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ngda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7초

울산쇠부리소리의 전승 양상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Soeburi-Song' in Ulsan)

  • 양영진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157-186
    • /
    • 2018
  • 울산 쇠부리소리는 1981년 8월 달천철장의 마지막 불매대장인 고(故) 최재만(1987년 별세)의 구술과 소리를 바탕으로 1980년대에 재연된 소리이다. 본 고는 1981년 영상 등 총 13종의 자료를 바탕으로 쇠부리소리를 음악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전승 과정에서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둔 논문이다.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017년 쇠부리소리 자료를 살펴본 결과, 풍물패는 상쇠, 부쇠, 징2, 북4, 장구4, 태평소1로 구성되어 있고, 장단은 질굿, 자진모리, 다드래기, 덧배기, 자진덧배기의 5종을 친다. 가창곡은 3소박 4박자의 덧배기 자진덧배기 장단에 맞추어, 또는 무장단으로 부른다. 구성음은 대부분 Mi-La-do의 3음 또는 Mi-La-do-re의 4음으로, 음역은 1옥타브를 넘지 않는다. 종지음은 모두 La로 동일하다. 1981년 발굴 이후 오늘날까지의 쇠부리소리 연행을 살펴본 결과, 크게 4가지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악곡의 구성이 '긴-자진'으로 분화되고, <금줄소리>, <애기 어르는 소리>, <성냥간 불매소리>가 첨가되었다. 둘째 가창 방식은 1980년대 재연 이후 '1인 선창자+다인 후창자'를 기본으로, 1인 후창자를 별도로 지정하기도 하였다. 더불어 2013년 연행된 <자진불매소리>는 <성냥간 불매소리>의 토대가 되었다. 셋째 <긴-자진 불매소리>의 선율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박자구조는 모두 3소박 4박자이나, 속도가 느려지고, Mi-La-do의 3음을 골격으로 높은 re와 낮은 Sol이 첨삭되어 메나리토리의 특성이 명확히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풍물 악기는 꽹과리, 징, 장구, 북의 사물이 주로 쓰이며, 공연에 따라 소고, 태평소, 요령 등을 첨가하기도 한다. 장단은 자진모리, 다드래기, 덧배기, 자진덧배기 장단을 처음부터 연주했으며, 이후 질굿 장단이 추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최초 발굴 당시, <애기 어르는 소리>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불매소리>가 남성 노동요로 목적이 바뀌고 연희성이 강해지며 하나의 공연 예술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경의선장단역증기기관차의 부식방지를 위한 왁스계 피복제 내후성 시험 연구 (A Study on the Testing of Weather Resistance of Anti-corrosion Wax Covering Agents in the Locomotive at Jangdan Station of Gyeongui Line)

  • 송원준;김미현;안병찬;정희돈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3-381
    • /
    • 2009
  • 야외 전시되는 철제문화재 보존을 위해서 유물 표면을 피복처리 하는 것은 부식방지의 대표적인 방법이다. 근대문화유산 제78호 경의선장단역증기기관차는 보존조치 후 노천에서 전시될 예정이라서 기관차의 재부식 예방에 효과적인 표면 피복재를 내후성 실험을 통해 선별하였다. 실험재료는 기관차 표면 피복에 주로 사용되는 미정질 왁스 2종과 봉밀왁스를 기반으로 제조한 혼합왁스를 선별하였다. 실험방법은 3종의 왁스를 기관차 시편에 각각 피복하고 ISO 4892-1981 기준에 따라 제논아크촉진내후성시험기 속에서 1000시간 내후성 시험을 한 후 그 변화상을 비교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봉밀 왁스는 400시간 이후부터 표면에 백화현상이 발생하면서 노화하였고 미정질 왁스 2종은 800시간 이후부터 변화를 보였다. 시험전과 후 수분접촉각의 변화 역시 봉밀 왁스 보다 미정질 왁스가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정질 왁스 중 특히 고온형이 내후성과 수분 차단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어서 이것으로 증기기관차의 표면을 피복하게 되었다.

  • PDF

조선 전기 정읍의 노래 복원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Jeongeup(井邑))

