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articular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8초

MIA로 퇴행성관절염을 유도한 랫드에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가 증상 예방 및 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adiation Mutant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in Preventing and Alleviating Symptoms in a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s Rat Model)

  • 심부용;주인환;김성규;지중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30-838
    • /
    • 2020
  • 본 연구는 MIA로 퇴행성관절염을 유도한 랫드에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가 골 대사 및 염증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를 2주 동안 25, 50, 100 mg/kg/day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고 랫드의 우측 관절 내 공간에 MIA를 주입하였다. 이후 동일한 용량을 4주 동안 지속 투여하였다. 혈청 바이오마커와 무릎 관절 분석의 형태학 및 조직병리학적 분석에 기초한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군 랫드와 비교하였을 때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는 혈청 내 염증 및 골 대사 마커(COX-2, LTB4, MMP-3, COMP)의 생성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와는 다르게 TIMP-1 및 calcitonin의 생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는 무릎 연골과 활막을 효과적으로 보존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는 퇴행성관절염 증상을 예방하고 완화였다. 따라서,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는 퇴행성관절염 관리를 위한 식·의약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상완골 소두 골절의 치료결과 (Treatment Results of Capitellum Fractures)

  • 박진수;정영기;유정한;노규철;정국진;정성욱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6-121
    • /
    • 2005
  • 목적: 상완골 소두 골절은 매우 희귀한 골절의 형태인데 관절면의 침범으로 인해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가 요한다. 이러한 상완골 소두 골절의 관혈적 정복 후 내고정 후의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4년 까지 상완골 소두 골절로 수술 시행받은 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Morrey의 분류법 상 제 1형이 3례, 제 3형이 1례였다. 전 례에서 주관절의 외측 도달법을 사용하였으며, 관혈적 정복후 유관 나사못 고정을 실시하였다. 수술후 주관절의 부목등의 고정은 4일에서 28일 까지 소요되었다. 최종 추시 판정 시 Mayor의 주관절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주관절 운동 범위, 주관절의 안정성, 동통 유무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기간은 12개월에서 36개월이었으며 평균 15개월(12개월-36개월) 이었다. 3례의 경우 견고한 골고정을 얻었으며 우수한 관절 운동범위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만성 소두골 골절 및 부정유합으로 내원하였던 1 례의 경우 추시 관찰동안 재활에 순응하지 않아서 40도-100도의 운동범위만을 보여주었다. 전 례에서 무혈성 괴사나 주관절 관절염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상완골 소두 골절은 희귀하지만 적극적으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시 우수한 결과를 보여 줄 수 있었다.

  • PDF

개에서 둔부 골관절염의 봉침 치료 (Bee-Venom Acupuncture Treatment of Hip Osteoarthritis in a Dog)

  • 김태화;김병영;김원배;김광식;유건주;김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0-193
    • /
    • 2006
  • 개에서 방사선 검사로 확진한 둔부 골관절염 증례에 대하여 hyaluronic acid의 관절강내 주사 및 caprofen의 경구투여를 2주간 치료를 하였으나, 임상증상이 개선되지 않았다. 봉독 수침요법(5일 간격, 7회)과 압통점 치료를 병용하였다. 수침에 사용된 혈위는 이환 된 우측 환지의 5개 혈위를 사용하였다: GB30(국소혈), ST35, GB33, BL40 및 LIV08(원위혈). 수침재료(0.2 ml/혈위, 전체 1 ml/회)는 apitoxin $100{\mu}g+2%$ 리도카인 (1:1)+생리식염수로 제조하였고, 5개 혈위에 각각 0.2 ml씩 수침하였다. 또한 우측 환지의 대퇴사두근의 압통점에 2% 리도카인(0.2ml/압통점)을 매회 치료 시 각각 수침하였다. 봉침 수침 요법은 임상증상을 급속하게 개선시켰는데, 파행 및 보행실조가 7회 치료(30일) 후 소실되었으며, 우측 후지의 근육 위축이 많이 호전되었고, 치료 종료 2주 후(44일)에 방사선 검사 상 환부는 거의 정상소견을 나타내었다. 본 환축은 봉독 수침 요법과 압통점 치료의 병용으로 양호한 치료반응을 나타난 개의 둔부 골관절염의 증례이었다.

