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pod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4초

군산연안 내초도 조간대에 서식하는 왜풀망둑 Acanthogobius elongatus의 섭식생태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elongatus from the Kunsan Coast Intertidal Zone, Neacho-do in the West Coast of Korea)

  • 김종연;노용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3-422
    • /
    • 1997
  • 조간대에 서식하는 왜풀망둑의 서식지 환경과 섭식생태를 파악하여 연안 생물군집의 먹이사슬에 관한 기초지식을 얻고자, 1993년 7월부터 1994년 6월까지 군산연안의 내초도에서 매월 1회씩 왜풀망둑을 채집하면서 서식지 환경을 조사하고, 위내용물 분석을 통해 섭식생태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기간 동안 조간대의 수온은 $4.5\~33.2^{\circ}C$, 석온은 $3.5\~29.1^{\circ}C$, 염분은 $21.68\~27.41\%_{\circ}$, 해수 pH는 $7.6\~8.1$, 저질 pH는 $8.5\~9.2$, 저질함수량은 $48.5\~76.2\%$ 및 저질의 유기물함량은 $1.67\~2.8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왜풀망둑의 위내용물 중량비는 $1.78\%$, 위만복도도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위만복도는 하루 중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차례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왜풀망둑의 위내용물에서 출현한 먹이생물 중 개체수가 가장 많은 것은 copepods로 $54\%$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계절별 주요 먹이생물의 출현양상은 봄에 Paracalanus parvus, 여름에 Calanus sinicus, 가을에 Acartia sp., 겨울에 Calanus sinicus 등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계절간 먹이생물의 중복도는 봄과 여름 사이에서만 크게 나타났고 나머지 계절 사이에서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체장별 먹이생물의 차이는 거의 볼 수 없었으며, 체장별 주요 먹이생물의 조성을 보면, 주로 copepods, decapods, molluscs 및 cirriped larvae 등의 순으로 많이 출현하였고, 체장이 커질수록 amphipods, polychaete larvae, isopods, cumaceans 및 stomatopods등의 출현율이 점점 증가하였다. 주요 먹이생물의 중요도지수는 Calanus sinicus, Corycaeus affinis 및 Acartia sp. 등의 순이었다.

  • PDF

열대성 해초지에 서식하는 Sillago maculat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rumpeter Whiting, Sillago maculata in the Tropical Seagrass Beds of Cockle Bay, Queensland)

  • 곽석남;;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23-229
    • /
    • 2001
  • 오스트레일리아의 Queensland에 위치한 Cockle Bay의 해초지에서 채집된 Sillago maculata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S. maculata (0.5~9.5 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에 속하는 옆새우류, 게류 및 요각류였으며, 그 외 갯지렁이류, 새우류, 어류, 등각류, 쿠마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S. maculata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개체는 요각류, 게의 유생, 옆새우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 및 게 유생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갯지렁이류 및 어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한편 옆새우류는 조사된 모든 크기에서 가장 선호하는 먹이생물이었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유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Acanthopagrus schlegeli in the eelgrass(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8-175
    • /
    • 1998
  •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감성돔 유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감성돔(1~7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게류 및 새우류였으며, 그 외 복족류, 갯지렁이류, 히드라류, 주걱벌레붙이류, 요각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감성돔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정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감성돔은 옆새우류, 카프렐라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중가하면서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게류 및 새우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복섬 (Takifug niphobles) 유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TakifugU niphoble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06-812
    • /
    • 1998
  •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복섬 유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복섬 (2$\~$8 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 (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게류 및 새우류 둥의 갑각류와 복족류였다. 그 외 갯지렁이류, 요각류, 주걱벌레붙이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복섬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복섬은 옆새우류, 카프렐라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 및 복족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게류 및 새우류가 위내용물 중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 PDF

제주도산 육서 등각류(절지동물문, 갑각류) (Terrestrial Isopoda (Crustacea) from Cheju Island, Korea)

  • Do Heon K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4호
    • /
    • pp.509-538
    • /
    • 1995
  • 제주도와 추자군도의 육서 등각류 21종을 보고하였다 Quelpartoniscus를 신속으로, Q. granulatus를 신종으로 기재하였다. Koshiniscus Nunomura를 Armadilloniscus Uljanin의 동물이명으로 처리하였다. Armadilloniscus hoshikawai Nunomura와 A. amakusaensis Nunomura는 A. ellipticus의 Mongoloniscus nipponicus(Arcangeli)는 M. vannamei(Arcangeli)의 , Nagurus tsushimaensis Nunomura. N. pallidus Nunomura 및 Mongoloniscus nigrogranulatus Kwon and Taiti는 M. koreanus (Verhoeff)의 동물이명이었다. Nagurus sinuosus Nunomura는 Lucasioides 속으로, Protracheoniscus pannuosus Nunomura(동물이명인 P. awaensis Nunomura, Nagurus gotoensis Nunomura 및 N. izuharaensis Nunomura 포함)는 Agnara속으로 Armadillo obscurus Budde-Lund는 Venezillo속으로 이전하였다. 이전의 기재가 명확하지 않은 종들은 그림과 함께 재기재하였다.

