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retation bia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초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한 식이섭취조사에 나타난 한국 여대생의 과소응답 분석 (Under-Reporting in Dietary Assessment by 24-Hour Recall Method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 이은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8호
    • /
    • pp.957-966
    • /
    • 1999
  • Underreporting of dietary intake is common and might distor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ietary survey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underreporting and characterastics of under-reporting group in Korean college female students. Dietary survey of 1-day 24-hour recall method was conducted on 379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Chonan areas. Physical activity and life style were aquired from questionnnaires. Underreporting was defined as energy intake(EI) lower than 0.9BMR(based metabolic rate), since EI<0.98BMR is statistically judged as bias in 1-day 24 hour recall. BMR was calculated from Schofield's equation. Proportion of underreporting was 18.7% and it's not so different from one of American or European women. Intake of nutrients except vitamin A by underreporting group was lower than other groups(p<0.001). Proportions of subjects with nutrient intake level less than 75% of Korean RDA were more than 80% in protein, Ca, Fe, vitamin A, riboflavin, niacin, zinc as well as energy. Dietary quality of underreporting group was also worse than other groups. Proportion of subjects less than 3 food groups among 5 food group was higher in underreporting group. The number of foods eaten by underreporting group were also less than those of other groups. BMI and body weight were the largest in underreporting group(p<0.05) and the trial of weight reduction was shown higher trend(p<0.01). Different in PAC and other characteristics between underreporting group and other group were not significant. Not only dietary quantity but also dietary quality were worse in the underreporting group. Furthermore underreporting in college female students seemed to be affected by body weight and concern for weight reduction.

  • PDF

폐색성 혈전 혈관염의 침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Thromboangiitis Obliterans)

  • 최지민;전석희;임용하;정민재;김선종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7-49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vidence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acupuncture treatment in the last 10 years for thromboangiitis obliterans.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bout acupuncture on thromboangiitis obliterans were searched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ScienceON,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from January 1, 2011 to November 13, 2021. Onl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selected and we assessed the risk of bias (RoB) according to the revised Cochrane RoB2 criteria. Results A total of 5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ere selected in this review and all were conducted in China. A total of 326 participants were in 5 RCTs. SP10, ST36, GB34 was the most commonly used treatment point. There were four types of acupuncture used: manual acupuncture, embedding acupuncture, pharmacopuncture, electroacupuncture. The most commonly used indicator for evaluation was the total efficacy rate, and all five stud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s All selected studies showed the group treated with acupuncture treatments on thromboangiitis obliterans were statistically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number of studies is too small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s limited due to the inclusion of subjective evaluation. So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studies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슬개대퇴통증증후군의 침 치료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Acupuncture Treatment Effect for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지민준;권도영;양재은;구지향;오민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32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degree of pain and function improvement in acupuncture treatment for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ere searched from Medline/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WanFang Data,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Citation Information by NII (CiNII),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ScienceON, KoreaMed, and Korean Medical Database (KMbase).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elected RC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Cochrane RoB2 tool. Results Total of 158 studies were identified and 7 RCTs were selected for systematic review. Frequently used evaluation method were visual analogue scale and Kujala scores. All studies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pain reduction and knee func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but showed partial significance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 Conclusions Research showed that acupuncture treatment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improving the pain and function of PFPS, bu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it has a significant effec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Selected studies included subjective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total of selected studies were small, so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s limited. Also most of the included studies are evaluated to have some concerns of bias. Therefore, subsequent research should continously be done in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method.

본태성 고혈압에 대한 기국지황환(杞菊地黄丸)의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 분석 (Qu-Ji-Du-Huang-Wan for Essential Hypertension :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 한인식;신지혜;조윤영;박해모;양창섭;정민정;장인수;선승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8-12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lood pressure reducing effect of Qi-Ju-Di-Huang-Wan (QJDHW) in adul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by using methods of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Major search engines, such as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 CNKI, CiNii, J-STAGE, KISS, NDSL, RISS, OASIS, DBpia and so on, were used. The search period we used is from the start date of the search engine to October 30, 2016 and no language limits were plac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using QJDHW in adul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were searched and extracted by two independent researchers.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outcome variables of the total effective rate (TER),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Risk of bias (RoB) of Cochrane was used to assess methodological quality. Thirteen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We observed that the combined treatment of QJDHW and antihypertensive drug had 3.6 times the odds ratio of TER for blood pressure lowering than a single use of an antihypertensive drug. Additionally, mean differences of SBP and DBP were -8.88 mmHg (95% Confidential Interval (CI) -12.77 mmHg, -5.00 mmHg, P<0.00001), -7.09 mmHg (95% CI -9.93, -4.25, P <0.00001), respectively. Single use of QJDHW did not reduce blood pressure more than an antihypertensive drug. All items of RoB were unclear and the methodological quality was low. Our analysis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of QJDHW and antihypertensive drugs may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blood pressure than a single antihypertensive drug. But due to low methodological quality, careful interpretation will be needed and systematic long-term clinical trials will be required.

