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cellular uptake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6초

카드뮴 내성 효모의 Intact Cells에 의한 카드뮴의 세포내 축적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Cadmium by Intact Cadmium Tolerant Yeast Cells)

  • Yu, Tae-Shick;Song, Hyung-Ik;Chung, Ki-Tae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34
    • /
    • 1989
  • 고도 카드뮴 내성 효모, Hansenula anomala B-7 의 intact cell에 의한 카드뮴의 세포내 축적에 미치는 계면활성제의 영향를 검토하고, Triton X-100의 존재하에서의 카드뮴 축적에 미치는 제인자 등을 검토했다. 카드뮴의 축적은 0.1% Triton X-100과 Aerosol OT에 의하여 약 40% 이상 증가되었다. 카드뮴 이온에 대한 Km값은 0.247mM로 계산되었다. 카드뮴의 축적 최적 pH는 pH7.0에서 pH10.0 사이였으며, 최적온도는 4$0^{\circ}C$였다. 카드뮴의 최적 축적은 정치보다 진탕하므로 약 3배 증가되었으며, 진탕속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카드뮴과 아연 이온을 공존시키므로 카드뮴의 축적이 아연 이온에 의하여 저해되었다.

  • PDF

열변성 단백질이 결합된 음이온성 리포솜의 혈장 내 안정성 및 세포 내 이입 평가 (Stability in Plasma and Intracellular Uptake of Thermally Denatured Protein-coated anionic Liposomes)

  • 이미정;황인영;김성규;정석현;정서영;성하수;조선행;신병철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9권6호
    • /
    • pp.423-429
    • /
    • 2009
  • Liposomes have been used as one of the efficient carriers for drug delivery. In this study, anionic liposomes of which surface was modified by using both electrostaic interaction between anionic liposomes and cationically charged BSA molecules at lower pH than isoelectric point (pI) of BSA and denaturation of the BSA-coated liposomes by thermal treatment. The thermally denatured BSA-coated liposomes (DBAL) had mean particle diameter of 125.2${\pm}$1.7 nm and zeta potential value of -22.4${\pm}$4.5 mV. Loading efficiency of model drug, doxorubicin (DOX), into liposomes was 83.0${\pm}$2.6%. Results of in vitro stability study of DBAL in blood plasma showed that the mean particle diameter of DBAL 400 did not increase in blood plasma and adsorption of plasma protein was much less than plain or anionic liposomes. Intracellular uptake of DBAL 400 evaluated by confocal microscopy observ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PEG liposomes.

음이온계 약물의 간수송과정에 있어서 대향수송의 약물동력학적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Pharmacokinetic Modelling and Simulation of the Counter-transport in the Hepatic Transport of Organic Anions)

  • 송석길;이준섭;정연복
    • 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75-283
    • /
    • 200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kinetically investigate the carrier-mediated uptake in the hepatic transport of organic anions, and to simulate the 'in vivo counter-transport' phenomena, using kinetic model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condition that the mobility of carrier-ligand complex is greater than that of free carrier is not essential for the occurrence of 'counter-transport' phenomenon. To examine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initial uptake of organic anions by the liver, it is necessary to judge whether the true counter-transport mechanism (trans-stimulation) is working or not. Effects of bromophenol blue (BPB) or bromosulfophthalein (BSP) on the plasma disappearance curves of a 1-anilino-8-naphthalene sulfonate (ANS) were then kinetically analyzed based on a flow model, in which the ligand is eliminated only from the peripheral compartment (liver compartment). Moreover, 'in vivo counter-transport' phenomena were simulated based on the perfusion model which incorporated the carrier-mediated transport and the saturable intracellular binding. The 'in vivo counter-transport' phenomena in the hepatic transport of a organic anions were well demonstrated by incorporating the carrier-mediated process. However, the 'in vivo counter-transport' phenomena may be also explained by the enhancement of back diffusion due to the displacement of intracellular binding. In conclusion, one should be more cautious in interpreting data obtained from so-called 'in vivo counter-transport' experiments.

