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lated word recognition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초

Diphone 단위 의 hidden Markov model을 이용한 한국어 단어 인식 (Korean Word Recognition Using Diphone- Level Hidden Markov Model)

  • 박현상;은종관;박용규;권오욱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23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음성인식에 적합한 음성 인식 단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좋은 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발음된 음성내의 조음화현상을 처리할 수 있는 인식단위를 선택해야만 한다. 따라서 음소보다 개념적으로 확대된 인식단위가 필요하게 되는데, diphone은 음소간의 전이영역을 modeling하기때문에 좋은 인식 단위가 될 수 있다. Diphone을 인식 단위로 할 경우에 안정적인 음소영역을 diphone사이에 삽입할 수도 있다. 7명의 남성화자가 발음한 74단어로 구성된 고립단어 인식 실험결과 diphone을 2-state HMM으로, 터짐소리 `ㅂ',`ㄷ','ㄱ'와 묵음을 제외한 음소에 대해서 1-state HMM으로 나타냈을 때 가장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 이때 드물게 발생하는 diphone들을 하나의 단위로 merging했을 때 인식률이 $93.98\%$에서 $96.29\%$로 향상되었다. 또한 merging된 diphone과 제안한 국소보간법 (local interpolation technique)을 사용함으로써 $97.22\%$까지 인식률이 향상되었다.

  • PDF

TDNN과 DTW를이용한 격리단어 인식 (Isolated Word Recognition using TDNN and DTW)

  • 황영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5-50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신경 회로망과 DTW를 이용하여 격리 단어 인식을 수행하였다. 인식 대상 단어는 숫자음을 사용하였고, 숫자음에 포함된 음소를 세 부분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신경회로망을 구성한 후, 전체 음소를 인식하기 위하여 세 개의 신경회로망을 합성하였다. 격리 단어 인식은 전단계에서 구한 음소를 이용하여 DTW기법으로 수행하였다.

  • PDF

HMM Based Endpoint Detection for Speech Signals

  • 이용형;오창혁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5-76
    • /
    • 2001
  • An endpoint detection method for speech signals utilizing hidden Markov model(HMM) is proposed. It turns out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quite satisfactory to apply isolated word speech recognition.

  • PDF

초음파 센서와 DSP 음성인식을 이용한 이동 로봇 구현 (Implement Of Automobile Robot Using the Ultrasonic Sensors And the DSP Chip(TMS320C31))

  • 임창환;문철홍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155-158
    • /
    • 2000
  • In this paper, For operator's conveniency of the mobile robot, achieved the system which control the robot by adopting the speaker independently isolated word recognition and by implementing the real time with TMS320C31. and This paper using the Tri-ultrasonics range finder to detect obstacles and implements the mobile robot. In this paper, DSP processor (TMS320C31) is used signal processing for speech recognition in the real time and Micro processor(80C196KC) is controling the ultrasonics range finders.

  • PDF

잡음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위한 신호처리 (Signal Processing for Speech Recognition in Noisy Environment)

  • 김원구;임용훈;차일환;윤대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3-84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잡음 환경에서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잡음제거 방식과 거리 측정 방법을 연구하고 백색 및 유색 잡음 환경에서 거리 측정 방법에 따른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잡음 제거 방법으로는 음성 인식 시스템의 전처리 과정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스펙트럼 차감법, 자기 상관 차감법, 적응 잡음 제거, 적응 빔 형성기가 있으며 거리 측정 방법으로는 Log Likelihood Ration($d_{LLR}$), 켑스트럼에 의한 거리 측정 ($d_{CEP}$), 가중 켑스트럼 거리 측정 ($d_{WCEP}$), 스펙트럼 기울기에 의한 거리 측정 ($d_{RPS}$), 켑스트럼 투영 거리 측정방법 ($d_{CP},\;d_{BCP},\;d_{WCP},\;d_{BWCP}$)들이 있다. 백색 및 자동차 잡음 환경에서의 화자 종속 단독음 인식 실험 결과, 켑스트럼 계수의 높은 차수에 큰 가중을 두는 거리 측정 방법인 $d_{RPS},\;d_{WCEP}$가 잡음에 강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잡음이 존재할 때는 pre-emphasis를 하지 않은 경우가 높은 인식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단어사전과 다층 퍼셉트론을 이용한 고립단어 인식 알고리듬 (Isolated Word Recognition Algorithm Using Lexicon and Multi-layer Perceptron)

