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section

검색결과 1,793건 처리시간 0.031초

무신호 교차로의 안전 -서비스 수준 측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AFETY-BASED LEVEL-OF-SERVICE PARAMETERS FOR TWO-WAY STOP-CONTROLLED INTERSECTIONS)

  • 이수범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6년도 제29회 학술발표회
    • /
    • pp.59-86
    • /
    • 1996
  • Current methods for evaluating unsignalized intersections, and estimating level-of-service (LOS) is determined from efficiency-based criteria such as little or no delay to very long delays. At present, similar procedures to evaluate intersections using safety-based criteria do not exist. The improvement of sight distances at intersections is the most effective way of improving intersection safety. However, a set of procedures is necessary to account for the limitations in current methodology. Such an approach would build upon such methods, but also account for: deficiencies in the current deterministic solu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intersection sight distances; opportunity for an accident and severity of an accident; and cost-effectiveness of attaining various levels of sight distances. In this research, a model that estimates the degree of safety at two-way stop-controlled intersections is described. Only crossing maneuver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because accidents caused by the crossing maneuvers are the dominate type among intersection accidents. Monte Carlo methods are used to estimate the hazard at an intersection as a function of roadway features and traffic conditions. Driver`s minimum gap acceptance in the crossing vehicles and headway distribution on the major road are used in the crossing vehicles and headway distribution on the major road are used in the model to simulate the real intersectional maneuvers. Other random variables addressed in the model are: traffic speeds; preception-reaction times of both drivers in the crossing vehicles and drivers in oncoming vehicles on the major road; and vehicles on the major roads. The developed model produces the total number of conflicts per year per vehicle and total potential kinetic energy per year per vehicle dissipated during conflicts as measurements of safety at intersection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developed simulation model, desirable sight distances for various speeds were determined as 350 feet, 450 feet and 550 feet for 40 mph, 50 mph and 60 mph prevailing speed on the major road, respectively. These values are seven to eight percent less than those values recommended by AASHTO. A safety based level-of-service (LOS) is also developed using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model. When the total number of conflicts per vehicle is less than 0.05 at an intersection, the LOS of the intersection is `A' and when the total number of conflicts per vehicle is larger than 0.25 at an intersection, the LOS is `F'. Similarly, when the total hazard per vehicle is less than 350, 000 1b-ft2/sec2, the LOS is `F'. Once evaluation of the current safety at the intersection is complete, a sensitivity analysis can be done by changing one or more input parameters. This will estimate the benefit in terms of time and budget of hazard reduction based upon improving geometric and traffic characteristics at the intersection. This method will also enable traffic engineers in local governments to generate a priority list of intersection improvement projects.

  • PDF

공간 채움 곡선을 활용한 좌표 기반의 교차로 ID 구성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rdinate-based Intersection ID Composition System Using Space Filling Curves)

  • 이은일;박수홍;김덕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4-136
    • /
    • 2019
  • 교차로에서의 자율주행은 다양한 차량이 혼재하며 주행환경이 복잡한 특성으로 인하여 교통 객체 간의 교통정보 교환을 통한 자율주행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인접한 교차로 간의 교통정보 교환이 요구되고 있으나 국내 표준노드·링크 체계에서 교차로를 나타내는 노드 ID는 일련번호를 포함한 구성 체계를 가지고 있어 교차로의 갱신 및 ID를 통한 교차로의 위치 정보 파악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차로 ID 내에 위치정보가 포함되도록 교차로의 2차원 좌표를 가공 및 병합하여 생성한 좌표 기반 교차로 ID 구성 체계를 설계하였다. 제시한 교차로 ID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교차로를 대상으로 새로운 교차로 ID를 적용하였으며 중복된 값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좌표 기반 교차로 ID는 데이터 크기가 기존 노드 ID 대비 60% 줄어들었으며 GIS 툴 없이 인근 교차로 검색 및 Box 형태의 특정 지역 내 교차로 추출과 같은 공간 쿼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좌표 기반 교차로 ID는 기존 노드 ID보다 확장성 및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효율적인 신호교차로 운영방안 연구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of Traffic Flow on Intersection)

  • 황인식;김수성;오세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5-5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차로에서 교통류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연구 결과 신호교차로 에서의 교통류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좌회전 진입허가 lane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진입교통신호를 기다리는 차량들이 있는 신호교차로를 선정하여 교통신호현시를 변경함에 따른 신호교차로, 방향 및 신호현시별 교통량(밀도)의 기하학적 구조를 연구하는 것이다. 현 상황과 개선 안 적용시의 방향별 교차로전체의 지체가 비교되었다. 교통분석 패키지인 TSIS(Traffic Software Integrated System)를 사용하여 교차로 교통상황이 분석되었다. 도입가능한 실제 교차로를 조사하여 마산시 석전교차로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비보호로 진입한 방향에서는 지체가 78.6초/대 향상되었으며, 지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향에서는 4초/대의 증가로 큰 영향을 주지않았다. 즉, 교차로 전체의 대기시간이 개선되었다고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다각형 교차 문제를 위한 상수 시간 재구성메쉬 알고리즘 (Constant Time RMESH Algorithms for Polygon Intersection Problems)

