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verse propensity weighting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Estimating causal effect of multi-valued treatment from observational survival data

  • Kim, Bongseong;Kim, Ji-Hy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7권6호
    • /
    • pp.675-688
    • /
    • 2020
  • In survival analysis of observational data, the inverse probability weighting method and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re widely used when estimating the causal effects of multiple-valued treatment. In this paper, the two kinds of weights have been examined in the inverse probability weighting method. We explain the reason why the stabilized weight is more appropriate when an inverse probability weighting method using the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is applied. We also emphasize that a marginal hazard ratio and the conditional hazard ratio should be distinguished when defining the hazard ratio as a treatment effect under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 simulation study based on real data is conducted to provide concrete numerical evidence.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상황에서의 성향 점수 가중치 방법에 대한 비교 모의실험 연구 (A simulation study for various propensity score weighting methods in clinical problematic situations)

  • 정시성;민은정
    • 응용통계연구
    • /
    • 제36권5호
    • /
    • pp.381-397
    • /
    • 2023
  • 대부분의 임상시험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실험설계는 무작위화로, 치료 효과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러나 무작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관찰연구의 경우 치료군과 대조군의 비교로 얻는 치료효과에는 환자 간의 특성 등 여러 조정되지 않은 차이로 인해 편향이 발생한다. 성향 점수 가중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널리쓰이는 방법으로 치료 효과를 추정하는데에 있어 교란요인을 조정하여 편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성향 점수를 이용한 가중치 방법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역확률 가중치는 관찰된 공변량이 주어졌을 때 특정 치료에 할당될 조건부 확률의 역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할당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극단적인 성향 점수에 의해 종종 방해 받아 편향된 추정치와 과도한 분산을 초래한다는 점이 알려져있어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절사 역확률 가중치, 중복 가중치, 일치 가중치를 포함한 여러 가지 대안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중복, 잘못 지정된 성향 점수 모델 및 예측과 반대되는 치료 등 다양한 문제상황에서 여러 성향 점수 가중치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는 시뮬레이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비교연구의 결과 중복 가중치와 일치 가중치는 편향, 제곱근평균제곱오차 및 포함 확률 측면에서 역확률 가중치와 절사역확률 가중치에 비에 우월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Performance study of propensity score methods against regression with covariate adjustment

  • Park, Ji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217-227
    • /
    • 2015
  • In observational study, handling confounders is a primary issue in measuring treatment effect of interest. Historically, a regression with covariate adjustment (covariate-adjusted regression) has been the typical approach to estimate treatment effect incorporating potential confounders into model. However, ever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propensity score, covariate-adjusted regression has been gradually replaced in medical literatures with various balancing methods based on propensity score. On the other hand, there is only a paucity of researches assessing propensity score methods compared with the covariate-adjusted regression. This paper examined the performance of propensity score methods in estimating risk difference and compare their performance with the covariate-adjusted regression by a Monte Carlo study. The study demonstrated in general the covariate-adjusted regression with variable selection procedure outperformed propensity-score-based methods in terms both of bias and MSE, suggesting that the classical regression method needs to be considered, rather than the propensity score methods, if a performance is a primary concern.

차원축소 방법을 이용한 평균처리효과 추정에 대한 개요 (Overview of estimating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using dimension reduction methods)

  • 김미정
    • 응용통계연구
    • /
    • 제36권4호
    • /
    • pp.323-335
    • /
    • 2023
  • 고차원 데이터의 인과 추론에서 고차원 공변량의 차원을 축소하고 적절히 변형하여 처리와 잠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란을 통제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평균 처리 효과(average treatment effect; ATE) 추정에 있어서, 성향점수와 결과 모형 추정을 이용한 확장된 역확률 가중치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고차원 데이터의 분석시 모든 공변량을 포함한 모수 모형을 이용하여 성향 점수와 결과 모형 추정을 할 경우, ATE 추정량이 일치성을 갖지 않거나 추정량의 분산이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고차원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차원 축소 방법과 준모수 모형을 이용한 ATE 방법이 주목 받고 있다. 이와 관련된 연구로는 차원 축소부분에 준모수 모형과 희소 충분 차원 축소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있다. 최근에는 성향점수와 결과 모형을 추정하지 않고, 차원 축소 후 매칭을 활용한 ATE 추정 방법도 제시되었다. 고차원 데이터의 ATE 추정 방법연구 중 최근에 제시된 네 가지 연구에 대해 소개하고, 추정치 해석시 유의할 점에 대하여 논하기로 한다.

