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specific hybrids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3초

참나무속의 인공 및 자연 종간잡종 가계의 종자결실 및 활력과 화분의 임성 (Seed Setting and Viability and Fertility of Pollens in Families of Artificial and Natural Interspecific Hybrids in Lepidobalanus of Genus Quercus)

  • 이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290-294
    • /
    • 2007
  • 참나무속(Q. serrata, Q. dentata, Q. mongolica var. crispula, Q. aliena)의 인공교배에 의 한 종간잡종의 묘목을 조취(鳥取)대학농학부 구내의 묘포장에 식재하였다. 또한 조취(鳥取)대학 산산(蒜山)연습림에서 자연교잡종(Q. fabri와 $Q.{\times}mccormickii$) 가계의 묘목을 선발하여 조취(鳥取)대학 산산(蒜山)연습림에 식재하였다. 인공종간잡종 $F_1$은 4년생, 자연교잡종 $F_1$은 3년생 때에 개화하였다. 2001년도에 이 중에서 개화한 개체로부터 화분과 종자를 채취하여 화분의 크기와 임성, 종자의 활력을 조사하였다. 인공종간잡종 화분의 발아율은 1개체를 제외하고 84% 이상이었고, 화분관의 신장도 양호하였다. 인공종간잡종의 건전한 종자의 발아율은 90% 이상으로 양친과 비슷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자연잡종 가계의 종자도 건전한 종자의 발아율은 각 가계의 평균이 64% 이상이었고, Q. fabri, $Q.{\times}mccormickii$의 자식종자도 높은 번식 능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AG-1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각시붕어 Rhodeus uyekii와 떡납줄갱이 R. notatus 잡종의 동정 (Genetic Identification of Hybrids between Rhodeus uyekii and R. notatus by Sequence Analysis of RAG-1 Gene)

  • 윤영은;이일로;박상용;강언종;김응오;양상근;남윤권;방인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9-82
    • /
    • 2009
  • 한국 고유종인 각시붕어 R. uyekii와 떡납줄갱이 R. notatus로부터 유도된 정교배 및 상반교배 잡종어류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하여 핵에서 encoding되는 RAG-1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863 bp의 염기서열 중 각시붕어와 떡납줄갱이 사이에는 총 13개의 위치에서 염기서열 변이가 탐색되었다. 잡종어류의 RAG-1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모계와 부계의 염기서열 차이를 보인 13개의 변이 부분에서 부모의 염기서열을 다같이 반영하는 double peaks 패턴을 보였으나 정교매체(UN 유전형)와 상반교배체(NU 유전형) 간의 염기서열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호박 종간잡종에서 생장점 결여현상의 유전 (Inheritance of Shoot-Lacking Phenomenon in Interspecific Hybrids of Squash)

  • 홍규현;허윤찬;우영회;이관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2권1호
    • /
    • pp.47-52
    • /
    • 2010
  • 페포종 호박과 동양종 호박의 종간잡종 후대에서 자엽만 자라고 본엽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생장점 결여현상이 발견되었으며, 이 특성은 유전분석 결과 두 쌍의 열성 동형접합인자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Cytogenetic Studies in Hybrids from a Pair of Sibling Drosophila Species

  • Park, Yung-Hyun;Kim, Heui-Soo;Lee, Won-H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48-50
    • /
    • 2000
  • The cytogenetic pattern of autosome and sex chromiosome after Giemas staining were examined in the hybrids between two sibling species, Drosophila melanogaster and D. simulans. The analysis of karyotype in the hybrid female between D. melanogaster females and D. simulans males could be easily distinguished the characteriation of eight chromosomes from bothe species, especially with regard to X chromosomes. The lagging duplication of Y chromosome was investigated in the interspecific hybrid males from the cross between female of Drosophila melanogaster(OR) and males of D. simulasn (K18). On the other hand, the X chromatids of D. simulans were loosely separated in the early stage of anaphase.

