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val volume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3초

Assessing Abdominal Aortic Aneurysm Progression by Using Perivascular Adipose Tissue Attenuation on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 Shuai Zhang;Hui Gu;Na Chang;Sha Li;Tianqi Xu;Menghan Liu;Ximing W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0호
    • /
    • pp.974-982
    • /
    • 2023
  • Objective: Recent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active and potential role of perivascular adipose tissue (PVAT) in atherosclerosis and aneurysm progression, respectively. This study explored the link between PVAT attenuation and abdominal aortic aneurysm (AAA) progression using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TA). Materials and Methods: This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analyzed patients with AAA who underwent CTA at baseline and follow-up between March 2015 and July 2022.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obtained: maximum diameter and total volume of the AAA, presence or absence of intraluminal thrombus (ILT), maximum diameter and volume of the ILT, and PVAT attenuation of the aortic aneurysm at baseline CTA. PVAT attenuation was divided into high (> -73.4 Hounsfield units [HU]) and low (≤ -73.4 HU). Patients who had or did not have AAA progression during the follow-up, defined as an increase in the aneurysm volume > 10 mL from baseline, were identified. Kaplan-Meier and multivariable Cox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VAT attenuation and AAA progression. Results: Our study included 167 participants (148 males; median age: 70.0 years; interquartile range: 63.0-76.0 years), of which 145 (86.8%) were diagnosed with AAA accompanied by ILT. Over a median period of 11.3 months (range: 6.0-85.0 months), AAA progression was observed in 67 patients (40.1%). Multivariable Cox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high baseline PVAT attenuation (adjusted hazard ratio [aHR] = 2.23; 95% confidence interval [CI], 1.16-4.32; P = 0.017)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AA progression. This association was demonstrated within the patients of AAA with ILT subcohort, where a high baseline PVAT attenuation (aHR = 2.23; 95% CI, 1.08-4.60; P = 0.030) was consistently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AA progression. Conclusion: Elevated PVAT attenuation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AA progression, including patients of AAA with ILT, suggesting the potential of PVAT attenuation as a predictive imaging marker for AAA expansion.

Automated Measurement of Native T1 and Extracellular Volume Fraction in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Deep Learning Algorithm

  • Suyon Chang;Kyunghwa Han;Suji Lee;Young Joong Yang;Pan Ki Kim;Byoung Wook Choi;Young Joo Suh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12호
    • /
    • pp.1251-1259
    • /
    • 2022
  • Objective: T1 mapping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cardiomyopathies. Manual drawing is time consuming and prone to subjective erro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test a DL algorithm for the automated measurement of native T1 and extracellular volume (ECV) fractions in cardiac magnetic resonance (CMR) imaging with a temporally separated dataset. Materials and Methods: CMR images obtained for 95 participant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54.5 ± 15.2 years), including 36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12 hypertrophic cardiomyopathy, 12 Fabry disease, and 12 amyloidosis), 32 dilated cardiomyopathy, and 27 healthy volunteers, were included. A commercial deep learning (DL) algorithm based on 2D U-net (Myomics-T1 software, version 1.0.0) was used for the automated analysis of T1 maps. Four radiologists, as study readers, performed manual analysis. The reference standard was the consensus result of the manual analysis by two additional expert readers. The segmentation performance of the DL algorithm and the correlation and agreement between the automated measurement and the reference standard were assessed. Interobserver agreement among the four radiologists was analyzed. Results: DL successfully segmented the myocardium in 99.3% of slices in the native T1 map and 89.8% of slices in the post-T1 map with Dice similarity coefficients of 0.86 ± 0.05 and 0.74 ± 0.17, respectively. Native T1 and ECV showed strong correlation and agreement between DL and the reference: for T1, r = 0.967 (95% confidence interval [CI], 0.951-0.978) and bias of 9.5 msec (95% limits of agreement [LOA], -23.6-42.6 msec); for ECV, r = 0.987 (95% CI, 0.980-0.991) and bias of 0.7% (95% LOA, -2.8%-4.2%) on per-subject basis. Agreements between DL and each of the four radiologists were excellen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of 0.98-0.99 for both native T1 and ECV), comparable to the pairwise agreement between the radiologists (ICC of 0.97-1.00 and 0.99-1.00 for native T1 and ECV, respectively). Conclusion: The DL algorithm allowed automated T1 and ECV measurements comparable to those of radiologists.

