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m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31초

이면교잡에 의한 가잠의 몇가지 실용형질의 유전변이와 조합능력 분석 (The Analysis of the Genetic Variance and Combining Ability in some Quantitative Characters by Daillel Crosse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 장창식;손해룡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19
    • /
    • 1985
  • 교배친인 일본종계통 잠197, 잠113, 잠117 및 잠119와 중국종계통 잠108, 잠114, 잠118 및 잠120의 8품종을 이면 교리형식으로 교배하여 실용형질 중에서 전령기간, 5령기간, 자견층중, 웅견층중, 자견층비율, 웅견층 비율의 귀전 변이와 조합능력을 분석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령기간과 5령기간의 귀전변이와 조합능력은 협의의 귀전력보다도 광의의 귀전력이 크며, 일반조합 능력, 특정조합 능력 및 상반조합 능력이 고도의 효과를 나타냈다. 교배친의 우성효과는 컸으나, 잡종강세는 적게 나타났다. 환경 변이와 상가적 작용도 크게 나타났다. 우성의 방향은 부의 방향으로 열성귀전자가 많이 작용하였다. 또한 잡종강세도 부로 유충기간이 짧아졌다. 한편 이 형질들의 귀전자들은 초우성을 나타내냈다. 교배친의 전령기간의 우성 순서는 잠119>잠113>잠117>잠108>잠120>잠114>잠107>잠118 순이었으며, 5령기간에서는 잠117>잠113>잠108>잠114>잠119>잠117>잠120>잠118 순으로 나타났다. 단견중의 귀전변이와 조합 능력은 협의의 귀전력보다는 광의의 귀전력이 컸다. 일반조합 능력과 특정조합 능력이 컸으나 상반조합 능력은 없었다. 교배친의 우성효과는 컸으며, 잡종강세도 크게 나타났다. 환경변이는 자단견중에서 크게 나타났으나, 웅단견중에서는 적게 나타났다. 상가적 작용은 둘 다 적게 나타났다. 단견중의 우성의 방향은 정의 방향으로 우성귀전자가 크게 작용하였다. 이 형질들의 귀전자들은 초우성을 나타냈다. 교배친의 자단견중의 우성순서는 잠107>잠108>잠119>잠113>잠114>잠120>잠117>잠118 순이었고, 웅단견중에서는 잠114>잠120>잠108>잠113>잠107>잠119>잠117>잠118 순이었다. 견층중의 귀전변이와 조합능력은 광의의 귀전력이 협의의 귀전력보다 컸다. 일반조합 능력과 특정조합력은 유의차가 컸으나, 상반조합 능력은 없었다. 교배친의 우성효과는 컸다. 잡종강세 환경변이 및 상가적 작용도 컸다. 우성의 방향은 정의 방향이었으므로 우성귀전자가 크게 작용하였다. 이들 형질들의 귀전자들은 초우성을 나타내었다. 교배친의 자견층중의 우성순서는 잠120>잠114>잠108>잠119>잠118>잠107>잠117>잠113 순이었고, 웅견층중에서는 잠114>잠108>잠120>잠117>잠118>잠107>잠119>잠119>잠113 순이었다. 자견층 비율에서는 광의의 귀전력이 협의의 귀전력보다 컸고, 웅견층 비율에서는 같았다, 견층 비율에서는 일반조합 능력은 크게 나타났으나, 특정조합 능력과 상반조직 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자견층 비율에서 교배친의 우성효과는 컸다. 자견층 비율에서는 교배친의 우성효과는 적었다. 자웅견층 비율의 잡종 강세는 적게 나타났다. 환경변이와 상가적 작계는 자웅견층 비율에서는 크게 나타났다. 우성의 방향은 자견층 비율에서는 정의 방향으로 우성 귀전자가 크게 작용하였으며, 자견층 비율에서는 정의 방향으로 우성 귀전자가 부분적으로 작용하였다. 교배친의 자견층 비율의 우성순서는 잠117>잠114>잠108>잠120>잠118>잠119>잠107>잠113 순이었고, 자견층 비율에서는 잠114>잠117>잠108>잠118>잠107>잠119>잠113>잠120의 순이었다.