MT 탐사자료를 이용한 제주도 지역의 전도성 퇴적층 분포 연구 (Distribu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Sedimentary Layer in Jeju Island Derived from Magnetotelluric Measurements)

  • 이춘기;이희순;오석훈;정호준;송윤호;이태종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7권1호
    • /
    • pp.28-33
    • /
    • 2014
  • 최근 제주도 서부 중산간(해발고도 400 ~ 900 m) 지역에서 획득된 자기지전류(MT) 탐사자료와 제주도 중산간 전역에서 획득되었던 기존 MT 탐사 자료의 1차원 역산을 통하여 서귀포층과 U층으로 대표되는 퇴적층에 해당하는 저비 저항층의 분포형태를 살펴보았다. 저비저항층의 상부경계는 제주도 표고와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하부경계는 표고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즉, 저비저항층은 제주도 중앙부에서 두꺼운 렌즈 형태를 하고 있으며 그 하부의 기반암은 중앙부에서 오목한 형태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표고와의 상관성을 고려하는 크리깅을 수행하여 제주도의 지전기 구조 모델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한라산의 화도를 따라 3차원 형태의 저비저항 이상체가 존재할 가능성과 시추공 자료와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3차원 모델링과 다른 지구물리탐사나 물리검층 자료와의 복합해석이 요구된다.

시계열 환경변수 분포도 작성 및 불확실성 모델링: 미세먼지(PM10) 농도 분포도 작성 사례연구 (Time-series Mapping and Uncertainty Modeling of Environmental Variables: A Case Study of PM10 Concentration Mapping)

  • 박노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9-264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환경변수의 시계열 분포도 작성과 불확실성 모델링을 위해 시공간영역으로 확장된 다중 가우시안 크리깅을 제안하였다. 다중 가우시안 틀 안에서, 우선 정규점수변환된 환경변수를 결정론적 경향 성분과 확률론적 잔차 성분으로 분해하였다. 그리고 시간 경향 모델 계수의 내삽을 통해 경향 성분의 시계열 공간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정상성 잔차 성분의 시공간 상관 구조는 곱-합 시공간 베리오그램 모델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고, 이 베리오그램 모델과 시공간 크리깅을 이용하여 국소적 누적 확률분포함수를 모델링하였다. 이 국소적 누적 확률분포함수로부터 평균값과 조건부 분산을 계산하여 공간분포도 작성과 불확실성 분석에 각각 이용하였다. 제안 기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인천광역시에서 3년간 13개 관측소에서 측정된 월 평균 미세먼지($PM_{10}$) 농도 자료를 이용한 시계열 분포도 작성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제안 기법을 통해 기존 공간 정규 크리깅에 비해 작은 편향과 높은 예측 능력을 가진 시계열 미세먼지($PM_{10}$) 농도 분포도 작성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건부 분산과 특정 농도값을 초과할 확률값들은 해석을 위한 유용한 보조 정보를 제공하였다.

평탄성 지수 IRI와 PrI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IRI and PrI)