게이트 Tc-99m-MIBI SPECT와 Cedars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심근 기능 측정의 재현성 (Reproducibility of the Assessment of Myocardial Function Using Gated Tc-99m-MIBI SPECT and Quantitative Software)

  • 이동수;천기정;안지영;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03-413
    • /
    • 1998
  • 목적: 좌심실의 부피와 구혈률을 Cedars 소프트웨어로 구하였을 때 정량한 값과 심근벽운동과 심근의 수축기 두꺼워짐을 등급으로 평가한 방법의 재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3명의 무작위 추출된 환자를 상대로 통상의 이중동위원소 휴식/부하 심근관류 SPECT 때 부하 Tc-99m-MIBI 게이트 SPECT를 촬영한 후 이어서 같은 자리에서 게이트 SPECT를 한번 더 촬영하였다. 재구성한 후 Cedars 소프트웨어로 확장기말 부피와 수축기말 부피, 구혈률을 측정하여 연속 측정의 재현성을 평균변이계수와 Bland Altman 도표를 그려 분석하였다. 벽운동을 5등급으로 점수를 매겨 연속촬영한 영상의 판독 재현성을 조사하였다. 심근벽의 수축기 두꺼워짐을 역시 4등급으로 점수를 매겨 판독 재현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확장기말 부피와 수축기말부피는 평균변이계수가 5.0 ml, 3.9 ml이고 구혈률의 평균변이계수는 1.9%이었다. 2표준편차 범위는 확장기말 부피는 18 ml, 수축기말부피는 17 ml이었다. 심근벽운동과 심근의 수축기 두꺼워짐은 kappa 값이 0.7로 판독재현성이 우수하였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로 같은 환자를 같은 위치에서 두 번 연이어 게이트 심근 Tc-99m-MIBI SPECT를 촬영할 때, 우리가 산출한 변이가 우수하고 약물효과를 판정할 때 기준으로 삼을 오차범위를 어느 정도로 정해야 하는지 확립하였다.

  • PDF

한국형 산림토양탄소모델(KFSC)을 이용한 수확 주기 및 강도와 수확 후 잔재물 처리방법에 따른 소나무림 토양탄소 저장량의 장기 변화 추정 연구 (Estimation of Long-term Effects of Harvest Interval and Intensity, and Post-harvest Residue Management on the Soil Carbon Stock of Pinus densiflora Stands using KFSC Model)

  • 박찬우;이궁;이종열;이경학;이명종;김춘식;박관수;김래현;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82-89
    • /
    • 2013
  • 벌채 수확은 토양 내 탄소 동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교란 중 하나이다. 그러나 수확에 따른 토양탄소 변화를 현지에서 장기간 연구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제한 요건이 있기 때문에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장기적인 토양탄소 변화 경향을 효율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한국형 산림토양탄소 모델(KFSC 모델)을 이용하여 국내 중부지방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 임분을 대상으로 수확의 주기, 강도, 수확 후 잔재물 처리방법에 따른 산림토양탄소 동태의 장기 변화를 모의하였다. 모의 시나리오는 3개의 수확 주기(50년, 80년, 100년), 2개의 수확 강도(재적 대비 30%의 부분수확 및 100%의 개벌수확), 2개의 수확 후 잔재물 처리방법(지상부 잔재물의 전량 수거 및 전량 방치) 등을 조합하여 총 12개로 이루어졌으며, 연간 토양탄소 저장량의 변화를 400년 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400년 후 30 cm 깊이까지의 토양탄소 저장량은 시나리오별로 50.3-55.8 Mg C $ha^{-1}$(현재 토양탄소 저장량 대비: 98.1-108.9%)의 범위를 나타냈다. 수확 후 잔재물을 전량 방치할 경우 잔재물을 전량 수거할 때보다 토양탄소 저장량이 2.5-11.0%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나, 수확 주기 및 강도에 따른 토양탄소 저장량 변화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탄소 저장량의 변화 경향은 고사유기물의 변화 경향과 일치하였으며, 고사유기물의 변화 경향은 수확 시 발생하는 고사유기물의 양과 수확 후 임분 생장 형태에 의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흡연 성인에서 맥압과 폐기능 장애의 상관성 (Association between Pulse Pressure and Impaired Pulmonary Function in Non-Smoking Adults)

