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시공단계 BIM 도입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문가 면담 및 현장실무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질적인 BIM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행 BIM을 통한 시공성 분석 및 검토 관련 연구는 개념 정립과 업무 프로세스 등의 규명과 적용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실질적인 건설프로젝트 현장실무자를 위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음에 본 연구는 기 연구방식과의 차별화된 점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건설 기술자들의 BIM 도입 시공성 분석에 대한 필요성 및 BIM을 도입해 수행했으면 하는 시공성 분석 업무 분야의 세부적 내용, 그리고 기존의 시공성 분석 업무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대안으로 BIM을 적용한 시공성 분석방안을 이론적으로 조사하고, 도출된 사항을 현장 실무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실질적인 현장적용 우선순위인 공종간 간섭체크 및 시각화에 대한 내용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내용을 적용한 개선된 시공성 검토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 BIM 도입을 위한 현장실무자 관점 BIM 기능 요소 도출, 프로세스 개선 및 협업도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으므로, 향후 현장실무자 관점 BIM 기반 시공성 분석 협업체계에 대한 프로세스 정립 및 공사 관리를 위한 견적 공정 시뮬레이션 업무 프로세스 정립과 BIM 저작도구를 전면적 개선이 아닌 부분적 개선을 통한 BIM 도입 현장적용 방안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어진다.
대다수 농산물과 마찬가지로 건조표고의 등급판정은 외관특징에 주로 의존한다. 표고 갓의 전후면에 걸친 복잡하고 다양한 외관특징들로 인하여 표고의 등급판정은 임의로 추출한 표고샘플에 대하여 전문가가 수작업으로 판정하고 있으며, 선별작업 역시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단순한 반복작업으로 보이는 농산물의 등급판정은 사실 시각과 촉각을 위시한 고도의 감각신경계를 통하여 상호 복잡하게 얽혀 들어오는 정보를 지능적으로 처리하는 고기능의 작업이다. 농산물의 경우, 외관특성을 비롯한 물성은 종류별로 그 경계치를 일괄적으로 명확하게 규정할 수 없기 때문에 대개는 오차를 포함한 통계적 접근에 의하여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농산작업에 있어서는 농산물 물성이 갖는 모호성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가변적인 작업구조 및 정보처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뇌의 정보처리 기능을 부분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인공신경회로망을 컴퓨터 시각 시스템에 적용하여 단순 기하도형의 분류 및 표고의 등급판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회로망 입력으로는 컴퓨터시각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조표고의 정성적 외관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한 후 정량화한 특징점 값들을 이용하였다. 신경회로망의 학습은 표본 추출한 등급표고와 이들의 정량적 특징점 값들을 입출력 쌍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학습한 회로망의 등급판정 성능시험은 표본추출한 미지의 표고에 대한 컴퓨터 영상 특징점 값들을 입력하여 수행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prove that if the risk level in combined tasks was improved through evaluation of postural load of liquid weight measurement process, the workload level and ratio of exposure time would be changed, and the time of process would be seen concurrently. Background: According to results of epidemiological studies conducted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122 musculoskeletal disorders occurred during 1992 to 2008, in which manufacturing industry covers 96(78.7%) of total. However, this is an insufficient level and only occupies 39% based on the South Korea's manufacturing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246 industries). Method: Firstly, the number of batches weighed on one day(460min)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work performed and Weight measured weekly. VCR recording was taken based on the level of liquid ingredients prescribed for 1batch using the Camcorder. After dividing a 356 sec video into 1 sec using the screen capture function in Gom player, the job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by analyzing the change of working postures, which revealed 148 working postures. Time measurement was decided by time of the postures was being maintained. Then, the REBA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working postures. The ratio of Exposure tim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ment time and REBA Score. In addition, the recommendations were designed and implement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working postures with REBA Score higher than 3. Finally, after the intervention, REBA measurement, time measurement, and ratio of exposure time were calculated for the comparison of works before and after improvement. Results: The number of work elements was decreased by 30.4% from 148 to 103 after improvement. The results of tim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time was