  • PDF

세리신잠(Nd-s. $Nd^H$의 발육 특성 (The Developmental Characterization of the Sericin jam(Bombyx mori), a Mutant in the Synthesis and Secretion of Fibroin)

  • 김수연;손해룡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9
    • /
    • 2003
  • 세리신잠의 성장발육과 실용형질 등 세리신잠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Nd-s잠과 N$d^{H}$잠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얻은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최청기간은 Nd-s잠 10일 2시간, N$d^{H}$ 잠 10일 1시간, 백옥잠은 11일 1시간이었다. 실용부화율에 있어서 Nd-s잠과 Nd.$^{H}$ 잠은 83.9%와 83.3%였고, 백옥잠은 96%였다. 전령경과일수는 Nd-s잠 20일 1시간 N$d^{H}$잠 20일 5시간, 백옥잠 22일 12시간이었다. 2. 감잠비율은 Nd-s잠 12.0%, N$d^{H}$ 잠 18.7%, 백옥잠 5.3%이었으며, 화용비율은 Nd-s잠 83.0%, N$d^{H}$ 잠 76.3%, 백옥잠 92.3%였다. 3. 단견중은 Nd-s잠 1.39 g, N$d^{H}$ 잠 1.08g, 백옥잠 2.01 g, 전견중은 Nd-s 잠 13 cg, N$d^{H}$ 잠 3 cg, 백옥잠 48 cg이였으며, 견층비율은 Nd-s 잠 9.0%, N$d^{H}$ 잠 2.8%, 백옥잠 23.9%였다. 4. 고치의 크기는 Nd-s잠 장경 30.6mm, 단경 15.8mm, N$d^{H}$ 잠 장경 24.7mm, 단경 14.9mm, 백옥잠 장경 35.8mm, 단경 20.5mm이었다.5.8mm, 단경 20.5mm이었다.

The Use of Fibroin Light Chain Gene Sequence for the Genetic Marker of the Silkworm Races

  • Park, Kwang-Ho;Kang, Seok-Woo;Kang, Pil-Don;Goo, Tea-Won;Hwang, Jae-Sam;Yun, Eun-Young;Lee, Sang-Mong;Sohn, Hung-Dae;Jin, Byung-R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1호
    • /
    • pp.45-48
    • /
    • 2003
  • We have previously cloned and characterized the complete fibroin L-chain gene from one of the silkworm races Baekok-Jam (Bombyx mori) and found two variable regions (I, intron 2 ~ exon 3; II, intron 6) with the primer sets designed to cover these variable regions. We tested the utility of these regions as genetic markers among silkworm races. For the purpose of study, Japanese race (Jam 123), Chinese race (Jam 124) and their F$_1$hybrid Baekok-Jam were used. The PCR product size of region I was 787 bp in Jam 123, 770 bp in Jam 124 and 768 bp in Baekok-Jam. The size of region II was 470 bp in Jam 123, 428 bp in Jam 124 and 429 Up in Baekok-Jam. In the extended experiment, Jam 125 (Japanese race), Jam 126 (Chinese race) and their F$_1$hybrid Daeseong-Jam were also analyzed. The sizes of region I and II in Jam 125, Jam 126 and Daeseong-Jam were similar to those of Jam 123, Jam 124 and Baekok-Jam. DNA sequence divergence between the two geographic races of Jam 123 or Jam 125 and Jam 124 or Jam 126 was substantial.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fibroin L-chain gene of F$_1$hybrids were inherited from Chinese races. These results are concordant with cocoon shapes of tested animals, and suggested that Baekok-Jam or Daeseong-jam is more closely related to Jam 124 or Jam 126 than to Jam 123 or Jam 125. Taken these data together, the primer sets designed from two variable regions of fibroin L-chain gene would be highly useful, as the genetic markers for silkworm races, at least in Japanese and Chinese races, although an extended study including more geographic races is required.

RAPD를 이용한 장려누에품종의 원종간 유전적 유연관계 (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Parental Bombyx mori Strains of the Current F$_1$ Hybrid Silkworm based on RAPD)

