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Modern Roundabouts and 4-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회전교차로와 4지 신호교차로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 박병호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태영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한상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반시설연구본부 첨단교통연구실) ;
  • 양정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반시설연구본부 첨단교통연구실)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roundabout was developed in the United Kingdom to rectify problems associated with these traffic circles. In 1966, the United Kingdom adopted a mandatory "give-way" rule at alt circular intersections, which required entering traffic to give way, or yield, to circulating traffic. However, the roundabout used in United States or Europe do not common use in Korea. The purposes of the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roundabout.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designs the scenarios which can reflect the directional traffic volumes, and analyzes the average control delay of roundabout and 4-leg signalized intersection by SIDRA. The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entering traffic volume are less than 2,000pcph, the single-lane roundabout is analyzed to be more effective than 4-leg signalized intersection. Second, when the entering traffic volume are less than 3,200pcph, the double-lane roundabout is evaluated to be more effective than 4-leg signalized intersection. Third, which is installed left and right turn lane at intersection, area for the roundabout is analyzed to be less than that for general intersection area.

회전교차로(roundabout)는 영국에서 교통서클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영국은 1966년 모든 회전교차로에서 "우선권(give-way)"제도를 도입하였는데, 그것은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은 교차로 내에서 가장 멀리 회전하는 차량에 우선권을 주거나 양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나 유럽에서 사용되는 회전교차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교차로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회전교통량의 변화를 반영하여 분석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회전교차로와 신호교차로를 SIDRA를 이용하여 평균제어지체를 분석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로 회전교차로는 총 진입 교통량이 2,000pcph 이하일 때, 신호교차로보다 효과적이 된다. 둘째, 2차로 회전교차로는 총 진입 교통량이 3,200pcph 이하일 경우에 신호교차로보다 효과적이 된다. 셋째, 좌우회전 전용차로 설치 교차로일 경우 회전교차로의 면적이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병호, 류승옥, 희전교차로의 계획과 설계, 예원사,2008.
  2. 박병호, 정용일, "SIDRA를 이용한 4지 1차로 현대식 회전교차로의 효과 평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7권, 제2호, 제42집, pp. 89-106, 2005. 6.
  3.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Modern Roundabout Practice in the United States, NCHRP Synthesis, 1998.
  4. 정용일, SIDRA를 이용한 현대식 회전교차로와 일반교차로의 효과 비교분석,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05.
  5. 박병호, 송대섭, "교차로 계획에서 현대식 회전 교차로의 도입 타당성,"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2권, 제2호, pp. 139-151, 2003.
  6. 송대섭, Simulation 기법을 활용한 Roundabout의 효율성 평가,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03.
  7. 이용재, 김석근, "현대식 회전교차로의 용량보정 계수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2호, pp. 185-195, 2002. 3.
  8. 전우훈, 도철웅, "Roundabout의 용량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3호, pp. 59-69, 2003. 6.
  9. F. F. Saccomanno, F. Cunto, G. Guido, and A. Vitale, "Comparing safety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roundabouts using simulated rear end conflicts," TRB 2008 Annual Meeting, 2008.
  10. E. Vlahos, A. Polus, D. Lacombe, P. Ranjitkar, "Evaluating conversion of all-way stop-controlled intersections into roundabouts," TRB 2008 Annual Meeting,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