reduced by 46.3% from 356 sec to 191 sec. And the ratio of exposure time was also improved by 52.1% from 0% to 52.1% after improvement. Conclusion: The reduction of time was fou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management. Furthermore, because the reduction of ratio of exposure time and the improvement of workload level are the improvement of discomfort, it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worker's psychological working posture. Application: These results would contribute to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Further studies for other industries would be needed based on this case study.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customized visiting oral health programs in a bid to help facilitate the unified operation of the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required guideline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 dental hygienists who were professionals responsible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s across the nation. Results : 1. Regarding the form of employment of the dental hygienists were investigated many contract and daily workers. 2. As to the possession of equipment necessary for visiting oral health programs, denture cleaners(12.2%) were most widely possessed in some regions, followed by mobile scalers(10.2%) and mobile suctions(8.2%). In terms of expendable devices and materials, dental mirrors, pincettes and explorers were the most widely possessed dental checkup devices, and the most widely possessed oral hygiene supplies were toothbrushes, interdental brushes and denture cleaners. Those devices and materials were in more possession than the other types of devices and materials. The most widely possessed equipment for educational purpose was laptop computers, followed by beam projectors and screens. The most widely possessed teaching materials were dentiform, followed by CD-ROMs. 3. Those whom they visited the most for oral health care service were elderly people, followed by the disabled and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The dental hygienists who went out to visit those people outnumbered the others who stayed at public health centers. Concerning the types of visiting oral health care service, the most prevalent service provided to the elderly included denture cleaning/management, oral massage and preventive treatment against dental caries. The most dominant service provided to the disabled involved education of the oral health care act, preventive treatment against dental caries and toothbrushing by professionals. The most common service offered to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was education of the oral health care act and oral health education. The dental hygienists paid a visit to a mean of 5.8 households a day. The average weekly number of households cared by the dental hygienists was 27.3. It took a mean of 37.1 minutes for them to take care of each household. 4. As fo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visiting oral health programs, they expressed the greatest satisfaction at teamwork with professionals($3.56{\pm}0.94$), followed by the professionalism of their work($3.21{\pm}0.94$) and workload($3.08{\pm}0.94$).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work conditions required for creative job performance($2.75{\pm}0.98$) and partnership with other institutions($2.64{\pm}1.03$) was below 3.0. In regard to the impact of their characteristics, marital statu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satisfaction level with workload. The unmarried dental hygienists were more pleased with their workload than the married ones(p<0.05). 5. As to needs for education for professionalism improvement, they asked for education about visiting oral health care skills the most, followed by education about oral health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education of planning/evaluation and education of oral health care for the disabled. Conclusions : The top priority for the vitalization of the programs was the procurement of budget, followed by the procurement of equipment and educational media and the procurement of human resources.
