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vertase activity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2초

Diverse Antibacterial Activity of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Isolated in Korea

  • Roh, Eun-Jung;Lee, Seung-Don;Lee, Yong-Hoon;Ra, Dong-Su;Choi, Jae-Hyuk;Moon, Eun-Pyo;Heu, Sung-G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호
    • /
    • pp.42-50
    • /
    • 2009
  • Fifty-four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strains isolated in Korea were characterized by a spectrum of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7 indicator strains chosen to represent various regions and host plants. All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isolates tested could be grouped into 4 classes depending on the pattern of antibacterial substance production. All tested strains had DNA fragment(s) homologous to the genes encoding carotovoricin and 21 of them had genes homologous to DNA invertase. Sixteen strains had genes homologous to the genes encoding carocin S1. Several isolates produced antibacterial substances active against strains in Brenneria, Pantoea, and Pectobacterium genera that belonged formerly to the genus Erwinia. Strains in Pseudomonas or Xanthomonas sp. were not sensitive to the antibacterial substances produced by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except for X. albilineans that was sensitive to antibacterial substances produced by most strains in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and P. betavasculorum KACC10056.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diverse patterns of antibacterial substance production and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new antibacterial substance(s) produced by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isolated in Korea.

감압저장 중 Tomato과실의 당과 그에 관련되는 효소의 변화 (Changes of Sugars and Their Related Enzymes in Tomato Fruits during the Storage of Subatmospheric Pressure)

  • 강우원;최종욱;손태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4-70
    • /
    • 1984
  • 감압 저장 중 tomato과실에서 일어나는 당전환의 일부를 조사 하고자 저장기간을 통하여 탄수화물의 성분과 그들에 관련된 효소활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omato 과실에 함유되어 있는 soluble sugar의 대부분은 fructose glucose이며 소량의 sucrose와 maltose가 존재하였다. 이들의 저장 중 변화를 살펴보면 fructose는 저장전반에 걸쳐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glucose는 저장초기에 증가하다가 저장말기에 약간 감소하였으며 sucrose는 저장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당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lpha}-amylase$와 in-vertase의 활성은 climacteric onset 시기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이 시기에 total soluble sugar는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기질인 starch와 sucrose는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압력에 의한 영향보다 온도에 따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Effect of Dietary Phytase Transgenic Corn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Fate of Recombinant Plant DNA in Laying Hens

  • Gao, Chunqi;Ma, Qiugang;Zhao, Lihong;Zhang, Jianyun;Ji, Ch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호
    • /
    • pp.77-82
    • /
    • 2014
  •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otential effects of feeding with phytase transgenic corn (PTC) on organ weight,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and nutrient digestibility, and to determine the fate of the transgenic DNA in laying hens. A total of 144 50-week-old laying hens were grouped randomly into 2 treatments, with 8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9 hens per replicate. Each treatment group of hens was fed with diets containing 62.4% non-transgenic conventional corn (CC) or PTC for 16 weeks. The phytase activity for CC was 37 FTU/kg of DM, whereas the phytase activity for PTC was 8,980 FTU/kg of DM. We observed that feeding PTC to laying hens had no adverse effect on organ weight or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p>0.05). A fragment of a poultry-specific ovalbumin gene (ov) was amplified from all tissues of hens showing that the DNA preparations were amenable to PCR amplification. Neither the corn-specific invertase gene (ivr) nor the transgenic phyA2 gene was detected in the breast muscle, leg muscle, ovary, oviduct and eggs. The digestibility data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ens that received the CC- and PTC-based diets in the digestibility of DM, energy, nitrogen and calcium (p>0.05). Phosphorus digestibility of hens fed the PTC-based diet was greater than that of hens fed the CC-based diet (58.03% vs 47.42%, p<0.01).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PTC had no deleterious effects on the organ weight or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of the laying hens. No recombinant phyA2 gene was detected in muscle tissues and reproductive organs of laying hens. The novel plant phytase was efficacious in improving the phosphorus digestibility of laying hens.

Streptomyces sp. S34의 exoinulase 생산 및 성질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exoinulase from Streptomyces sp. S34)