Histological Subtype of Ovarian Cancer as a Determinant of Sensitivity to Formamidine Derivatives of Doxorubicin - in Vitro Comparative Studies with SKOV-3 and ES-2 Cancer Cell Lines

  • Denel-Bobrowska, M.;Lukawska, M;Oszczapowicz, I;Marczak, 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9호
    • /
    • pp.4223-4231
    • /
    • 2016
  • Background: Development of new apoptosis-inducing drugs is a promising trend in anticancer therapy. For this purpose several formamidinoderivatives of doxorubicin were synthesized. The aim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five formamidinodoxorubicins in the ES-2 human ovarian clear cell carcinoma line, for comparison with data obtained previously for SKOV-3 human ovarian adenocarcinoma cell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 histological cell type is a possible determinant of sensitivity to tested anthracyclines. Materials and Methods: In our experimental work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spectrophotometric assays with MTT; fluorimetric assays - double staining with Hoechst 33258 and propidium iodide (PI), measurement of caspase-3, -8, -9 activity,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DOX and analogues, estimation of drug uptake,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flow cytometry - phosphatidylserine (PS) externalization with annexin V-FITC and PI fluorochromes. Results: Effects of the derivatives of doxorubicin were partially linked with the specific type of cancer cell although intracellular accumulation and cellular uptake of DOX and derivatives were similar in both. All of the investigated derivatives were considerably more cytotoxic than DOX. Formamidinodoxorubicins were able to induce caspase-dependent apoptotic cell death in both cell types. Conclusions: All new formamidine derivatives of DOX were able to induce caspase - dependent apoptosis in human ovarian cancer cell lines SKOV-3 and ES-2. Obtained results suggested that formamidine derivatives of DOX may be promising candidates for the prospective chemotherapeutic agents for the two different histological subtypes of ovarian cancer.

Anti-adipogenic effect of the flavonoids through the activation of AMPK in palmitate (PA)-treated HepG2 cells

  • Rajan, Priyanka;Natraj, Premkumar;Ranaweera, Sachithra S.;Dayarathne, Lakshi A.;Lee, Young Jae;Han, Chang-Hoo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4.1-4.15
    • /
    • 2022
  • Background: Flavonoids are natural polyphenols found widely in citrus fruit and peel that possess anti-adipogenic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mechanisms for the antiadipogenic effects of flavonoids are unclear.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observed the anti-adipogenic effects of five major citrus flavonoids, including hesperidin (HES), narirutin (NAR), nobiletin (NOB), sinensetin (SIN), and tangeretin (TAN), on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ation in palmitate (PA)-treated HepG2 cells. Methods: The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and triglyceride (TG) contents were quantified by Oil-red O staining and TG assay, respectively. The glucose uptake was assessed using 2-[N-(7-Nitrobenz-2-oxa-1,3-diazol-4-yl)amino]-2-deoxy-d-glucose (2-NBDG) assay. The levels of AMPK, acetyl-CoA carboxylase (ACC), and glycogen synthase kinase 3 beta (GSK3β) phosphorylation, and levels of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2 (SREBP-2) and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HMGCR) expression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potential interaction between the flavonoids and the γ-subunit of AMPK was investigated by molecular docking analysis. Results: The flavonoid treatment reduced both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and TG content in PA-treated HepG2 cells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flavonoids showed increased 2-NBDG uptake in an insulin-independent manner in PA-treated HepG2 cells. The flavonoids increased the AMPK, ACC, and GSK3β phosphorylation levels and decreased the SREBP-2 and HMGCR expression levels in PA-treated HepG2 cells. Molecular docking analysis showed that the flavonoids bind to the CBS domains in the regulatory γ-subunit of AMPK with high binding affinities and could serve as potential AMPK activators. Conclusion: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flavonoids on PA-treated HepG2 cells results from the activation of AMPK by flavonoids.

니코틴의 마우스 소뇌과립세포내 칼슘의 항상성 조절기전 (Cellular Mechanism of Nicotine-mediated Intracellular Calcium Homeostasis in Primary Culture of Mouse Cerebellar Granule Cells)