Objectives : In order to manage to reformative tendency of the educational whole with change request of dental hygienics education which is diversificated and professionalized the manufacturing practice of a temporary resin jacket which is educated with from much dental hygiene is become accomplished, so far also the recognition which relates with the manufacturing practice of a temporary resin jacket of dental hygiene students there is not researched. The present research carried out the practice evaluation with the target of students of a dental hygiene department, who finished a manufacturing practice of a temporary resin jacket, analyzed and investigated the material, reported its result, and enforced a research. Methods : This research selected students of 6 dental hygiene departments located in the Daegu Gyeongbuk region, who have manufacturing experience of a temporary resin jacket, by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nd then a questionnaire was executed by a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a total of 290 copies were statistically treated.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are composed of 2 questions on an attitude survey before and after manufacturing practice of a temporary resin jacket, 3 questions on an educator for practice of a temporary resin jacket, 7 questions on recognition of technical skills for manufacturing a temporary resin jacket, 9 questions on the practice content evaluation of manufacturing of a temporary resin jacket and recognition on manufacturing practice of a the temporary resin jacket. Results : 1. The average of recognition on technical skills for manufacturing a temporary resin jacket of a dental hygienist was 3.82 points, the average of evaluation on practice content of manufacturing a temporary resin jacket being 3.75 points, and the average of recognition on the practice of manufacturing a temporary resin jacket was 3.71 points. 2. Currently, as the educator for the practice of manufacturing a temporary resin jacket, dental hygienists were 188 persons(64.8%) and dental technicians was 102 persons(35.2%), and as educators they want in the future, dental hygienists were 97 persons(33.3%) and dental technicians was 193 persons(66.7%). Persons hoping reeducation for manufacturing a temporary resin jacket were 219 persons(85.9%).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ciousness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practice of manufacturing a temporary resin jacket(p<.001).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actice evaluation and pract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subject(p<.001). 5. There was a significant reverse correlation in the educational subject, practice evaluation and practice recognition(p<0.01). Conclusions : The practice for manufacturing a temporary resin jacket in education of dental hygiene is necessary to improve job performance ability in more various and specialized dental treatment and to solve desire for improvement of professional technical skill ability of students, and accordingly. About study process of the future students observation investigation or student objective interview investigation etc. seeks a problem in the become research lead, the succeeding research which gropes the plan which is the possibility of solving the problem which discovered is thought will be necessa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ake dental technician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devise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ies of establishing their positive professional self-concept.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tried to present some improvement measures for dental technicians' actual services by examining their job satisfactio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study subjects' self-concept is 3.41($\pm$.58) (perfect score=5), middle or high in rank. As for the mean scor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by realms, the self-concept of communication is 3.59($\pm$.67), the highest; the self-concept of leadership in the realm of professional service is 3.54($\pm$.75); the self-concept of skills is 3.50($\pm$.75); the self-concept of adaptability is 3.47($\pm$.69); and the recognizant level of satisfactory self-concept is 2.95($\pm$.81), below the normal.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variables as age, marital states, and the length of one's servi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recognition of self-concept. First, the self-concept of those whose age is between 31 and 35 is the highest (3.64$\pm$.49), and it is followed by that of those whose age is 36 and above (3.57$\pm$.77) and then that of those whose age is between 26 and 30 (3.31$\pm$.56)). And that of those whose age is below 25 is the lowest. The obove results show us that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older study subjects is higher than that of younger ones in general(p<.01). As for marital states, that of married persons(3.54$\pm$.64) is higher than that of unmarried ones(3.35$\pm$.55)(p<.05). As for the length of one's service, that of longtime employees is higher than that of short-period workers(p<.01). In relation to positions, a manager's professional self-concept is the highest(3.89$\pm$.55) and that of an assistant technician is the lowest(3.17$\pm$.58).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higher ranking technicians is higher than that of lower ones in general (p<.001).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investigator suggests followings: First, studies o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that i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dental technicians must be carried out with a new point of view. Second, a tool must be researched and developed in order for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dental technicians to be measured. Third, if a new professional self-concept is established and a measuring tool is developed,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technician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ractice performance can be carried out again.