활차구 성형술이 실패한 개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진단과 치료 (Arthroscopy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Failed Trochleoplasty in a Dog)

  • 황준호;허수영;김범석;이상훈;정성목;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1-254
    • /
    • 2015
  • 3살 중성화된 수컷 스피츠 (8.4 kg)가 후지 파행으로 본원에 의뢰되었다. 환자는 6주전 양측 내측 슬개골 탈구 교정술을 받았다. 육안상 양측 뒷다리의 간헐적인 파행을 보였으며 신체검사에서 슬관절의 굴신전시 염발음을 동반한 중등도의 통증을 보였다. 방사선 검사상 양측 슬관절에서 연골편의 원위부 이탈과 함께 관절부종이 관찰되었다. 신체검사와 방사선검사를 토대로 양측 슬관절 골연골편의 분리와 이탈이 의심되었다. 관절경을 통해 이탈한 골연골편(우측 $1.5cm{\times}0.9cm{\times}0.2cm$, 좌측 $1.3cm{\times}0.9cm{\times}0.1cm$)을 확인하고 제거하였다. 골연골편을 제거한 후, 슬개골의 비정상적 움직임을 예방하기 위해 관절경을 통해 burr를 이용하여 층진 활차구를 성형해주었다. 환자는 수술 2주후 정상적인 보행을 하였으며 합병증을 보이지 않았다. 관절경은 개의 관절질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다. 이를 통해 관절내 구조물을 확대해서 관찰 할 수 있고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 게다가 관절경을 통한 수술은 일반적인 술부에서 나타날 수 있는 술 후 합병증을 줄여 줄 수 있다.

흰 쥐의 측두하악관절 통증모델에서 Triptolide와 N-nitro-L-arginine Methyl Ester의 통증조절효과 (Analgesic Effects of Triptolide and N-nitro-L-arginine Methyl Ester in Rat's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Model)

  • 김윤경;이민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00-806
    • /
    • 2015
  • 이 연구는 triptolide와 L-NAME의 측두하악관절 통증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포르말린으로 유도된 측두하악관절 통증모델에서 triptolide와 L-NAME의 소뇌연수조 내 각각의 얄물의 단독 투여에 따른 통증행위반응과 두 약물의 병용 투여에 따른 상호작용이 통증행위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관절강 내로 주입한 5% 포르말린($30{\mu}l$)은 유의한 통증행위반응을 유발하였고, 2차 통증행위반응 관찰 시 포르말린 주입 전 $1{\mu}g/10{\mu}l$ triptolide 투여군($163.33{\pm}29.11$회)은 포르말린군($308{\pm}33.04$회)과 비교 시 통증행위반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0.1{\mu}g/10{\mu}l$의 L-NAME 투여군의 1, 2차 통증행위반응의 결과, 각각 $5.80{\pm}3.75$회, $92.30{\pm}16.04$회로 포르말린 주입군 $25.4{\pm}6.59$회, $285.60{\pm}29.93$회와 비교 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다음으로, $1{\mu}g/10{\mu}l$의 triptolide와 $0.01{\mu}g/10{\mu}l$의 L-NAME 병용 투여군에서 1, 2차 통증행위반응이 $0.80{\pm}0.80$회, $96.50{\pm}26.16$회로 나타나 $22.50{\pm}19.15$회, $163.33{\pm}29.11$회로 나타난 $1{\mu}g/10{\mu}l$ trtiptolide군과 비교 시 유의하게 통증행위반응이 경감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측두하악관절 통증조절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활용가능한 천연물로 triptolide가 제시될 수 있으며, 천연물과 화합물들의 병용 투여를 통해 그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골의 관절 함몰 골절에서 6.5 mm 해면골 나사와 Steinmann 핀을 이용한 치료의 유용성 (Usefulness of Treatment with 6.5 mm Cancellous Screw and Steinmann Pin Fixation for Calcaneal Joint Depression Fracture)