  • 황재삼;이진성;강현아;이상몽;손해룡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6-21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농가에서 일대잡종으로 보급되고 있는 장려누에품종 원종 잠 113 등 20계통에 대해서 RAPD-PRC방법을 이용하여 누에 품봉간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공시한 26개의 primer중 24개의 primer에서 다형화 밴드패턴의 마커가 확인되어, 이들 마커를 UPGMA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전적 유연계수 0.6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2개의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제1group에는 잠113, 잠119, 잠120, 잠123, 잠125와 잠127로서 중국종계잠 120을 제외하고는 모두 일본종계 품종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제 2group은 잠114, 잠121, 잠122, 잠124, 잠126, 잠128, 잠129, 잠130, 잠131, 잠132, 잠133, 잠134, 잠 301과 잠 302로서 일본종계 5품종 중국종계 9품종이 포함되었다. 또한, 잠 114와 잠 120 및 잠114와 잠 127은 유전거리가 다른 품종에 비해서 가장 낮게 분석되었으며, 잠 129와 잠 131은 유전적 유연계수가 1.0으로 두 품종간에는 유전적 유사도가 아주 높았다.

  • PDF

제조방법에 따른 딸기잼의 관능적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ensory Quality Characterization of Strawberry Jam by Cooking Method)

  • 김복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71-78
    • /
    • 1989
  • As the level of life improves, the eating habit is changing from rice meal to bread meal and at the time, eat more strawberry jam than before. We tried to study to select the good cooking method and the proper strawberry variety for the jam through the sensory evaluation We made four kinds jam of Bogyo-Joseoung and Ai-berry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the result6s of the sensory evaluation are as follow: The jam of Ai-berry is better than that of Bogyo-Joseoung by the paired comparison test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if we add some lemon to the jam of Bogyo-Joseoung and Ai-berry, is very little. The multiple comparison test proves the sourness, if added some lemon and citric acid, become better and the color and viscosity, if added pectin, became better. The overall preference about jam, if pectin and citric acid were added together, was best.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quality of jammed bread by multiple comparison test. The result is like this: The jam with lemon is very good in color, flavor, sourness and texture, but the jam with pectin and citric acid was the best in overall preference.

  • PDF

인공사료로 사육한 누에의 소화액Amylase활성에 있어서 품종간관 차이 (Varietal Difference in Amylase Activity of Larval Digestive Fluid of the Silkworm, Bombyx mori, reared on Artificial Diet)

  • 문재유;설광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3-80
    • /
    • 1983
  • 1. 인공사료육에 있어서 일본종계 현장려장품중들의 소화액 Amylase활성을 실용형질과 관련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일본종계 현장려품종들에 있어서 소화액 Amylase활성은 품종간 차이가 있어, Hansaeng-1, Jam 115 및 Jam 117에서 강하였고 Hansang-3, Jam 113, Jam 119 및 Jam 201에서 중간이었으며, Jam 107, Jam 121 및 Gyeongchu에 있어서 약하였다. 나. 일본종계 현장려 잠품종들의 소화액 Amylase는 Daizo의 +(+$^{aa}$ )형과 비교해서 아미도 -(ae)형으로 생각된다. 다. 일본중계 현장려잠품종들에 있어서 혈당량은 품종간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성장, 견질등 실용형질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2. 인공사료의 a-Amylase 처리가 누에의 소화액 Amylase활성 및 실용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a-Amylase를 처리한 사료를 먹은 누에는 처리하지 않은 누에에 비하여 성장이 다소 불량하고 소화액 Amylase활성도 약하며 성장에 대한 사료효율도 낮았다. 나. 그러나, a-Amylase를 처리한 사료를 먹은 누에는 처리하지 않은 누에에 비하여 혈당량도 많았고, 견질도 양호하였다. 따라서, 인공사료육에 있어서 사료의 a-Amylase처리는 견질에 대한 사료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새로운 딸기잼 제조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1. Cut-back농축방법을 이용한 Pouch Jam (Studies on the Developing New Methods to Prepare Strawberry Jam 1. Pouch Jam prepared by Concentration with Cut-back)

  • 심우만;이상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7-31
    • /
    • 1989
  •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preparation methods of strawberry jam. Strawberry was homogenized and centrifuged to serum-pulp portion. Concentration of strawberry serum was carried out at 55~58$^{\circ}C$ under pressure of 30~60mmHg. Strawberry jam bases were mixed throughly and stuffed in retortable pouch, The pouch was sterilized to make a new strawberry jam. The characteristics of new type ism was analyzed gas chromatographic profile, and sensory evaluations.

