올 수용액으로 8$0^{\circ}C$ 물 중탕에서 3시간 추출이 가장 적합하였다. 추출액의 색도 측정에서 L값(투명 도)은 8$0^{\circ}C$로 4시간, 20%에탄올 추출액이 낮고 4$0^{\circ}C$로 물 추출액이 높았다. a값(적색도)은 8$0^{\circ}C$, 4시간 2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b값(황색도)은 온도가 높고 (8$0^{\circ}C$, 5시간)장시간 증류수 추출액이 높아 적색색소의 추출방법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흑오미자 추출물의 당도는 2.0에서 2.6%Brix 범위로 오미자 추출물보다는 낮았으며, pH는 3.39­3.62 범위로 산성을 나타내었고 오미자 즙액 의 안정한 적색을 나타내는데 충분한 pH 범위이었으며, 흑오미자 줄기의 즙액도 증량제로 이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Sambucus canadiensis에 의한 천연식용(天然食用) 색소(色素)의 개발(開發)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Natural Food Colour made from Sambucus oanadiensis)

  • 박교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5-81
    • /
    • 1978
  • Elder berry는 요즈음 미국(美國)에서 기업적(企業的)으로 재배(栽培)가 되고 있다. 이들 열매는 주(主)로 천연색소(天然色素) Jelles, Jam, 과실주(果實酒), 음료(飮料) pie mixes 등에 쓰여지고 있으며 자원식물(資源植物)이므로 재배면적(栽培面積)이 확대일로(擴大一路)에 있다. 본(本) 연구(硏究)는 생과(生果)를 채취(採取)하여 과즙(果汁)을 추출(抽出)한 뒤 청징액제법(淸澄液製法), 가당제법(加糖製法), 직공농축법(直空濃縮法), powder의 특성(特性) 및 안정성(安定性) 검정(檢定)등 등의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천연식용색소개발(天然食用色素開發)의 결과(結果)를 얻었다. 1. Pectinase는 $35{\sim}45^{\circ}C$에서 청징효과(淸澄効果)가 컸다. 2. 청징액(淸澄液)의 저장(貯藏)은 P.V.C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고 적자색(赤紫色)의 원액(原額)에 변색(變色)이 없었다. 3. Stainless Steel drum에 저장(貯藏)된 Juice는 자색(姿色)으로 변화(變化)된다. 4. Juice에 설당(雪糖)을 20~40% 가당(加糖)하여 P.V.C통에 저장하는 것이 Home Juice나 Home wine용(用)으로 활용성(活用性)이 기대 되었다. 5. Vaccum Concentration하여 저장(貯藏)한 것은 흑갈색(黑褐色)으로 변화(變化)한다. 6. 분말상(粉末狀) 천연색소(天然色素)를 만들 수 있고 조해성(潮解性)이 있으며 직공(直空)포장하면 효과적(効果的)이다. 7. Powder인 Anthocyanosid는 다음과 같은 특성(特性)이 있다. 1) Fresh Juice의 흡광도(吸光度)는 파장(波長) $523m{\mu}{\sim}530m{\mu}$사이에 있다. 2) 색조(色調)는 $PH_4$ 이하(以下)에서 안정(安定)하다. 3) 열안정성(熱安定性)에 있어서도 $pH_4$ 이하(以下)에서 안정(安定)하고 $pH_4$ 이상(以上)에서는 갈변(褐變)한다. 4) 내광성(耐光性)은 $pH_4$ 이하(以下)에서 안정(安定)하다. 5) pH의 안정성(安定性)은 $pH_3$에 가장 알맞다. 8. 금후(今後) Used prospects는 천연(天然) 적자색(赤紫色)의 색소(色素)로서 음료수(飮料水), 광과류(光菓類), Candy, Wine, Gum, Jam, Jelly, 등의 제조(製造)에 크게 기대 된다.

  • PDF

포도 송이가지에서 레스베라트롤의 분리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Resveratrol from a Grape Twig)

  • 신현재;강병선;안준배;김복희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351-355
    • /
    • 2007
  • 포도즙 착즙 후 폐기되는 포도송이가지를 재활용하여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resveratrol을 80% 에탄올로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60분 동안 추출한 후 실리카겔 컬럼을 적용시켜 99% 이상의 순도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resveratrol의 안정성은 4$^{\circ}C$에서는 반감기가 90일이었으며, 25$^{\circ}C$에서는 60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고순도 resveratrol 추출물을 적용하여 기존의 식품에 포함된 양의 2$\sim$10배 정도 강화시킨 포도즙의 관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으며, 색, 향 및 당도는 일반 포도즙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앞으로 포도착즙의 부산물인 포도송이가지에서 추출된 resveratrol은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향장품 소재 등으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