  • 김수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11호
    • /
    • pp.1344-1352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두 단순 다각형의 교차 영역을 구하는 문제를 재구성메쉬(RMESH) 상에서 상수 시간에 해결하는 두 개의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먼저, 두 다각형이 모두 볼록 다각형일 때, N$\times$N RMESH에서 상수 시간에 교차 영역을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여기서 N은 두 다각형의 정점의 개수의 합이다. 그리고, 두 일반적인 단순 다각형의 교차 영역을 구하는 문제에 대해서 (N+T)$\times$(N+T)2 RMESH에서 수행되는 상수 시간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여기서 T는 최악의 경우 두 다각형의 경계선 상의 교차점의 개수로서 두 다각형의 정점의 개수가 각각 n과 m일 때 n.m에 해당한다. 두 다각형 중 하나가 볼록 다각형인 경우는 T = 2.max{n, m}이다. 이 알고리즘은 두 다각형의 모든 교차 영역 조각들을 구한 후 RMESH의 0번째 열에 차례로 배치해 준다. Abstract In this paper, we consider two constant time algorithms for polygon intersection problems on a reconfigurable mesh(in short, RMESH). First, we present a constant time algorithm for computing the intersection of two convex polygons on an N$\times$N RMESH, where N is the total number of vertices in both polygons. Second, we present a constant time algorithm for computing the intersection of two simple polygons on an (N+T)$\times$(N+T)2 RMESH, where T is the worstcase number of intersection points between the boundaries of them. T = n m, where n and m are the numbers of vertices of two polygons respectively. If either of them is convex, then T = 2 max{n,m}. The algorithm computes the intersection of them, and then arranges each intersection component onto the 0-th column of the mesh.

회전교차로와 4지 신호교차로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Modern Roundabouts and 4-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 박병호;김태영;한상욱;양정모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7-35
    • /
    • 2009
  • 회전교차로(roundabout)는 영국에서 교통서클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영국은 1966년 모든 회전교차로에서 "우선권(give-way)"제도를 도입하였는데, 그것은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은 교차로 내에서 가장 멀리 회전하는 차량에 우선권을 주거나 양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나 유럽에서 사용되는 회전교차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교차로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회전교통량의 변화를 반영하여 분석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회전교차로와 신호교차로를 SIDRA를 이용하여 평균제어지체를 분석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로 회전교차로는 총 진입 교통량이 2,000pcph 이하일 때, 신호교차로보다 효과적이 된다. 둘째, 2차로 회전교차로는 총 진입 교통량이 3,200pcph 이하일 경우에 신호교차로보다 효과적이 된다. 셋째, 좌우회전 전용차로 설치 교차로일 경우 회전교차로의 면적이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 PDF

회전교차로의 접근로 신호최적화를 통한 도입효과 분석 (Measurement of Effectiveness of Signal Optimized Roundabout)

  • 엄정은;정희진;배상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91-98
    • /
    • 2015
  • PURPOSES : Although signalized intersections have been considered the best way to control traffic volume in urban areas for several decades, roundabouts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as an alternative way to control traffic volume, especially when traffic is light. Because a roundabout's efficiency depends on the load geometry as well as the traffic volume, design guidelines for roundabouts are recommended only if the incoming traffic volume is very low. It is rare to substitute a roundabout for an existing signalized intersection in urban areas.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benefits from the transformation of an existing signalized intersection into a roundabout in an urban area. When there is a more moderate volume of traffic, roundabouts can be effectively used by optimizing signals located at an approaching roadway. METHODS : The methodologi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 signalized intersection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traff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signalized intersection was transformed into a roundabout using VISSIM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Then, we estimated and analyzed the effects and the performance of the roundabout. In addition, we adjusted a method to improve the benefits of the transformation via the optimization of signals located at an approaching road to control the incoming traffic volume.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signal-optimized roundabout improved delays compared with the signalized intersection during the morning peak hour, non-peak hour, and evening peak hour by 1.78%, 12.45%, and 12.72%, respectively.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of each scenarios, the signal-optimized roundabout had less delay time tha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If optimized signal control algorithms are installed in roundabouts in the future, this will lead to more efficient traffic management.