  • 김원기;배영숙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21
    • /
    • 1996
  • 세포내 칼슘농도는 신경세포의 다양한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배양한 마우스 소뇌과립세포에서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특정 발생단계에 발현되고 세포내 칼슘의 농도조절에 관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니코틴에 의한 세포내 칼슘농도의 변화는 $^{45}Ca^{2+}$나 fura-2를 사용하여 형광법으로 측정하였다. 니코틴은 마우스 소뇌과립세포내 칼슘의 농도를 최대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일차배양한 Glia 세포들에서는 $^{45}Ca^{2+}$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세포내 칼슘농도에 미치는 니코틴의 효과는 NMDA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또한 Glutamate pyruvate transminase (GPT)를 사용하여 배양액의 글루타민산을 제거하면 니코틴효과가 소실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니코틴에 의한 세포내 칼슘농도의 변화가 세포에서 유리된 글루타민산에 의한 간접적인 효과임을 암시한다. Fura-2를 사용한 형광법으로 실험한 결과 니코틴은 two phase로 세포내 칼슘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NMDA 수용체 길항제와 GPT는 단지 후기 plateau상만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니코틴이 직접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일시적으로 세포내 칼슘농도를 증가시키고 글루타민산을 유리하여 NMDA 수용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칼슘농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는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특정한 발생과정에 발현되어 세포내 칼슘농도 조절에 관여함으로써 신경발생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state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3H]DPCPX$를 이용한 competitive binding assay에서 0.1 mM GTP는 효현제인 PIA의 apparent affinity를 감소시켰으며, DPCPX의 apparent affinity는 증가시키고, CGS-15943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것은 상기의 $[^{35}S]GTP_{\gamma}S$ binding의 결과를 뒤받침해 주는 결과라고 생각된다.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X>$Ca^{2+}$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K^+$ 통로를 개방시킴으로 세포내 $Ca^{2+}$을 감소시켜 뇌 기저동맥의 이완반응을 매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함량을 조정하므로, 흉선세포의 apoptosis에 억제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양액에 의하여는 회복됨을 볼 수 있었으며 $Mg^{++}$ 증가 영양액에서는 억제, TTX 동시 투여시에는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흰쥐 해마에서 $A_1-adenosine$ 수용체를 통한 adenosine의 NE 유리 감소는 TEA 및 4AP에 예민한 $K^+$-통로가 관여하고 여기에는 세포외액의 Ca^{++}의 농도가 중요한 인자의 하나로 관여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상의 질을 크게 향상 시켜 줌으로 비가역 3구획모델에서의 PGA방법을 대체할 새로운 파라메터 영상구성방법으로 적합할 것이다.관계되며, YH439는 중금속으로 유도된 조직독성에 방어효과가 있음을 지지한다.총 아미노산의 순은

  • PDF

Cephalosporium acremonium에서 황화합물 대사의 조절 (Regulation of Sulfur Metabolism in Cephalosporium acremonium)

  • Lee, Kyoung;Park, Sang-Ho;Lee, Jung-Joon;Mheen, Tae-Ic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361-367
    • /
    • 1987
  • DL-seleno-methionine에 내성을 갖는 변이주, Cephalosporium acremonium MS-92는 무기황과 메치오닌의 Uptake rate가 모균보다 우수하였으며, 세포내에 과량의 메치오닌과 S-adenosylmethionine (SAM)을 축적하였다. 또 C. acremonium에서 무기황의 uptake rate는 시스테인에 의해 크게 저해되었다. Crude enzymes extracts에서 변이주 MS-92 는 cell내에 cysteine을 적게 형성하였다 즉, L.-serine sulfhydrylase 활성이 모균보다 낮았으며 세포내에 시스테인의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시스테인 분해효소인 cysteine desulfhydrylase 활성치 변이주에는 모균의 약 반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C. acremonium에서 메치오닌을 만드는 효소들의 조절에는 A. nidulans와 비슷하게 시스테인이 관여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었다.

  • PDF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AKT 및 AMPK 경로의 활성화를 통한 루페올의 포도당 흡수촉진 효과 (Facilitation of Glucose Uptake by Lupeol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PI3K/AKT and AMPK Dependent Pathways in 3T3-L1 Adipocytes)

  • 이현아;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6-93
    • /
    • 2022
  • Lupeol은 pentacyclic triterpene의 일종으로 다양한 질병에 약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lupeol이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 3T3-L1 지방세포에서 포도당 흡수에 대한 lupeol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Lupeol은 3T3-L1 지방세포에서 GLUT4를 원형질막으로 이동시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였으며, 이는 PI3K/AKT 및 AMPK 경로의 활성화와 관련되어 있었다. PI3K/AKT 경로에서 lupeol은 PI3K를 활성화시키는 insulin receptor substrate 1의 인산화와 AKT의 인산화를 촉진하지만 비정형 단백질 키나아제 C isoforms ζ 및 λ의 인산화는 촉진하지 않았다. 반면, lupeol은 5 'AMP-ac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를 촉진하였고, Lupeol의 의한 AMPK의 활성화는 원형질막-GLUT4의 발현과 세포내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T3-L1 지방세포에서 lupeol에 의한 포도당 흡수 효과는 PI3K 억제제인 wortmannin 및 AMPK 억제제인 Compound C에 의해 억제됨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lupeol이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AKT 및 AMPK 경로를 통해 원형질막 GLUT4의 발현을 자극함으로써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초대배양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의 성장과 기능분화에 대한 insulin과 IGF의 효과 - Na+ uptake에 대한 IGF-I의 효과 - (Effects of insulin and IGF on growth and functional differentiation in primary cultured rabbit kidney proximal tubule cells - Effects of IGF-I on Na+ uptake -)