Practice of causal inference with the propensity of being zero or one: assessing the effect of arbitrary cutoffs of propensity scores

  • Kang, Joseph;Chan, Wendy;Kim, Mi-Ok;Steiner, Peter M.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3권1호
    • /
    • pp.1-20
    • /
    • 2016
  • Causal inference method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ast decade to estimate the unconfounded effect of an exposure under several key assumptions. These assumptio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stable unit treatment value assumption, the strong ignorability of treatment assignment assumption, and the assumption that propensity scores be bounded away from zero and one (the positivity assumption). Of these assumptions, the first two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literature. Yet the positivity assumption has been recently discussed in only a few papers. Propensity scores of zero or one are indicative of deterministic exposure so that causal effects cannot be defined for these subjects. Therefore, these subjects need to be removed because no comparable comparison groups can be found for such subjects. In this paper, using currently available causal inference methods, we evaluate the effect of arbitrary cutoffs in the distribution of propensity scores and the impact of those decisions on bias and efficiency. We propose a tree-based method that performs well in terms of bias reduction when the definition of positivity is based on a single confounder. This tree-based method can be easily implemented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program, R. R code for the studies is available online.

표본조사에서 무응답 가중치 조정층 구성방법에 따른 효과 (Forming Weighting Adjustment Cells for Unit-Nonresponse in Sample Surveys)

  • 김영원;남시주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6권1호
    • /
    • pp.103-113
    • /
    • 2009
  • 표본조사에서 무응답은 비 표본추출오차를 발생시키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단위무응답이 발생하는 경우 무응답에 의한 편향을 줄이는 동시에 추정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단위무응답 조정층을 구성해 무응답 가중치 조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응답 조정층 구성과 관련된 기존의 이론들을 정리하고 어업총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적인 모의실험을 통해 효과적으로 무응답 조정층을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모의실험결과 응답성향에 따른 조정층 구성보다는 예측평균을 기준으로 한 조정층 구성이 효율성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러 다른 관심변수에도 적용될 수 있는 로버스트한 조정층 구성을 위해서는 예측평균만을 고려하는 것보다 응답성향과 예측평균을 모두 고려한 조정층 구성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무응답 조정을 위한 응답률 산출에 있어서 설계가중치의 적용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설계가중치 적용 여부는 추정결과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심혈관 질환 및 당뇨병 위험분석: a propensity score analysis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 Propensity Score Analysis)

  • 유기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4
    • /
    • 2019
  • Background: Rheumatoid arthritis (RA) is a systemic inflammatory disease that manifests as joint damage or athletic disability via sustained inflammation of the synovial membran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is higher in RA patients.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CVD comorbidities and RA by comparing a pharmacotherapy group with a non-pharmacotherapy group. Methods: Patient sample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NPS-2016) were used.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IPTW) using the propensity score was used to minimize the differences in patient characteristic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risk of CVD comorbidities. Results: The analyses included 1,207,213 patients, of which 33,122 (2.8%) had RA. The odds ratios (OR) of CVD comorbidities were increased in RA patients; ischemic heart disease (IHD: OR 1.75; 95% CI 1.73, 1.77), cerebral infarction (CERI: OR 1.28; 95% CI 1.26, 1.30), hypertension (HTN: OR 1.44; 95% CI 1.43, 1.45), diabetes mellitus (DM: OR 2.04; 95% CI 2.03, 2.06), and dyslipidemia (DL: OR 3.49; 95% CI 3.47, 3.51). The ORs of IHD, CERI, HTN, and DM in the traditional DMARD and biologic treatment groups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the non-pharmacotherapy group. Conclusions: Thus, CVD risk was higher in RA patients, considering age, sex, and socioeconomic status. Appropriate pharmacotherapy could decrease the risk of CVD comorbidities in RA patients.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성향점수 분석과 회귀모델을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Propensity Score Approaches)