이동 객체의 부분 유사궤적 탐색을 활용한 교차로 검출 기법 (Detecting Road Intersections using Partially Similar Trajectories of Moving Objects)

  • 박보국;박진관;김태용;조환규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4호
    • /
    • pp.404-410
    • /
    • 2016
  • 대부분의 차량에서 GPS 기반의 내비게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도로 지도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도 정보 없이 GPS 궤적을 이용한 교차로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궤적이 교차로에서 여러 갈래로 나누어지는 것을 이용한다. 이전의 교차로 검출 연구에서는 정차 빈도나 회전방향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제안하는 교차로 검출 기법은 이러한 복잡한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다. 이 기법은 주어진 궤적에 대한 부분 궤적 매칭 결과를 이용하여 교차로에 진입한 궤적들이 서로 다른 도로로 나뉘어 이동하는 것을 이용한다. 강남구에서 수집된 실제 차량 궤적 1266개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은 일반적인 십자 모양의 교차로에서 좋은 성능을 보였다. 제안 시스템은 선정한 교차로에 대해 재현율 75%, 민감도 78%의 성능을 보였다. 더 많은 궤적을 이용하면 더 신뢰할 수 있는 검출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차로 환경에서 좌회전 시 중년 운전자들의 운전수행 및 심박율 변화 특성 (Driving Performance and Heart-Rate Change of Middle-Aged Drivers in Left-Turn Situation)

  • 김보성;민병찬;김진호;민윤기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13-220
    • /
    • 201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aged drivers' driving performance and heart-rate as the behavior and physiological changes due to intersection types in left-turn situation. Background: In Korea, the drivers were aged 40~50s are most plentiful. In addition, the intersection traffic accidents are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the researches for middle-aged drivers and intersection environments have been little. Method: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left-turning intersection types(T1, T2, T3) was used as the within-subject independent variables, three age groups(young, middle-aged, elderly) was used as the between-subject independent variables. Also, passing time, approaching velocity, speed and steering variations and heart-rat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Overall, middle-aged drivers' driving behavior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younger drivers. At the T2 intersection type, however, the approaching velocity of middle-aged drivers was similar to younger drivers, whereas the passing time of middle-aged drivers was similar to elderly drivers. Conclusion: These results could be interpreted that a transition driving behavior of middle-aged drivers in terms of age would be appeared on the T2 intersection type. Application: The results might help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riving behavior for middle-aged drivers.

쌍구형 회전교차로 도입에 따른 운영효과 연구 (An Analysis of Operational Effects of Adjacent Double Roundabouts)

  • 김노현;김명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2-52
    • /
    • 2017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대고오거리와 성모오거리를 대상으로 회전교차로 도입 시 나타나는 효과에 대하여 미시적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VISSI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교차로의 구간 별 평균 통행속도는 31.51km/h로 분석되었으며, 평균 지체시간은 32.5초로 분석되었다. 대고오거리만 회전교차로로 전환시 평균 통행속도 35.04km/h, 평균 지체시간 24.5초로 분석되었고, 성모오거리만 회전교차로로 전환될시 구간별 평균 통행속도는 34.79km/h, 지점별 평균 지체시간은 28.0초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지 2개 지점을 쌍구형 회전교차로로 전환 될 시의 구간 별 평균 통행속도는 38.62km/h, 지점별 평균 지체시간은 20.4초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두 개 교차로를 각각 회전교차로로 전환하는 시나리오에서 지체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개 지점을 모두 회전교차로로 연결하는 쌍구형 회전교차로 전환시 지체시간이 가장 적게 나타나 기존 교차로에 비해 효율적이라고 판단되었다.

사이버-물리 교차로 시스템에서 참조이동모형 기반 녹색신호 최적화 가속도 조언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reen Light Optimal Speed Advisory Based on Reference Mobility Models (GLOSA-RMM) in Cyber-Physical Intersection Systems (CPIS))

  • 정한유;수라마다 토미 앗히야사;응웬 호아 흥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8호
    • /
    • pp.544-55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교차로 주변의 고정된 위치에 있는 노변기지국과 WAVE/DSRC 기반 자동차통신단말, 그리고 스마트폰 앱을 긴밀하게 상호 연동하는 사이버-물리 교차로 시스템(CPIS)을 소개한다. CPIS 구조를 기반으로 교차로 정지시간과 연료소모를 줄이기 위한 참조이동모형 기반 녹색신호 최적화 속도조언(GLOSA-RMM)을 제안한다. GLOSA-RMM은 자동차의 다양한 참조이동모형들을 기반으로 자동차의 현재 위치/속도 정보와 교차로 교통신호 정보를 고려하여 적절한 속도조언을 결정하고, 이를 화면과 음성으로 동시에 제공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를 최소화한다. 임베디드 시스템 기반의 노변기지국과 자동차통신단말, 그리고 안드로이드 앱(App)의 개발을 통해 CPIS 시작품을 구축하고, 실차 환경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GLOSA-RMM 알고리듬이 교차로 정지시간과 연료 소모를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