  • 이기수;강찬;황득수;노창균;이기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7
    • /
    • 2015
  • Purpose: To report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results of 6.5 mm cancellous full threaded buttress screw or Steinmann pin fixation to maintain a reduction of calcaneal posterior facet depression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09 to June 2012, 50 consecutive cases with calcaneal joint depression fracture that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screw or pin fixatio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 6.5 mm cancellous full threaded screw was inserted from the posteroinferior aspect of the calcaneal tuberosity to the posterior facet (group A) or Steinman pin was inserted from the posterosuperior aspect of the calcaneal tuberosity to the calcaneocuboidal joint (group B). Bot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Bohler and Gissane angles were measured radiographically, and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ale on the final follow-up were assessed.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44.1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7.2 months. According to the Sanders classification, 28 cases were type II and 22 cases were type III. In Sanders type II, Bohler and Gissane angle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10.1^{\circ}$ and $126.2^{\circ}$ preoperatively to $27.2^{\circ}$ and $117.1^{\circ}$, respectively, i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 and at the final follow-up, $26.6^{\circ}$ and $118.6^{\circ}$, respectively. In Sanders type III, Bohler and Gissane angle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5.0^{\circ}$ and $129.8^{\circ}$ to $29.9^{\circ}$ and $119.3^{\circ}$, respectively, i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 and $26.9^{\circ}$ and $120.2^{\circ}$ at the final follow-up. All cases achieved bony union, and the average period until complete union was 13.3 weeks. AOFAS ankle-hindfoot scale was 82.6 in Sanders type II and 77.3 in Sanders type III at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A 6.5 mm cancellous full threaded buttress screw or Steinman pin fixation is a noninvasive treatment method with a merit of being able to maintain the bearing capacity of the posterior facet comparable to plate fixation.

Seri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to Determine the Progression of Neglected Recalcitrant Rotator Cuff Tears: A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 Yoo, Yon-Sik;Park, Jin-Young;Choi, Chang-Hyuk;Cho, Nam-Su;Cho, Chul-Hyun;Lim, Tae-Gang;Sim, Sang-Don;Rhie, Tae-Yon;Lee, Ho Won;Jung, Jong Ho;Lee, Yong-Beom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0권3호
    • /
    • pp.133-137
    • /
    • 2017
  • Background: To determine the natural progression of conservatively treated rotator cuff tears, we evaluated changes in radiologic and clinical parameters in patients whose recalcitrant tears were neglected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Methods: A total of 73 patients with recalcitrant rotator cuff tears in spite of conservative treatmen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measured changes in tear size and in the extent of fatty infiltration of the rotator cuff by comparing the initial and final follow-up magnetic resonance imagings (MRIs).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in tear size, we collected the medical history of patients taken at the time of initial admission. 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0.1 months, and the average increase in tear size across this period was 6.2 mm. In terms of steroid injection, we found that the increases in tear size of the steroid injection group (p=0.049) and of the sub-group that had received more than three steroid injections (p=0.010)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e non-steroid injection group.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increase in cuff tear size was on average 6.2 mm across the follow-up period, indicating that neglecting cuff tears may cause them to progress into more severe tears. We also observed that a history of steroid injection might be a possible risk factor for a worse prognosis of cuff tears. Therefore, we suggest that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s and a history of steroid injection are recommended aggressive modes of treatment such as surgery.

흰쥐의 MIA 유발 무릎 뼈관절염에 대한 840 nm LED의 효과 (Effect of 840 nm Light-Emitting Diode(LED) Irradiation on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s in Rats)

