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basic skill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5초

의류수출업체의 3D 디자이너 직무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3D Designer Jobs in Fashion Vendors)

  • 최영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04-514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extract and structure the job skills required for 3D designers, which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to the fashion industry. The study aimed to materialize and objectify the 3D designer's job,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for the survey. The 3D designer has the TD task of making 3D virtual samples using the pattern files developed in Pattern CAD. Graphic design and fabric digitization are also major tasks for the 3D designer. CLO is mainly used for 3D virtual sample production, and PixPlant, Substance, Photoshop, Cinema 4D, Daz studio, and 3ds MAX are used for image and avatar editing. As per the job skills required for 3D design work, basic knowledge about patterns and sewing, skill in 3D virtual clothing technology, ability to use various software, and English skills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that order. In particular, the need for knowledge about patterns and sewing became more important than the skill in 3D virtual clothing technology itself. To train 3D designers, it was found that not only 3D virtual clothing software, but also education on patterns and clothing construction, CAD developer's curriculum certification system, and 3D designer qualification management were required. In addition, 3D designers are recognized as an essential job in fashion vendors, and the demand for domestic brands is increasing. The biggest limitation of the 3D virtual clothing system is the perfection of the digital fabric. Also, technical improvement is needed.

신규간호사의 DISC 행동유형이 직무만족과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ISC Behavioral Styles on Job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ies among Newly Hired Nurses)

  • 문미영;황선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3-52
    • /
    • 2015
  • Purpose: In this study, behavioral styles of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and Conscientiousness (DISC) were examined and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among newly hired nurses were explored. Methods: For this explanatory correlational research, 176 newly hired clinical nurses were recruited from three university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in August, 2013 th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The distribution of behavioral styles was 11.4%, 42%, 29% and 17.6% for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and Conscientiousness respectively. DISC behavioral styles were associated with sub-areas of job satisfaction such as professional position and doctor-nurse relationship. DISC behavioral sty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total score for clinical competence and sub-areas of data collection, basic nursing skills,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nd leadership, and attitudes towar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actical skill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ISC behavioral styles predicted clinical competence (Adj. $R^2$=.14, F=9.42, p<.001). Conclusion: A focus on cultivating influential and steady behavioral styles among newly hired nurses can be helpful in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There is a need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a deeper understanding of each person's behavioral style based on the analysis of DISC behavioral styles.

글로벌 소싱 관련 직무 이해를 통한 의류학 교과내용 제안 (Suggesting the Curriculum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by Understanding Jobs related to Global Sourcing)

  • 김수경;박민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54-769
    • /
    • 2015
  • Global sourcing refers to activities performed to acquire materials, finished products and apparel production all around the world.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basic job requirements and primary skills of sales team and supporting team in global sourcing companies, to investigate educational programs provided by the companies or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o examine courses to be newly established in the curriculum of clothing and textile majors.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the ability to use English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important to perform their tasks (sales and supporting teams). The results revealed that fabric and textile, sewing, and apparel production process were the most frequently taken educational programs provided by global sourcing companies and English classes were the most frequently taken educational programs in the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esults also found that the clothing and textile curriculum need to add classes that help sales and supporting teams perform global sourcing tasks, such as fashion practical English, fabric and textile, apparel production processes, textile and apparel trades, fiber and fabric testing, and presentation skills. The study suggested educational directions for developing curriculum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and cultivating professionals in the global sourcing industries.

직업기초역량으로서의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보정 학습 프로그램 개발 (A Remedial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Mathematics Applying Abilities as one of Core Competencies)

  • 최승현;류현아;남금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55-674
    • /
    • 2013
  • 현재의 학업성취도 평가가 직업교육이 목적인 특성화고에 적절치 못하다는 현장의 요구를 수용하여 교육과학기술부(2012)는 2013년부터 특성화고 학생의 직업역량 강화를 위해 직업기초능력평가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이 평가의 결과는 인증서로 제공되어 취업 과정에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신장시키고 나아가 이후 학생들이 직업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학학습 지원 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수학 기초학력 부족으로 직업기초능력평가에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보여, 이 학생들의 잠재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수학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 수학과 교육과정 지도 내용에서 이후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수리 활용 능력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내용 영역별 단계 및 하위 레벨을 구성하고, 해당 학습 요소를 구성하여 내용 영역별 학습 요소를 체계화하여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한국 중·장년층의 직업이동경로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및 직업역량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vocation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areer movement path of middle-aged Koreans)

  • 이수정;김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91-49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직업이동의 경험이 있는 한국의 중·장년층(만 40세~64세)을 대상으로 하여 직업이동경로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및 직업역량의 차이를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2020년 2월 한 달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1,224명의 자료 중, 최근 5년 이내에 직업이동을 한 중·장년 845명을 선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첫째, 직업이동을 한 경우는 69.0%였고, '고용→고용상태'로 직업이동을 한 경우가 48.2%로 가장 많았고, '실업→고용상태'로 직업이동은 28.4%로 2순위였다. 둘째, 모든 집단에서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비율이 높은 가운데, '가사(육아)→고용상태'의 경우에는 80.6%가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하지 않았다. 셋째, '고용→고용상태' 집단의 직업기초능력과 직무능력 유용성에 대한 인식 및 구직기술이 다른 집단에 비해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 '실업 상태와 가사(육아)에서 고용상태'로 직업이동을 한 중·장년층의 직업역량이 다른 집단에 비해 직업역량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 집단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요구됨을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on the Improvement of Basic Skills)