  • PDF

남해안 동대만 잘피밭에서 서식하는 해마(Hippocampus coronatus)의 출현량 및 먹이습성 (Abundances and feeding habits of Hippocampus coronatus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of Dongdae Bay, Korea)

  • 허성회;박주면;곽석남;성봉준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2호
    • /
    • pp.115-123
    • /
    • 2014
  • A total of 164 individuals of Hippocampus coronatus were collected from an eelgrass bed in Dongdae Bay, Korea from September 2006 to August 2007.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H. coronatus was higher in September 2006. The size of H. coronatus ranged from 2.4 to 9.3cm in height (Ht), and most of individuals were small size below 5cm (Ht). H. coronatus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gammarid amphipods and copepods. Its diets also included a small amount ofmysids, ostracods, brachiopods, caprellid amphipods, bathynellaceas, isopods, tanaids, and ascothoracids. The diets of H. coronatus underwent size-related changes; smaller individuals consumed copepods, while larger individuals ate gammarid amphipods and mysids. The dietary breadth index of H. coronatu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ir size.

통영 바다목장해역에 서식하는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식성 (Feeding Ecology of Sebastes schlegeli in the Tongyeong Marine Ranching Area)

  • 박경동;강용주;허성회;곽석남;김하원;이해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08-314
    • /
    • 2007
  • The feeding habits of Sebastes schlegeli collected from the Tongyeong marine ranching area throughout 2002 were studied. S. schlegeli is a carnivore (piscivore), and consumed mainly fish. Its diet also included a small amount of caridean shrimps, crabs, amphipods, polychaetes, and isopods. The diet of S. schlegeli underwent size-related changes. Small individuals (standard length (SL)<6 cm) fed mainly on fishes, caridean shrimps, and amphipods, and the proportion of fish increased with SL. Large individuals (SL>20 cm) ate fish predominately. The diet of S. schlegeli changes seasonally, and caridean shrimps were consumed mainly from May to July. The dietary breadth index of S. schlegeli varied with SL and season.

베도라치(Pholis nebulos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Pholis nebulosa)

  • 허성희;곽성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2-29
    • /
    • 1997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베도라치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베도라치는 잘피의 잎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단각류(카프렐라류 및 옆새우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그 외, 새우류, 등각류, 요각류, 갯지렁이류, 주걱벌레붙이류 등을 소량 섭이하였다. 베도라치는 성장함에 따라 섭이된 먹이생물의 조성 및 크기의 변동이 뚜렷하였다. 체장이 작은 크기군에서는 요각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체장이 증가하면서 단각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대체적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단각류인 옆새우류와 카프렐라류가 주로 섭이되었으나, 그들의 섭이 비율은 계절에 따라 변하였다. 가을에는 옆새우류가 휠씬 많이 섭이되었으며, 다른 계절에는 카프렐류가 더 많이 섭이되었다.

  • PDF

부산 주변 해역에서 출현하는 참돔(Pagrus major)의 식성 (Feeding Habits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Korea)

  • 허성회;김하원;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6-222
    • /
    • 2006
  •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참돔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참돔의 체장분포는 8.5~44.6 cm SL의 범위였다. 참돔의 주요 먹이생물은 집게류 (Anomura), 단각류 (Amphipoda), 게류 (Brachyura), 새우류 (Caridea), 갯지렁이류 (Polychaeta), 극피동물 (Echinodermata), 어류(Pisces) 등 매우 다양했다. 그 외, 복족류(Gastropoda), 이매패류(Bivalvia), 갯가재류(Stomatopoda), 두족류(Cephalopoda) 자포동물(Cnidaria), 등각류(Isopoda) 등도 소량 섭이하였다. 참돔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 조성에 있어 변화를 보였는데, 체장 8~15 cm SL에서 새우류의 점유율이 높았으며, 15~25 cm SL에서는 집게류와 갯지렁이류의 점유율이 높았다. 그리고 25 cm SL 이상에서는 극피동물류와 어류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여수 소리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군평선이(Hapalogenys mucrona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elted Beard Grunt, Hapalogenys mucronatus, in the Coastal Waters off Sori Island, Yeosu, Korea)

  • 서호영;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8-263
    • /
    • 2005
  • 군평선이의 식성을 연구하기 위해 여수 소리도 주변 해역에서 소형 trawl을 이용하여 2003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채집된 군평선이의 위내용물을 조사하였다. 군평선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였으며, 그 다음으로 게류, 갯지렁이류 및 단각류순으로 중요하였다. 그 외에 이매패류, 두족류, 해초류, 집게류, 등각류, 미동정 난, 곤쟁이류, 복족류 및 요각류 등이 발견되었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군평선이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전환이 뚜렷하였다. 가장 작은 크기군인 체장 10~11.9 cm 크기군에서는 단각류의 점유율이 높았지만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단각류의 점유율은 점차 감소한 반면, 새우류의 점유율이 증가하여 12~17.9 cm 크기군에서는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 되었다. 한편 체장 18~22.1 cm 크기군에서는 갯지렁이류의 점유율이 증가하여 새우류와 더불어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군평선이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크기가 점차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