  • 문숙희
    • 공연문화연구
    • /
    • 제34호
    • /
    • pp.241-27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대악후보"에 악보로 실려 있는 정읍을 부를 수 있는 노래로 복원해 보았다. 먼저 "대악후보" 정읍의 리듬을 찾아 선율을 복원하였고, 복원된 선율에 "악학궤범"의 정읍 가사를 붙여 보았다. 그리고 복원된 정읍이 어떤 음악적 스타일인지도 살펴보았다. 정읍의 리듬은 진작 리듬과 같은 3소박 4박자로 나타났다. 그것은 정읍 장단이 진작 장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읍의 장단은 장고점이 한 마디에 한 점씩 나오는 장단인데, 한 박이 3소박으로 되어 있는 점과 한 마디에 장고점 한 점씩 나오는 점은 오늘날의 수제천에 그대로 전해졌다. 정읍의 가사는 같은 장단인 진작1,2와 횡살문을 따라 붙여 보았다. 그 가사붙임에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나타났다. 가사 한 음보는 선율 두 마디에 붙고, 어단성장이 있으며, 길게 지속하는 음은 어단성장의 장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고, 가사는 주로 마디의 첫 음에서 시작되었다. 정읍의 음악적 스타일은 기본적으로 장단이 비슷한 진작1과 비슷하나 약간의 차이는 있다. 가사에 비해 선율의 길이가 매우 길고 같은 음을 길게 지속하는 어단성장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점에 있어서는 비슷하다. 그러나 한 가사를 길게 지속할 때 정읍은 간음을 많이 사용하지만 진작은 시김새를 사용하는 점에 있어서는 다르다. "대악후보"에 기보되어 있는 정읍은 이미 변화를 겪어 원 노래에 비해 리듬이 두 배 또는 네 배로 팽창된 것으로 보인다. 리듬이 팽창된 것은 이 노래가 무고 정재의 반주곡으로 사용된 후 무고 무용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경복궁에 표현된 붉은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s of Kyungbok Palace)

  • 정유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4호
    • /
    • pp.114-123
    • /
    • 2002
  • Koreans have regarded the red as a major color from old times. The red is a traditional color to have symbols of high position, national foundation and especially royalty. So, we can see the reds in the palace for kings very much.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ut the features of color red in the Kyungbok palace. The color was analyzed by two categories-architectural buildings${\cdot}$structures and ornamental painted patterns.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1. Seokganju(similar to terra rossa) and toyugsaek(light seokganju) are found main colors in architectural space, while seokganju has a linear effect and toyuk has a facial effect. 2. Yugsaek(similar to light vermillion) and Jangdan(similar to orange) are found main colors in ornamental painted patterns. These colors are more vivid and brighter than those for architectural space.3. As for two-color combination, reds and blues(including greens) are found major combination both of architectural space and ornamental patterns. And reds and white are the following combination, which gives an bright image by white. 4. As for three-color combination, red-white-black combination of pediment and red-blue-white combination of openings are found very popular in architectural space, while red-blue-yellow combination is most popular in ornamental patterns.The reds are found dominant color of both architectural space and ornamental patterns in the Kyungbok palace. The color design as shown in the Kyungbok palace can be considered as the feature of traditional color design.

Effect of Singing - Focusing on the Love Changbu Taryeong

  • Kyung Ja Ko;Cho Hyun-yong
    • 셀메드
    • /
    • 제14권2호
    • /
    • pp.3.1-3.2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health and well-being of singing, an expression activity of language. There are also many studies in which singing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quality of life and social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at more effective singing is being performed by increasing empathy through various expressions of onomatopoeia and mimic words. Love Changbu Taryeong (愛倡夫打令) is Korea's traditional representative Gyeonggi folk song. It is a cheerful and lyrical folk song based on the five scale of Sol-ra-do-re-mi. It sings not only human joy, sorrow, and pleasure, but also natural phenomena and scenes. It is an exciting rhythm based mainly on the Gutgeori jangdan (rhythmic pattern, 12/8) but it is a rhythm that you can feel the sadness in it. In particular, various onomatopoeia and mimic words appear in this song, making you think about the fun of singing and the origin of the languag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at more effective singing is becoming more effective by increasing empathy through various expressions of onomatopoeia and mimic words. You can watch our singing activities on YouTube.(https://youtu.be/IhnBqWiK-3w?si=AAMi2BVes9mPShnr)

현대 단청용 장단육색의 기본 특성 및 사용 기준 연구 (Basic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Modern Dancheong Pigment Jangdanyuksaek (Incarnadine))

  • 김은지;정광용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57-476
    • /
    • 2015
  • 본 연구는 현재 단청 현장에서 쓰이고 있는 장단육색을 중심으로 현대 재료의 역학적 관계를 살펴보고 안료에 대한 물성 분석 결과 및 사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장단육색 조채 방법을 설문조사 와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배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박락(剝落), 균열(龜裂), 이채(異彩) 현상이 적게 나타난 조건으로 직접 시편을 제작한 후 촉진 내후성 시험 및 자외선 열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당($TiO_2$)인 루타일형이 아나타제형보다 변색 및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나타제형의 경우 장단과의 혼색 과정에서 흡유량 차이로 인한 이채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대체재로 쓰이고 있는 수성 외부용 페인트는 황변화 현상이 심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분은 열화 후 명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 조채 시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대두의 모형에 따른 재식밀도가 종실수량 및 수량구성형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pacing on Seed Yield and Yield Component Characters in Three Different Types of Soybean Canopy)