  • PDF

프락토올리고당의 첨가가 딸기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 김문용;전순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30-53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보교조생(Bogyo-joseng)과 수홍(Suhong) 딸기에 설탕량의 25, 50, 75, 100%로 프락토올리고당을 대체하여 잼을 제조한 후, 수분, pH, 색도, 스프레드메타치, 당도, 환원당함량, 안토시아닌 잔존율, 기계적인 texture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수분함량은 수홍이 보교조생보다 다소 높았다. pH는 보교조생과 수홍 잼이 각각 동일하였으며, 시료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L, a, b값 모두 보교조생이 수홍보다 다소 높았다. 스프레드메타치는 보교조생과 수홍 잼 모두 프락토올리고당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수홍이 보교조생보다 다소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수홍이 보교조생보다 다소 높았고, 보교조생과 수홍 잼 모두 설탕만 첨가한 잼에 비해 프락토올리고당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점차 증가하였다. 안토시아닌 잔존율은 보교조생 잼은 설탕만 첨가한 잼에 비하여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했을 때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수홍 잼은 프락토올리고당을 50% 첨가했을 때만 다소 증가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감소하였다. Springiness(탄력성) 및 cohesiveness(응집성)은 보교조생과 수홍 잼 모두 프락토올리고당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다소 증가하였다. Resilience탄성)는 보교조생과 수홍 잼 모두 미비하게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보교조생 잼은 프락토올리고당 50% 첨가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수홍 잼은 프락토올리고당 25% 첨가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 PDF

세리신잠(Nd-s)의 발육특성과 혈액아미노산 조성 (The Development Properties of Sericin Jam and Composition of Amino Acid in Hemolymph)

  • 김종현;손해룡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55-63
    • /
    • 2002
  • 세리신 잠의 발육, 실샘 성장, 세리신 량, 혈액 아미노산 조성 등 세리신 잠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잠 120 과 같은 조건으로 사육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화율에 있어서 세리신 잠은 85%이며 잠 120 은 95%이었다. 특히 세리신 잠은 부화가 고르지 않았다. 2. 유충 기간에 있어서 세리신은 20 일 23 시간이었고, 잠 120 은 21 일 22시간이었다. 3. 실샘에 있어서 세리신 잠은 중부실샘이 대부분이며 후부 실샘의 길이는 약 2~3cm 이었고 굴곡은 없었다. 4. 세리신 잠에 있어서 상족후 나방까지의 기간은 약 12 일이었으며, 화용후 화아까지는 7 일로 대단히 짧은 특성을 보였다. 5. 고치에 있어서 세리신 잠은 이주 얇고 가벼웠으며 견충중은 2.7cg 이며 견충 비율은 3.65%이였다. 6. 세리신 (sericin protein)양에 있어서, 세리신 잠의 견충이 sericin 만 으로 구성되어 있고 잠 120 은 28%가 sericin 이었다. 세리신 잠의 견충 당 sericin 율은 잠 120 의 34.6%정도였다. 7. 혈액 아미노산의 양에 있어서 세리신 잠은 histidine, lysine, glutamic acid 가 많았으며 5 령 발육에 따른 조성의 변화에 있어서 대부분의 혈액 아미노산들은 증가하였다.

  • PDF

당과 펙틴이 저당 머루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gars and Pecti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Sugar Wild Vine (Vitis coignetiea) Jam)

  • 김문정;윤석후;정문웅;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6-211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manufacturing a low-sugar wild vine jam by examining viscosity, water content, and pH, as affected by sugar and pectin content. The jams were prepared by adding various amounts of sucrose, glucose, or fructose (1.89 M, 2.34 M, 2.63 M, or 2.92 M) and/ or pectin (0%, 0.3%, 0.5%, 0.8%, or 1%) to wild vine juice and heating at $90^{\circ}C$ for 3 hrs. A higher viscosity was shown for the jam manufactured with sucrose as compared to those made with glucose or fructose, and the greater the sucrose level the higher the viscosity of the jam. The jam with 50% reduced sugar content showed a similar viscosity to the control jam, which contained only 2.92 M sucrose, when the sugar was co-added with pectin at 0.5% for the low sucrose jam, and at 0.8% for the low glucose or low fructose jams, respectively. The water content of the low sucrose jam was lower than that of the low glucose or low fructose jams, and adding pecti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water content of the low sugar jam. The pH levels of the ja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gardless of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sugar, temperature, or pectin addition, and ranged between 3.6 and 3.8. Overall, the results clearly show that wild vine jam with 50% reduced sugar content and having the same viscosity as control jam, can be manufactured when pectin and sugar are added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