  • 윤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9-127
    • /
    • 2020
  • 선행 연구에서 동맥경화와 폐기능이상과 연관성이 있었다. 맥압은 동맥경화의중요한 예측이지만 아직까지 폐기능이상과 맥압의 연관성은 불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한민국 비흡연 성인을 대상으로 맥압과 폐기능장애(예측 강제 폐활량, 예측 강제 날숨량 1초율)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의 대한민국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에서 비흡연 성인(6,85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맥압과 폐기능장애에 대한 관련 변수를 보정한 후의 결과에서, 정상 맥압(pulse pressure, PP≤60 mmHg)에 비하여 고맥압(PP>60 mmHg; 1.33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49~1.703)에서 제한성 폐질환(restrictive pulmonary disease, RPD; the predicted FVC<80.0% with FEV1/FVC≥70.0%)의 교차비(odds ratio, OR)가 유의하게 높았다. 추가적으로, 정상맥압에 비하여 고맥압(1.339 [95% CI, 1.093~1.642])에서 폐쇄성 폐질환(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OPD; FEV1/FVC<70.0%)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 비흡연 성인에서 제한성 폐질환 및 폐쇄성 폐질환은 고맥압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초산모에서 경막외 $L_{1-2}$$L_{3-4}$ 차단 시 제통효과와 분만기간의 비교 (Comparison of Analgesic Efficacy and Shortening of Labor Duration between $L_{1-2}$ and $L_{3-4}$ Epidural Blocks in Nulliparous Normal Vaginal Delivery)

  • 강규식;이상윤;김정순;남계현;박욱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4권1호
    • /
    • pp.61-67
    • /
    • 2001
  • Background: Usually, lumbar epidural block is performed on the $L_{3-4}$ interspa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algesic efficacy and shortening of labor duration comparing the $L_{1-2}$ and $L_{3-4}$ interspace epidural blocks in nulliparous normal vaginal deliveries and then investigates side effects following the blocks. Methods: Eighty healthy nulliparous wom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L_{1-2}$ (n = 40) and $L_{3-4}$ (n = 40). Epidural blocks, lumbar epidural block were performed at the $L_{1-2}$ and $L_{3-4}$ interspace with a catheter advancing 3 cm cephalad. The initial dose of 12 ml (0.167% bupivacaine, fentanyl $50{\mu}g$ and clonidine $75{\mu}g$) was injected epidurally at 4 cm dilatation of cervix and severe pain of labor. If a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was more than 4 points, an additional dose was administered epidurally using the same volume as the above mentioned, but with the exception that the bupivacaine was diluted to 0.1 percentage. The maternal blood pressure, pulse rate, respiration rate and fetal heart rate were measured at 10 min intervals for the first 30 min, at 15 min interval for the next 30 min and at 30 min interval for the last one hour following the blocks. The duration of the first (active) and second stages of labor was counted and the neonatal Apgar score was recorded at one and five min after delivery. The degree of motor block, pruritus, nausea and vomiting were also noted. Results: The patients in group $L_{1-2}$ had lower pain scores than group $L_{3-4}$ at 5, 20, 30, 60 mins. The duration of 1st and 2nd labor stage in the $L_{3-4}$ epidural block were $272{\pm}33.5$ min, $49.2{\pm}27.4$ min respectively but those in the $L_{1-2}$ epidural block were $253.5{\pm}32.5$ min, $37.3{\pm}22.3$ min, respectively. Conclusions: We concluded the analgesic efficacy and shortening of labor duration in $L_{1-2}$ epidural block was better than those in $L_{3-4}$ epidural block. Maternal hemodynamic change, motor block. pruritus, nausea, vomiting and Apgar sco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 PDF

차량과 보행자 동시신호최적화모형 개발 연구 (A Signal Optimization Model Integrating Traffic Movements and Pedestrian Crossings)