  • 제갈승주;권필승;김진경;이재형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1-15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light-emitting diodes (LED) irradiation could be effective in a noninvasive, therapeutic device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OA). METHODS: Twenty-four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Vehicle control (saline); monosodium iodoacetate-injection (MIA); LED irradiation after MIA injection (MIA-LED); indomethacin-treatment after MIA injection (MIA-IMT). OA was induced by intra-articular injection of 3 mg MIA through the patellar ligament of the right knee. Vehicle control rats were injected with an equivalent volume of saline. The LED was irradiated for 15 min/day for a week after 7 days of MIA treatment. To compare with the effect of LED irradiation, the indomethacin was administrated 20 mg/kg twice a week orally after 7 days of MIA treatment. Knee joints were removed and fixed overnight in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and decalcified by EDTA for 2 week before being embedded in paraffin. The assessment of OA induction were monitored by knee movement and radiographic finding. Histologic analysis were performed following staining with hematoxylin and eosin, safranin O-fast green, or toluidine blue, picrosirius red, and histologic changes were scored according to a modified Mankin system. Apoptotic cell in tissue sections was detected using TUNEL method. RESULTS: Radiographic examination could not show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IA-treated and the MIA-LED-treated rats. In the histologic analysis, however, LED irradiation prevented cartilage damage and subchondral bone destruction, and significantly reduced mononucle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pannus formation. LED irradiation also reduced apoptosis of cartilage cells, but it prevented apoptosis of infiltrated inflammatory cells in synovium. In addition, LED irradiation showed an increase of collagen production in the meniscu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840 nm LED irradiation would be a suitable non-thermal phot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OA, as a cartilage protection and anti-inflammatory modality.

요추 및 천추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중재 시술 (Ultrasound-Guided Injections in the Lumbar and Sacral Spine)

  • 고광표;송재황;김환정;김상범;민영기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5-195
    • /
    • 2018
  • 연구 계획: 문헌 조사 목적: 초음파를 이용한 중재 시술은 임상적으로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하요추부 통증이 보존적 치료에 실패한 경우 수술적 치료 이전에 흔하게 시행하게 되는 치료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요추 및 천추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중재 시술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함에 있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초음파를 이용한 중재 요법은 근육, 인대, 건, 혈관, 신경 등의 연부조직을 직접 관찰할 수 있으며, 환자나 시술자에게 방사선 노출이 없고, 컴퓨터 단층 촬영이나 C형 투시검사 장비처럼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차 그 사용이 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요추부의 정상, 비정상 초음파 소견과 요추 및 천추부에서 시행할 수 있는 초음파 유도하 중재 요법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기술을 하였다. 결과: 요천추부의 정확한 초음파 중재 시술을 위해서는 검사 시 환자의 자세 및 해부학과 정상, 비정상 초음파 소견 등에 대한 숙지가 필요하다. 초음파를 이용하면 후방 관절 내 주사 및 내측 분지 차단술, 경막외 차단술,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천장관절 주사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결론: 요추 및 천추부에서 초음파 유도하 중재 요법은 요천추부 통증의 치료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술기이다.

부자탕 추출물이 골관절염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ja-tang Extract on Osteoarthritic Animal Model)

  • 박중현;양두화;우창훈;안희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32
    • /
    • 2021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therapeutic effects and possible underlying mechanism of Buja-tang, a herbal complex formula on experimental monosodium iodoacetate (MIA)-induced osteoarthritis. Methods Osteoarthritis models were created via intra-joint injection of MIA (50 μL with 80 mg/mL) in rats.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each group consisted of seven. Normal group was not injected MIA and did a normal diet. Control group injected MIA and received distilled water. Indo injected MIA and oral administration of 5 mg/kg of indomethacin. BJTL injected MIA and oral administration of 100 mg/kg of Buja-tang. BJTH injected MIA and oral administration of 200 mg/kg of Buja-tang. We analyzed weight-bearing ability of hind paws, oxidative stress related factor, antioxidant protein, inflammatory protein, inflammatory messenger and cytokine in joint tissue. Pathological observation of knee cartilage tissue structures was also performed with hematoxylin & eosin and safranin-O chromosomes. Results Weight-bearing ability of hind paws showed a tendency to reduce pain. The incidence of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oxidase and p22phox in articular tissue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incidence of nuclear factor-erythroid 2-related factor 2 and heme oxygenase-1 and superoxide dismutas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cidence of phosphorylated inhibitor of κBα, nuclear factor-kappa B p65,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terleukin (IL)-6, and IL-1β decreased significantly. In pathological observation, cartilage tissue damaged by MIAs in biopsy has significantly recovered from Buja-tang administration. Conclusions Buja-tang has anti-inflammation, antioxidation and pain relief effects. So this is thought to inhibit the progress of osteoarthritis in rat caused by the 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