  • 차선아;배수영;남상훈;홍익표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61-77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2020년에 수집된 제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 참여한 지역에 거주하는 45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 점수를 기준으로 분류한 인지기능, 종속변수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이다. 인지기능 그룹 간 공변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성향점수 활용법 중 역확률가중치를 적용 후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역확률가중치 적용 전의 다중회귀분석과 적용 후의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는 총 6,116명으로 인지정상군 4,367명, 경도 인지손상군 1,155명, 중증 인지손상군 594명으로 구성되었다. 성향점수 역확률가중치 적용 결과로 표준화된 평균 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ence)를 확인하여 0.2 이상인 변수를 다시 통제하고 분석한 다중회귀모델에서 인지기능 그룹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부정적인 연관성이 있었다(정상 vs. 경도: β = -2.534, p < .0001; 정상 vs. 중증: β = -2.452, p < .0001). 결론 : 본 연구 결과에서 인지손상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음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성향점수 활용 후 중증 인지손상보다 경도 인지손상에서 더 부정적인 연관성을 나타낸 결과는 인지손상은 저하된 정도와 관계없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지기능의 감퇴가 나타난 모든 환자들은 구강관리의 중요성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잠재범주분석을 이용한 원인적 영향력 추론에 관한 연구 (Estimating Average Causal Effect in Latent Class Analysis)

  • 박가영;정환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7호
    • /
    • pp.1077-1095
    • /
    • 2014
  • 관찰연구를 이용하여 인과관계를 추론할 경우 무작위 통제시험과는 달리 교란변수로 인한 편향을 제어하기 위한 통계적 전략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성향점수(propensity score) 를 이용한 짝짓기나 원인변수의 역확률을 가중치로 사용하는 주변구조모형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과관계 추론은 처치(treatment)가 명확히 주어진 경우에 교란변수를 통제하고 그 처치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의 경우 원인변수인 처치가 직접관측이 가능한 범주형 변수이고 결과변수 또한 직접관측이 가능한 변수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인변수인 처치와 결과변수의 결괏값의 직접적인 관측이 어려운 경우, 측정오차를 고려한 잠재범주모형(latent class analysis)의 변수로 모형화 함으로써 잠재범주 간의 원인적 영향력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미국의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Health 자료를 이용하여, 약물사용의 잠재범주에 대한 청소년기의 비행(delinquency)이라는 잠재범주의 원인적 영향력을 추정하였다.

우울과 의료이용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 Care Utilization)

  • 조효은;이준협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8-77
    • /
    • 2024
  • 연구배경: 우울은 저하된 기분이 비교적 경미한 수준인 일상 우울과 병적 상태인 임상적 우울로 구분할 수 있다. 우울 경험은 치료순응도 저하, 신체증상 등을 경험하게 하여 의료이용을 높일 수 있으나 우울 중 임상적 우울 집단은 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경험하여 의료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의료이용은 개인 나아가 사회 문제의 원인이 되어 중요하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임상적 우울 집단, 일상 우울, 비우울 집단의 의료이용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일반화 성향점수(generalized propensity score) 기반 처치역확률가중기법(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을 이용하여 비우울, 일상 우울, 임상적 우울 집단 간 공변량의 불균형을 최소화하고 우울과 의료이용, 총진료비의 관계를 각각 음이항 회귀분석과 로그변환한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우울은 여성, 소득이 낮은 집단, 교육수준이 낮거나 배우자가 없거나 건강보험에 가입되지 않았거나 경제활동을 하지 않은 집단에서 높았으며, 우울중 임상적 우울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거나 민간의료보험에 미가입된 집단, 질환의 보유개수가 많은 집단에서 비중이 높았다. 의료이용 횟수는 우울 집단(일상 우울 집단 및 임상적 우울 집단)이 비우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임상적 우울 집단이 일상 우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총진료비는 우울 집단이 비우울 집단보다 높았으나, 임상적 우울 집단과 일상 우울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의료이용은 비우울 집단보다 우울 집단(임상적 우울 집단 과 일상 우울 집단)에서 높았으며, 임상적 우울 집단보다 일상 우울 집단에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