  • 권신한;안용태;김광래;은종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91-96
    • /
    • 1973
  • 우리나라 대두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제외국에 비해 낮은 편이며 그 원인은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으나 단시일내에 기존품종으로서 생산량을 높이는데 대두 초형에 따르는 재식방법의 개선이 중요하다고 여겨져 중부지방에서의 밀식적응대두형과 밀식정도의 구명을 위해 본 시험이 수행되었다. 본 시험에서는 모형과 각종 형질이 서로 상이한 품종인 장단백목, 충북백, Clark 등 3개 품종이 공시되었으며 휴폭을 세구로 그리고 주간거리를 세세구로 한 3반복으로서 시험하였다. 주당 분지수와 협수는 밀식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동일한 밀도에서는 Clark에서 보다 충북백과 장단백목에서 더 많은 분지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협수에 관해서는 휴폭과 주간거리에 유의한 수준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절수는 품종간에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휴폭에 의해서는 전혀 변화가 없었으며 주간거리가 커짐에 따라 Clark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간장도 주간거리에 관해서만 유의차가 현저하였으나 절수의 증가와는 관계없이 도장에 기인하였다. 도복성에는 Clark가 가장 강했으며 이는 이 품종 주경의 탄력성 때문인 것으로 여겨졌다. 밀식조건하에서는 다지성이고 광엽성인 재래품종들보다 절수가 많고 초장이 큰 도입품종 Clark가 공시된 3개 품종중 가장 수량이 많았으며 밀식재배용으로의 가장 알맞은 초형임이 명확하였고 파종은 재래식 점파보다는 조파로 밀식함이 노력이 절약되고 단위면적당 수량도 현저히 증가될 것이다.

  • PDF

백두산 화산의 1654년 10월 21일 화산재구름 이동 기록에 대한 화산학적 고찰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Record of Ash Cloud Movement from Mt. Baegdu Volcano on October 21, 1654)

  • 윤성효
    • 암석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24
    • /
    • 2018
  • 백두산 화산으로부터 폭발성 분화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1654년의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화산재 구름 이동의 역사기록을 화산학적 견지에서 고찰하였다. 1654년 10월 21일에 백두산에서 분화된 화산재와 화산가스가 북풍~북동풍의 바람을 타고 낮은 고도로 운반되어 재구름과 함께 한반도 남쪽으로 내려온 화산재로 해석할 수 있다. 그 영향 지역이 북쪽으로 함경도 남쪽 경계부에도 출현하였다는 것은 그 북쪽 즉 백두산에서 한반도 남쪽으로 남하한 것으로 평가된다. 분화지점인 백두산으로부터 약 500 km 이상 떨어진 경기도 적성과 장단 지역에 재구름이 통과한 것은 당시 백두산에서 중규모의 플리니식 분화로 형성된 분연주가 탁월풍의 영향으로 굽어진 형태로 지면을 따라 재구름을 형성하여 이동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를 유사 기상 장에서 수치 모의하여 재현하였다.

한국무용 숙련자와 미숙련자에 따른 폐기능, 부드러움, 그리고 지면반력의 차이 분석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Pulmonary Functions, Jerk Cost, and Ground Reaction Force Depending on Professional and Amateur Dancers in Korea Dance)

  • 박양선;김미예;이성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9-35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dancing motions depending on the level of skill by investigating pulmonary functions, ground reaction force, and jerk co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professional dancers (career: 16 yrs) and 12 amateur dancers (career: 9 yrs) who had similar physical conditions. We selected four motion phases which included the diagonal line motion, the deep flexion motion, the breath motion, and the turn motion with one leg after a small step walking motion, with Goodguri Jangdan. In the experiment, 6 infrared cameras were installed in order to analyze the value of the jerk costs and the force plate form. Finally, we measured the pulmonary functions of the subjects.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t-tests according to each event, were carried out in the data process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VC % Predicted, the professional dancers showed greater lung capacities than the amateur dancers,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dancing skill influences lung capacity. Based on the result of the balance test, the professional dancers used more vertical power than did the amateur dancers when performing maximal flexion motion. The professional dancers used a propulsive force of pushing their body forward by keeping the center of body higher while the amateur dancers used a braking power by keeping their bodies backward. When performing medial-lateral movements, the amateur dancers were less stable than the professional danc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values of jerk costs between the amateur dancers and the professional dancers.

서양음악전공 작곡가에 의해 작곡된 창작국악작품 연구 (A Study on Changjak Gukak Composed by the Composers who Majored in Western Music)

  • 강선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572-577
    • /
    • 2019
  • 이 연구는 서양음악 작곡가에 의한 창작국악작품을 분류 검토하여, 서양음악전공자들의 창작국악 작곡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행해진 연구이다. 연구 결과, 기본적으로 서양음악 작곡가에 의한 창작국악은 서양의 전통적 작곡기법 또는 현대적 작곡기법의 바탕 위에 한국전통음악적인 요소가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기 주제 발전, 조성, 호모포니, 대위법적 전개, 푸가 형식, 소나타 형식, 바로크합주곡 형식, 서양예술작품의 선율 차용 등의 서양전통작곡기법이 사용되었고, 음색 선율, 음향 효과, 악기의 특수주법, 무조성, 변박과 폴리리듬, 불확정성 기법 등의 서양 현대음악 작곡기법이 사용되었다. 이와 함께 국악기 고유의 시김새, 국악장단, 국악의 음계와 선법, 국악의 형식, 국악 선율 등을 적용하여 한국적인 표현과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