배주배양에 의한 Nicotiana trigonophylla와 N. tabacum의 종간잡종 육성 (Interspecific Hybrid of Nicotiana trigonophyllo X N. tabacum through in vitro Culture of Fertilized Ovules)

  • 최상주;이승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2-58
    • /
    • 1991
  • Interspecific cross between Nicotiana trigonophylla and N. tabacum cv. BY4 is highly sterile because of abnormal ovule and embryo development. In vitro culture of excised N. trigonophylla ovules after polination by N. tabacum allows significant numbers of hybrid embryos to develop into mature plants. Total yield of seedlings and number of normal seedlings were produced following in vitro culture of individual fertilized ovules of N. trigonophylla X N. tabacum at four days post-pollination on B5 medium containing 6% sucrose. Hybrids were uniform in morphology and peroxidase isozyme composition and the majority were cytologically stable: flower characteristics were generally intermediate between those of the parents. All hybrids evaluated were self-sterile.

  • PDF

효소의 전기영동에 의한 trichoderma속 균의 종내, 종간 잡종의 동정 (Identification of hybride from intra- and interspecific protoplast fusion in trichoderma by electrophoretic patterns of enzymes)

  • 민경렴;박희문;하영칠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7-34
    • /
    • 1989
  •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enzyme electrophore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intra/interspecific hybride obtained by the protoplast fusion in Trichoderma, soluble proteins, intracellular soluble enzymes and extracellular $\beta$-glucosidase were analyzed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sis. As the results, patterns of soluble protein, and isozyme patterns of peroxidase, malate dehydrogenase, and $\beta$-glucosidase in hydrids were defferent from those in parental and wild type strains. Therefore, it was established that the analysis of protein pattern by electrophoresis could be applied to isolate and identify the hybrids from the protoplast fusion.

  • PDF

연초(Nicotiana tabacum L.) 새포질 웅성불임 $F_1$과 Nicotiana africana의 종간 교배에 의한 반수체 식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Haploid Plants Derived from Interspecific Cross between Cytoplasmic Male-sterile Tobacco $F_1$(Nicotiana tabacum) and Nicotiana africana)

  • 정윤화;금완수;조명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49-654
    • /
    • 1995
  • 연초(N. tabacum L.)의 세포질 웅성불임 F$_1$ 식물체와 N. africana의 종간교배에 의한 웅성불임 반수체식물의 육성 및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MS NC82$\times$burley 21) F$_1$과 N. africana의 종간교배에 의한 세포질 웅성불임 반수체 식물의 출현빈도는 삭당 0.5주로 나타났다. 2. 종간교배으로 얻은 웅성불임 반수체식물 중 잎과 줄기의 색이 green(황색종)과 yellow(버어리종)의 분리비는 3 : 1로 나타났다. 3. 반수체 식물 중 잎과 줄기의 색이 yellow(버어리종 type)인 개체에 TMV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저항성과 이병성의 비는 1 : 1로 나타났다. 4. (CMS MC82 Burley 21)F$_1$과 N. africana의 종간교배으로 세포질 웅성불임 isogenic Burley 21 반수체 식물의 육성이 가능하였고 이 반수체 식물의 염색체를 배가함으로써 여교배육종법에 비하여 조기에 세포질 웅성불임 Burley 21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와 흰줄납줄개 R. ocellatus의 자연 종간잡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ural Interspecific Hybrid between Rhodeus notatus and R. ocellatus)

