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atment Results of Capitellum Fractures

상완골 소두 골절의 치료결과

  • 박진수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
  • 정영기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
  • 유정한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
  • 노규철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
  • 정국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
  • 정성욱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05.10.31

Abstract

Purpose: Isolated capitellar fractures are rare, intra-articular fractures requiring an aggressive management regimen. Review the outcome afte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e capitellar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98 to 2004, 4 patients with displaced fractures of the humeral capitellum were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e capitellar fragments with cannulated screws. By use of the criteria of Bryan and Morrey et al, there were 3 type I fractures, 1 type III fracture. A lateral approach was used. The elbows were immobilized postoperatively for 4 to 28 days We evaluated the range of motion, stability, and pain using the criteria of Mayo score. Results: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12 to 36 months (mean, 15months). Three patients had a stable, pain-free elbow with good range of motion at follow-up. One patient with a neglected capitellar fracture have felxtion cpontracture of 40 degrees with 100 degrees of further felxion(total arc: 60) due to poor compliance to the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All fractures healed,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avascular necrosis or degenerative change. Conclusion: Capitellar fractures, rare in case, gave a good result after open reduction and simple internal fixation with cannulated screws without any problem.

목적: 상완골 소두 골절은 매우 희귀한 골절의 형태인데 관절면의 침범으로 인해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가 요한다. 이러한 상완골 소두 골절의 관혈적 정복 후 내고정 후의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4년 까지 상완골 소두 골절로 수술 시행받은 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Morrey의 분류법 상 제 1형이 3례, 제 3형이 1례였다. 전 례에서 주관절의 외측 도달법을 사용하였으며, 관혈적 정복후 유관 나사못 고정을 실시하였다. 수술후 주관절의 부목등의 고정은 4일에서 28일 까지 소요되었다. 최종 추시 판정 시 Mayor의 주관절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주관절 운동 범위, 주관절의 안정성, 동통 유무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기간은 12개월에서 36개월이었으며 평균 15개월(12개월-36개월) 이었다. 3례의 경우 견고한 골고정을 얻었으며 우수한 관절 운동범위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만성 소두골 골절 및 부정유합으로 내원하였던 1 례의 경우 추시 관찰동안 재활에 순응하지 않아서 40도-100도의 운동범위만을 보여주었다. 전 례에서 무혈성 괴사나 주관절 관절염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상완골 소두 골절은 희귀하지만 적극적으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시 우수한 결과를 보여 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