  • 신언교;김주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31-137
    • /
    • 2004
  • 기존 신호최적화모형에서 횡단시간은 직진신호시간에 대한 최소녹색신호시간으로 분석가에 의해 외부에서 주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실제로 차량이동류들에 대한 신호시간이 교통량/포화교통량 비에 의해 적절하게 배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횡단시간을 차량이동류와 동등한 이동류로 간주하여 이들을 동시에 최적화하는 신호최적화모형을 혼합정수선형계획법(BMILP)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차량 및 보행자 이동류들이 교차로를 상충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선형제약조건들과 목적함수들을 구축하였다. 제시된 모형은 적색시간에 발생되는 주 대기차량과 대기차량이 소거되는 동안에 대기차량 후미에서 발생되는 부 대기차량으로 구분하여 이들 에게 발생되는 지체시간의 상대적인 크기를 반영해주는 대기차량을 모형화하고 이를 최소화해 주는 차량 및 보행자를 위한 신호시간을 산정해주게 된다. 횡단시간과 접근로에서의 횡단보도 수 에 따라 구분된 시나리오들에 대한 모형 적용 결과 기존 TRANSYT-7F 보다 신호주기에 대한 비율이 작으면서도 큰 횡단시간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 TRANSYT-7F 적용시보다 지체시간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횡단시간이 클수록 그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과 위험인자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심윤수;이진화;류연주;천은미;장중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3호
    • /
    • pp.186-191
    • /
    • 2009
  • 연구배경: 골다공증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중요한 동반질환 중 하나이다. 저자들은 COPD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과 위험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안정 상태인 COPD 환자 51명과 이들과 나이와 성별을 일치시킨 대조군 41명에서 요추골과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임상기록과 검사결과를 검토하여, COPD 환자에서 골다공의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 과: COPD 환자에서, T점수가 -2.5 이하인,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47%였고, 대조군에서 32%였다. 특히 대퇴골목의 T점수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COPD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26% vs. 5%; p=0.006). COPD 환자의 요추와(p=0.025) 대퇴골목의 평균 T 점수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1). COPD 환자에서 $FEV_1$의 정상예측치에 대한 비율과(p=0.019; odds ratio [OR], 0.955; 95% confidence interval [CI], 0.919-0.993) 연령이 골다공증 발생과 관련된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p=0.024; OR, 1.144; 95% CI, 1.018-1.287). 결 론: COPD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대조군보다 높다. 특히 대퇴골의 T점수가 요추보다 COPD 환자와 대조군의 골밀도의 차이를 더 분명하게 보여 주었다. COPD 환자에서 $FEV_1$이 낮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골다공증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R-404A를 사용하는 소프트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냉매 충전량 및 팽창 밸브 개도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Refrigerant Charge and the Expansion Valve Opening for the Soft Ice Cream Machine Using R-404A)

  • 김내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728-734
    • /
    • 2016
  • 최근 들어 국민 식생활 문화가 개선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소프트 아이스크림, 슬러시와 같은 일회용 냉동 유제품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 냉동 유제품은 소형 냉동 시스템에서 만들어진다. 소프트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냉매로 그간 R-502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오존층 파괴와 관련하여 R-404A로 대체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냉각기 체적 2.8 리터인 R-404A를 사용하는 소프트 아이스크림 제조기에 대하여 최적화와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최적화는 적정 냉매량 및 팽창 밸브의 개도를 찾는데 주안점을 맞춰 수행되었다. 최적 조건에서 아이스크림 제조 시간은 10분 5초, COP는 0.57로 나타났다. 이 제품에 대하여 무 간격 연속 판매 시험, 30초 간격 연속 판매 시험, 극한 시험을 수행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무 간격 연속 판매는 20개까지 가능하였고 30초 간격 연속 판매는 무한대로 가능하였다. 또한 여름철 및 겨울철 환경에도 아이스크림 판매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냉동식품 제조기를 비롯한 여타 냉동 사이클의 최적화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fusion Methods for Continuous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 Byeon, Gyeong Jo;Shin, Sang Wook;Yoon, Ji Uk;Kim, Eun Jung;Baek, Seung Hoon;Ri, Hyun Su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8권3호
    • /
    • pp.210-216
    • /
    • 2015
  • Background: Infusion methods during regional analgesia using perineural catheters may influence the quality of postoperative analges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combined or bolus-only infusion of 0.2% ropivacaine on the postoperative analgesia in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ISBPB) with perineural catheterization. Methods: Patients scheduled fo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that would receive a combined infusion (group C, n = 32), and one that would receive intermittent infusion (group I, n = 32). A perineural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ISBP) using ultrasound (US) and nerve stimulation, and 10 ml of 0.2% ropivacaine was administered. After the operation, group C received a continuous infusion of 4 ml/h, and a 4 ml bolus with a lockout interval of 60 min. Group I received only a 4 ml bolus, and the lockout interval was 30 min. Postoperative pain by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the forearm muscle tone by the manual muscle test (MMT) were checked and evaluated at the following timepoint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1, 4, 12, 24, 36, and 48 h. Supplemental opioid requirements, total consumed dose of local anesthetic, and adverse effec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Sixty-four patients completed the study and the postoperative values such as operation time, time to discharge, and operation site were comparab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NRS scores and supplemental opioid requirements between the two groups. The MMT scores of group I at 4 and 12 h after surger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C (P < 0.05). The total consumed dose of local anesthetic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 than in group C (P < 0.05). The adverse effec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The bolus-only administration of 0.2% ropivacaine provided a similar analgesic effect with a lower total volume of local anesthetic and decreased motor weakness compared to combined infusion. Therefore, bolus-only administration is an effective postoperative analgesic method in ISBPB with perineural catheterization after rotator cuff rep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