  • 윤봉한;성무성;김용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7-166
    • /
    • 2021
  •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와 흰줄납줄개 R. ocellatus 간의 자연 잡종으로 추정되는 3개체를 충청남도 아산시 좌부동 곡교천의 지류인 온양천 일대에서 채집하였으며, 이들의 부모종을 명확히 판별하기 위하여 형태학적 및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자연 잡종 3개체의 체색은 등 쪽이 연한 녹갈색으로 떡납줄갱이의 연한 갈색과 흰줄납줄개의 진한 녹갈색의 중간 색상이었고, 등지느러미 앞쪽 상단 및 뒷지느러미 바깥 가장자리에 붉은색을 나타내는 면적은 떡납줄갱이와 흰줄납줄개 간의 중간 크기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부모종 간의 중간형질을 나타냈다. 계측 및 계수형질의 경우, 자연 잡종은 체장에 대한 가슴지느러미 기점거리의 비, 뒷지느러미 기점거리의 비와 두장에 대한 문장의 비, 양안 간격의 비, 미병장의 비, 미병고의 비 그리고 종렬비늘수 등에서 이들의 고유한 형질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핵 DNA의 rag1 유전자 영역에서 자연 잡종 3개체는 떡납줄갱이와 흰줄납줄개 간의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모두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b 유전자 영역을 이용한 분자계통도에서는 떡납줄갱이와 동일한 유전적 clade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연 잡종 추정 개체들은 암컷 떡납줄갱이와 수컷 흰줄납줄개 간의 종간 잡종으로 판별되었다.

Utility of Selected Non-coding Chloroplast DNA Sequences for Lineage Assessment of Musa Interspecific Hybrids

  • Swangpol, Sasivimon;Volkaert, Hugo;Sotto, Rachel C.;Seelanan, Tosak
    • BMB Reports
    • /
    • 제40권4호
    • /
    • pp.577-587
    • /
    • 2007
  • Single-copy chloroplast loci are used widely to infer phylogenetic relationship at different taxonomic levels among various groups of plants. To test the utility of chloroplast loci and to provide additional data applicable to hybrid evolution in Musa, we sequenced two introns, rpl16 and ndhA, and two intergenic spacers, psaA-ycf3 and petA-psbJ-psbL-psbF and combined these data. Using these four regions, Musa acuminata Cola(A)- and M. balbisiana Colla (B)-containing genom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Some triploid interspecific hybrids contain A-type chloroplasts (the AAB/ABB) while others contain B-type chloroplasts (the BBA/BBB). The chloroplasts of all cultivars in 'Namwa' (BBA) group came from the same wild maternal origin, but the specific parents are still unrevealed. Though, average sequence divergences in each region were little (less than 2%), we propose that petA-psbJ intergenic spacer could be developed for diversity assessment within each genome. This segment contains thre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two indels which could distinguish diversity within A genome whereas this same region also contains one SNP and an indel which could categorize B genome. However, an inverted repeat region which could form hairpin structure was detected in this spacer and thus was omitted from the analyses due to their incongruence to other regions. Until thoroughly identified in other members of Musaceae and Zingiberales clade, utility of this inverted repeat as phylogenetic marker in these taxa are cautioned.

이종간의 핵치환에 의한 발생수행능력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Developmental Capacity by Interspecific Nuclear Transplantation)

  • 이자경;정해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9-34
    • /
    • 1988
  • 초기 발생과정에 있어서 핵과 세포질이 상호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양서류 한 종의 핵을 이조의 무핵 수정란에 치환하였다. Rana속에 속하는 R.dybowskii,R.nigromaculata,R.pipiens등의 이종간 잡종의 개체의 경우 낭배초기를 전후하여 발생이 중지되며,Rana,Xenopus그리고 Axolotl의 속간 핵치환에서는 후기포배기에 발생이 중지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때 각 핵-세포질 조합의 발생수행능력을 비교하면 계통발생상의 유연관계가 먼 종일수록 초기에 발생이 중지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일반적으로양서류 종간 핵치환 결과는 후기 포배까지는 정상발생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같은 잡종개체가 초기에 발생수행능력의 제한을 받는 요인은 두가지로 생각할 수 있는데, 치환된 핵에 비가역적 변화가 일어났을 가능성과 핵과 세포질간의 기능적 비양립성이 그것으로 현재로서는 후작 좀 더 가능성 있는 요인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