  • 이기희;임인칠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2B권8호
    • /
    • pp.1110-1118
    • /
    • 1995
  • Over the past few years, a wide variety of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which make a reliable recognition of speech signal. Multi-layer perceptron(MLP) which has excellent pattern recognition properties is one of the most versatile networks in the area of speech recognition. This paper describes a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 which use both MLP and lexicon. In this system., the recognition is performed by a network search algorithm which matches words in lexicon to MLP output scores. We also suggest a recognition algorithm which incorperat durational information of each phone, whose performance is comparable to that of conventional continuous HMM(CHMM). Performance of the system is evaluated on the database of 26 vocabulary size from 9 speake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s error rate of 7.3% which is 5.3% lower rate than 12.6% of CHMM.

  • PDF

소프트컴퓨팅 기법을 이용한 다음절 단어의 음성인식 (Speech Recognition of Multi-Syllable Words Using Soft Computing Techniques)

  • 이종수;윤지원
    • 정보저장시스템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8-24
    • /
    • 2010
  • The performance of the speech recognition mainly depends on uncertain factors such as speaker's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effects.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speech recognition of a number of multi-syllable isolated Korean words using soft computing techniques such as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fuzzy inference system, and fuzzy neural network. Feature patterns for the speech recognition are analyzed with 12th order thirty frames that are normalized by the linear predictive coding and Cepstrums. Using four models of speech recognizer, actual experiments for both single-speakers and multiple-speakers are conducted. Through this study, the recognizers of combined fuzzy logic and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and fuzzy neural network show the better performance in identifying the speech recognition.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제약 없이 쓰여진 필기체 문자열로부터 단어 분리 방법 (Segmentation of Words from the Lines of Unconstrained Handwritten Text using Neural Networks)

  • 김경환
    • 전자공학회논문지C
    • /
    • 제36C권7호
    • /
    • pp.27-35
    • /
    • 1999
  • 필기서술의 인식과 관련된 연구는 인식대상 영상이 바르게 분리된 인식단위를 포함한다는 전제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적인 필기인식 시스템의 설계에 있어서, 다양한 필기방식으로 인해, 인식단위로의 분리가 선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한없이 쓰여진 필기 문자열로부터 인식의 도움없이 독립된 단어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성요소간 물리적인 거리에 의존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필기서술 자체로부터 필기자의 띄어쓰기와 관련된 특징들을 적극적으로 추출하고 이를 신경회로망을 사용하여 해석한다. 띄어쓰기와 관련된 정보는 문자 분리과정을 통해 분리된 문자 세그먼트의 높이와 세그먼트 중심선 사이의 간격들을 정규화하여 구한다. 연결요소간의 거리에 기반한 방법들과의 비교실험을 통해 제한한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 PDF

HMM을 기반으로 한 자율이동로봇의 음성명령 인식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utonomous Mobile Robot with Speech Teaching Command Recognition System Based on Hidden Markov Model)

  • 조현수;박민규;이현정;이민철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726-734
    • /
    • 2007
  • Generally, a mobile robot is moved by original input programs. However, it is very hard for a non-expert to change the program generating the moving path of a mobile robot, because he doesn't know almost the teaching command and operating method for driving the robot. Therefore, the teaching method with speech command for a handicapped person without hands or a non-expert without an expert knowledge to generate the path is required gradually. In this study, for easily teaching the moving path of the autonomous mobile robot, the autonomous mobile robot with the function of speech recognition is developed. The use of human voice as the teaching method provides more convenient user-interface for mobile robot. To implement the teaching function, the designed robot system is composed of three separated control modules, which are speech preprocessing module, DC servo motor control module, and main control module. In this study, we design and implement a speaker dependent isolated word recognition system for creating moving path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in the unknown environment. The system uses word-level Hidden Markov Models(HMM) for designated command vocabularies to control a mobile robot, and it has postprocessing by neural network according to the condition based on confidence score. As the spectral analysis method, we use a filter-bank analysis model to extract of features of the voice. The proposed word recognition system is tested using 33 Korean words for control of the mobile robot navigation, and we als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navigation of a mobile robot using only voice com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