  • 한호재;박권무;이장헌;양일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783-794
    • /
    • 1996
  • 이온운반계는 생체의 각기 다른 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는 성장조절인자들의 효과를 매개하는데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신장 근위세뇨관에서 솔변 연 $Na^+/H^+$ 상호운반계는 사구체에서 여과된 나트륨의 재흡수와 수소이온의 분비를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초대배양된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의 나트륨 운반을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이 어떤 경로를 통하여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초대배양된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에서 $Na^+$ uptake는 시간의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30분동안 $Na^+$ uptake를 실시한 결과 세포외 NaCl 농도의존적으로 $Na^+$ uptake를 유의성있게 감소시켰다(대조군; $40.11{\pm}1.76$, 140mM군; $17.82{\pm}0.94pmole\;Na^+/mg\;protein/min$). 2. $Na^+$ uptake는 iodoacetic acid(IAA, $1{\times}10^{-4}M$) 또는 valinomycin($5{\times}10^{-6}M$)처리시 대조군에 비해 각각 $50.51{\pm}4.4%$$57.65{\pm}2.27%$ 억제되었으며, ouabain($5{\times}10^{-5}M$)을 처리한 경우는 $140.23{\pm}3.37%$ 증가되었다. IGF-I($1{\times}10^{-5}M$)으로 배양한 세포를 actinomycin D($1{\times}10^{-7}M$)와 cycloheximide($4{\times}10^{-5}M$)로 처리시 $Na^+$ uptake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90.21{\pm}2.39%$$89.64{\pm}3.69%$로 감소되었다. 3. IGF-I으로 배양한 세포에서 세포외 cAMP는 농도의존적($10^{-8}-10^{-4}M$)으로 $Na^+$ uptake를 유의성있게 감소시켰고, 3-isobutyl-1-methyl-xanthine(IBMX, $5{\times}10^{-5}M$)도 억제시켰다. Pertussis toxin(PTX, 50pg/ml)이나 cholera toxin(CTX, $1{\mu}g/ml$)의 처리시에도 $Na^+$ uptake는 억제되었다. 세포외 phorbol 12-myristate 13 acetate(PMA) 또한 농도의존적(1-100ng/ml)으로 $Na^+$ uptake를 감소시켰다. 그러나 staurosporine($1{\times}10^{-7}M$)은 $Na^+$ uptake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PMA와 stauiosporine을 동시에 처리했을 때도 $Na^+$ uptake는 억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초대배양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에서 $Na^+$ uptake는 막전위와 세포내 에너지 의존적이며 IGF-I은 부분적으로 단백질 및 RNA 합성을 통해서 그리고 세포내 cAMP나 PKC 경로를 통해서 $Na^+$ uptake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etabolic Flux Analysis of Beijerinckia indica for PS-7 Production

  • Wu Jian-Rong;Son Jeong Hwa;Seo Hyo-Jin;Kim Ki-Hong;Nam Yoon-Kwon;Lee Jin-Woo;Kim Sung-Ko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1호
    • /
    • pp.91-98
    • /
    • 2005
  • In order to investigate central metabolic changes in Beijerinckia indica, cells were grown on different carbon sources and intracellular flux distributions were studied under varying concentrations of nitrogen. Metabolic fluxes were estimated by combining material balances with extracellular substrate uptake rate, biomass formation rate, and exopolysaccharide (EPS) accumulation rate. Thirty-one metabolic reactions and 30 intracellular metabolites were considered for the flux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of the carbon source was directed into the Entner-Doudoroff pathway, followed by the recycling of triose-3-phosphate back to Hexose­6-phosphate. The pentose phosphate pathway was operated at a minimal level to supply the precursors for biomass formation. The different metabolic behaviors under varying nitrogen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with flux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