  • 하영주;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75-381
    • /
    • 1992
  • Streptomyces sp. S34가 분비하는 exoinulase의 생산조건을 검토하고 정제하였으며 이 호소의 성질을 조사하여 Streptomyces sp. S56이 생산하는 endoinulase와 비교하였다. 이 효소는 같은 속에서 분비되는 endoinulase와는 달리 탄소원으로 inulin이외에 glucose 및 soluble starch를 사용할 때도 효소가 생산되어 구성효소로 생각되었으며 유기질소원으로 대두박을 사용할 때 최대의 효소생산을 보였다. DEAE-cellulose에 이어 Sephadex G-200 chromatography로 정제한 효소의 최적 pH는 $5.5{\sim}6.0$이었고 최적온도 $50^{\circ}C$에서의 열안정성은 1시간 처리로 45%의 잔류활성이 있었다. 효소활성은 $Mn^{+2}$ 이온에 의하여 증가되나 $Ag^+$, $Hg^{+2}$, $Fe^{+3}$ 이온들에 의하여는 80% 이상 감소되었으며 특히 EDTA, 8-hydroxyquinoline에 의해 저해되어 metalloenzyme으로 생각되었다. 본 효소는 inulase 활성 대 invertase 활성비가 0.52로 전형적인 exoinulase로서 inulin 및 sucrose에 대한 친화도는 거의 같으나 최대속도는 inulin이 기질일 경우 sucrose보다 약 10배 빨랐다. 같은 Streptomyces 속에서 분비되는 endoinulase와 비교하면 작용 pH 범위가 $5{\sim}7$로 더 좁고 열안정성도 낮으며 저해 금속이온도 상이하나 두 효소 모두 metalloenzyme으로 추정되었다.

  • PDF

Microbacterium sp. A-210이 생성하는 Levan fructotransferase의 정제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urification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Wild-type and Mutants of a Levan Fructotransferase from Microbacterium sp. AL-210)

  • 황은영;정미숙;차재호;장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18-1225
    • /
    • 2009
  • DFA (Difructose anhydride)는 특유의 구조적인 안정성 때문에 당뇨병 환자를 위한 당원으로써 적합하다는 연구가 보고 되어 있다. DFA에는 4가지 type이 있는데 inulin에 의한 DFA I DFA III DFAV가 있고 levan에 의한 DFA IV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DFA IV는 당뇨병 환자를 위한 당원 뿐 만 아니라 rat을 이용한 연구에서 칼슘의 흡수를 도와 준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러한 DFAIV를 생성하는 데 쓰이는 Microbacterium sp. AL-210에서 유래한 LFTase (Levan fructotransferase)의 wild-type과 mutants (D63A, D195N, N85S)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정제하였다. LFTase의 wild-type과 mutants들을 대량 발현시킨 후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그리고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고순도로 분리 정제하였으며 이를 SDS-PAGE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분리 정제된 단백질을 JNET 이차 구조 예측 프로그램, solubility 측정, CD (원 편광 이색성 분광편광계), fluorescence spectroscopy (형광분석법), DSC (시차주사열량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다중 정렬과 2차 구조 예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wild-type의 2차 구조를 분석하였다. Solubility 측정에서 가장 적합한 온도는 $55^{\circ}C$, 최상의 pH는 7.5로 나타났다. CD 분석에서 wild-type과 비교한 결과 다른 mutant에 비해 N85S의 $\alpha$-helix가 많이 감소한 것과 $\beta$ strand와 random coil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DSC 분석을 통해 wild-type이 다른 mutants에 비해 안정적인 구조를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형광분석에서 N85S가 wild-type과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D63A와 D195N은 wild-type에 비해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wild-type의 sequence를 Exo-inulinase from Aspegillus awamori, a plant fructan 1-exohydrolase from Cichorium intybus 그리고 invertase from Thermotogo maritime (Tm)의 sequence와 다중 정렬한 결과 Exo-inulinase와 높은 identity를 보였다.

Enterobacter sp. S45 생산 inulin fructotransfer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inulin fructotransferase (Depolymerizing) from Enterobacter sp. S45)

  • 강수일;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2호
    • /
    • pp.105-110
    • /
    • 1993
  • Enterobacter sp. S45로부터 inulin fructotransferase를 생산, 정제하고 효소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양상징액의 $0.4{\sim}0.8$ 포화$(NH_4)_2SO_4$ 침전물인 조효소는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및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로 정제하였으며 효소의 회수율은 0.9%였고 약 148배의 정제도를 보였다. 정제된 효소는 전기영동상으로 단일 band였으며 분자량은 SDS-PAGE에 의해 42,800으로 나타났다. 이 효소의 최적 pH는 5.5, 최적 온도는 $50^{\circ}C$였으며 $Mg^{2+}$이온은 효소활성을 30% 증가시키나 $Hg^{2+}$, $Cu^{2+}$$Fe^{3+}$이온들은 활성을 강력히 저해하였다. Inulin에 대한 km 값은 1.4 mM, Vmax 값은 $0.196\;{\mu}mole/min$이었다. 본 효소는 inulin을 fructose 말단으로부터 fructose 두 분자씩 절단, 환상형인 DFA를 생성하며, 그 결과 inulin 분해산물인 GF, $GF_2$, $GF_3$, $GF_4$ 등도 검출되었다. 중합도에 따른 효소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이 효소는 중합도 $4(GF_3)$ 이상의 fructo 올리고당에만 작용하여 $GF_3$는 DFA III와 GF로, $GF_4$는 DFA III와 $GF_2$로 변환시켰다. 또한 본 효소는 sucrose, raffinose 및 melezitose를 기질로서 이용하지 못하므로 invertase 및 ${\alpha}-glucosidase$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