  • 이재한;이운성;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1호
    • /
    • pp.101-106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73명을 분석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자기개발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p<.001 유의수준에서 외향적성격(.423)이 자기개발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내성적성격(p<.05, ${\beta}=.268$)과 외향적성격(p<.001, ${\beta}=5.862$)이 정보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R^2=.389$로 38.9%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개인적 특성이 대인관계 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넷째, 개인적 특성이 자기개발능력에 자기개발능력과 외향적성격(.144), 자기개발능력과 정보능력(.201), 자기개발능력과 내성적 성격(.120)이 p<.01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적 특성별 직업기초능력 진단을 통하여 상위집단과 하위집단간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중년남성과 중년여성의 우울과 신체적, 사회·심리적, 인지적 요인 비교 (Comparison of Physical, Psychosocial and Cognitive Factors, and Depression between Middle-aged Women and Middle-aged Men)

  • 김희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46-456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programs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among middle aged adults by looking at gender differences. Method: A comparative descriptive design was used. Subjects were 315 adults from February. 15 to March. 2, 2005,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hi^{2}$-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chi^{2}$-test reveale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variables for career, drinking, smoking, and satisfaction with the spous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depression for men were stress,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For women, those factors were stress, family support, coping skills, and well-being.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at gender differences existed in terms of depressions, in terms of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s a result, when middle aged adults are provided nursing programs,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To decrease the depression of men, nurs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decrease their stress and fatigue, and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To decrease the depression of women, it is also needed to decrease their stress, to elevate their family support and coping skills, and to support them so that their well-being is perceived good.

  • PDF

전문대학도서관 사서의 성격유형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unior College Librarians Personality Type and Job Satisfaction)

  • 이두이;구연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19-137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에니어그램 성격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전문대학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들의 성격유형 과 성격유형별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직무만족도는 도서관 서비스와 직결되는 바 현장의 항구적인 연구 과제로 남아 있다. 나아가 실무에서 사서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성격특성을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전문직으로의 발전을 지향하는데 있다. 또한 사서 능력개발 프로그램을 만들어 교육하는데 성격특성을 포함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경호비서에게 요구되는 업무능력 분석 (Analysis the job-ability demanded in the security and secretary)

  • 박옥철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40-5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ob of the security and secretary, to offer useful basic data throughout human resources management by withdrawing the ability required from the security and secretary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the job of the security and secretary, the necessary ability for the job of the security and secretary.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selected the research participants, composed of 5 secretaries for security with more than 5-year careers after graduating from a security and secretarial service department in a college an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m concerning their jobs. The in-depth interview data from the 5 participants was applied with a classification analysis used by Spradley (1980). In order to enhance the depend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the study held an expert meeting composed of 2 persons with a doctoral degree in securities service studies and 1 person with a master's degree in secretarial information studies, twice. Also, the study drew results concerning the job of the security and secretary and the necessary ability of the job. Though the above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 job of the security and secretary includes the areas of job safety, a housing residence job, a health care job,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job, an assistant' s job, document and office works, general affairs, and an education job. The necessary ability for the job of the security and secretary involves martial arts abilities, risk management ability, the strict keeping of secrets, decision-making a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communications skills and office work ability.

  • PDF

온라인 채용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과학자 요구 역량 탐색 (Exploring the Job Competencies of Data Scientists Using Online Job Posting)

  • 김향단;백승익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0
    • /
    • 2022
  • 4차 산업혁명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직종들이 등장하고 있다. 새롭게 등장한 직종 중에 최근에 기업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직종은 '데이터 과학자 (Data Scientist)'일 것이다.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 기술이 우리들의 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온라인에서의 활동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의 활동에 대한 데이터가 매시간 컴퓨터에 저장되어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런 빅데이터로부터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기업의 노력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직종이 바로 '데이터 과학자'이다. 빅데이터 시대를 이끌어갈 유망 직업인 데이터 과학자에 대한 수요는 끊임없이 증가되고 있지만 공급은 여전히 부족한 현황이다. 분석과 관련된 기술과 도구들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은 여전히 이러한 기술을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를 찾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데이터 과학자 부족 문제를 심각하게 만드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데이터 과학자 직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 과학자의 역량을 기업의 실제 채용정보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 과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나 시스템 분석가들에게 요구되었던 Technical Skill과 System Skill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컨설턴트나 Project Manager에게 요구되었던 비즈니스 관련 스킬이나 효율적인 팀워크를 위한 대인관련 스킬도 광범위하게 요구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데이터 과학자란 직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데이터 과학자를 채용하기를 원하는 기업에게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