Purpose - In the insurance distribution channel, the salespeople plays a role of representing the company, and recognizes the needs of the customers and plays a role in responding to them. Therefore, their turnover ca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company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alespeople's personal - environmental fi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 self-filling questionnaire for salespeople for about one month from July 24, 2017 to August 30, 2017. The subjects of the questionnaire were the insurance salespeople who work in the sales line such as K life, S fire. A total of 45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432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analysis program used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Analysis method w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Results - As a result of Hypothesis 1, Person-Supervisor Fi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ly on Continuance Commitment. Person-Job F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son-Coworker F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ance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Person-Organization Fi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ffective Commitment. Therefore, only , , , , were adopted. As a result of Hypothesis 2, Continuance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only was adopted.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human resources in the sales field through studies related to salespeople's extension of the research scope and salespeople's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effici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insurance companies in sales channel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for the salespeople to find out what kind of Person-Environment Fit affect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ow to manag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목적 자기공명 스펙트럼 데이터의 처리 및 분석을 특정 workstation이 아닌 일반 PC의 windows 운영체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GUI(Graphical User Interface)기반의 Spectroscopy 분석용 도구를 개발하였다. 대상 및 방법 S/W의 개발은 MATLAB(Mathwork사 미국)을 이용하여 PC의 window운영 체제에서 GUI 기반으로 동작하게 하였다. 시간 영역의 raw data와 주파수 영역의 spectrum data를 동시에 display할 수 있게 하였으며 Zero filling, 여러 종류의 filtering, 위상보정, FFT, peak area 측정 등의 기능을 갖추었다. 또한, 1.5T Gyroscan ACS-NT R6(Philips, Amsterdam, Netherland)의 $^1H$ Spectroscopy 패키지를 이용하여 정상인 뇌의 Parietal white matter, Basal ganglia, Occipital grey matter 영역에서 얻은 $^1$H MRS data를 정성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타 기종에서 얻어 발표된 $^1H$ MRS data와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개발된 S/W를 이용하여 정상인 뇌에서 $^1H$ MRS data를 processing한 결과 NAA/Cr, Cho/Cr, MI/Cr 비율은 TE를 달리하였을 때, 유의수준 5%에서 Parietal white matter(PWM)의 NAA/Cr peak ratio를 제외하고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기존에 발표된 문헌과 비교할 때 다른 MR장치의 NAA/Cr, Cho/Cr, MI/Cr 값들에 비해 평균값과 표준편차가 전반적으로 10-50%의 큰 값을 나타내었다. 결론 : 정상인 뇌에서 세 부위에 대하여 $^1H$ MRS를 얻고 이에 대한 정성.정량 분석을 함으로써 MRS를 임상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준비를 하였으며 이러한 작업을 PC에서 독립적으로 수행함으로서 MRI system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서로 다른 기종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므로 정상인에 대한 MRS database를 구축한 후에 $^1H$ MRS를 임상에 적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의 복지제도의 사회복지정책에서 종종 사용되는 자활(self-sufficiency; SS)은 사회복지학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이러한 연구들 중에는 심리적 자활(phycological SS; PSS)를 구성하는 자립 의지 척도(employment hope scale; EHS)와 인지된 고용 장벽 척도(perceived employment barrier scale, PEBS)가 미국의 저소득 구직자들의 경제적 자활(economic self-sufficiency; ESS)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도 있다. 이러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사회과학분야에서 설문조사 자료는 주로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으로 분석된다. 설문조사 자료에서는 일반적으로 측정변수의 개수가 많고 변수들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주로 다루는 설문조사 자료를 SEM과 PC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을 경우 그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우리는 두 가지 분석 방법의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우리는 또한 PSS와 ESS에 대한 실제 설문조사 자료를 이 두 가지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통증관리 지식, 태도, 수행정도를 파악하여 추후 요양병원 통증관리 교육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4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20명을 대상으로 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통증관리 지식과 통증관리 태도는 원래 연구도구는 Watt-Watson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통증관리 수행정도는 요양병원에서의 통증관리 가이드라인들을 근거로 연구자가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통증관리 지식은 40점 만점 평균 26.2점이었다. 가장 많이 틀린 문항은 통증의 주관성에 대한 항목으로 '통증에 따르는 환자의 생리적, 행동적 반응을 보고 통증의 유무와 강도를 파악할 수 있다(89.2%)'였고, 56.7%는 내성의 증가는 마약성 진통제 중독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였다. 통증관리 태도와 실무에 관해서는, 80.2%가 통증을 자주 호소하는 환자에게 위약을 사용한다고 하였고, 위약사용은 간호사가 두 번째로 자주 사용하는 통증관리 방법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통증관리 지식이 낮고 태도가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증관리 실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요양병원 간호사들에게 통증관리 교육, 특히 통증의 속성과 위약남용에 대한 교육이 시급하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