  • 김국한;이병덕;최고일;양성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1-18
    • /
    • 2003
  • 포장의 평탄성은 자동차 주행시의 승차감 안전성 및 포장파손의 직접적인 영향인자로서, 도로 이용자 입장에서 도로상태를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이러한 포장의 평탄성은 포장 공용성 평가요소 중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서 포장의 품질관리나 유지관리시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나, 국가별로 각기 고유의 측정장비나 계산방법이 사용됨으로 인해 국제적으로 통일된 관리기준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 신설포장에 대해 포장평탄성의 관리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관리 기준값은 7.6m CP 장비를 이용한 PrI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장비는 수동식으로서 현장조사시 교통차단이 불가피하며, 측정 및 계산을 인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개인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80km의 속도로 평탄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동식 평탄성 장비인 APL에서 IRI 값을 도입하여 수동식 장비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PrI 관리기준을 이용하여 IRI 관리기준을 정립하기 위해, 7.6m CP에 의한 PrI와 APL에 의한 IRI의 상관관계를 시험을 통해 규명하였다. 시험결과 분석에 따르면 아스팔트 및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모두는 신뢰 할 만한 상관관계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가상가치평가법(假想價値評價法)에서 시간범위(時間範圍)에 따른 휴양가치(休養價値)의 차이(差異) 해석(解析) (The Interpretation of Different Recreation Benefits According to Time Horizon in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김준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1호
    • /
    • pp.117-123
    • /
    • 1999
  • 잉여가치는 일정한 시간범위에 대한 가치로 표현된다. 특히, 가상적시장에서 시간범위의 선택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기간에 따른 지불의사액의 차이원인을 할인율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속리산 국립공원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1년과 5년 두 종류의 시간범위에 대한 방문객의 휴양가치를 이용하였다. 지불의사액에 대한 질문은 양분선택형을 택하였으며 분석에서는 프로빗모형을 사용하였다. 상한치 절단에 의한 편의의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하여 휴양가치에 대한 기대치는 중앙값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방문객의 1년과 5년의 휴양가치는 각각 16,569원과 27,111원으로 산출되었다. 이러한 상이한 시간범위에 따라 평가된 가치의 차이를 일치시키는 할인율은 년(年) 153%로 산출되었다. 이러한 높은 할인율은 (1)미래방문에 대한 불확실로 인한 현재가치에 대한 높은 선호 (2)시간범위와 비례하는 대체가능성 (3)시간범위에 대한 응답자의 인지부족 (4)재화의 가격비율과 효용함수에 의한 영향 (5)지불수단에 대한 기본적인 프레미엄으로 인해 1년에 대한 휴양가치가 과대 추정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해석 가능하다.

  • PDF

잔디 토양 분석의 해석 (Interpreting Soil Tests for Turfgrass)

  • 닉 크리스챤스;주영규;이정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3-235
    • /
    • 2006
  • 잔디 작물에 익숙하지 않은 토양 분석 실험실에서는 잔디 생육에 필요한 인에 대하여서는 과대평가를 하나, 칼륨에 대한 요구도는 대해서는 과소평가를 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 잔디, 정원식물 및 농작물 사이에는 뿌리 발달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잔디는 토양으로부터 인을 흡수하는데 좀 더 효율적이기 때문에 인산질 비료에 대한 요구도가 적은 편이다. 작물 재배시에는 농작물의 생산량이 주목적이지만, 잔디밭 관리의 목적은 생산량이 아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칼륨요구 수준이 다르다. 최대의 엽조직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수준이상의 칼륨은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칼륨 시비 수준을 높일 경우 잔디밭에 유익하다. 또한 토양분석 실험에 대한 철학에도 차이가 있다. 어떤 연구소는 기본적인 양이온 치환의 용량 접근법(BCSR)을 선호하는 반면, 다른 연구소는 사용 가능한 성분의 충분양(SLAN)에 대한 컨셉을 사용한다. 연구소에 따라 이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BCSR 이론의 사용은 대부분 비료 살포 남용을 야기한다. 그리고 문제가 될만한 비료의 살포와 제품들은 때때로 양이온의 비율의 불균형을 예증하기 위해 사용된다. 토양 실험에 있어서의 BCSR 비율 이론의 유용성은 토양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특히 모래로 조성된 지반에서 수행된 토양분석은 문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토양 실험의 문제는 경기장 또는 골프장 그린에 사용된 모래지반이 유리된 칼슘 탄산염을 함유하고 있을 때 발생한다. pH7.0의 암모늄 초산염 추출액은 양이온 치환량의 측정과 양이온 비율의 측정을 한쪽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는 과다한 양의 칼슘을 용해한다. 용질의 pH를 8.1로 맞추는 것은 석회질 토양에서의 실험 절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실'과 '구술자료'의 간극에 대한 하나의 해석 정치엘리트 구술연구를 중심으로 (An Interpretation of the Gaps between 'Fact' and 'Oral Materials' in Political Elite Oral History)

  • 조영재
    • 기록학연구
    • /
    • 제43호
    • /
    • pp.43-70
    • /
    • 2015
  • 최근 정치엘리트에 관한 구술연구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문제는 엘리트 구술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가치가 의심받고 있다는 점이다.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간에 정치엘리트의 구술자료는 그 자료가 설명하고자 하는 사실과 거리(간극)가 크다는 이유 때문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간극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사실 엘리트 구술자료에서 나타나는 간극은 하나가 아니다. 그것은 구술자료가 생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질적으로 상이한 여러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유형의 간극은 기억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극이다. 구술자들이 외부의 객관적인 사실을 선별적으로 인식하고 기억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선별인식, 선별기억, 개별적 경험 등이 이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간극은 단순한 오류와 구별된다. 이 유형의 간극은 그 자체로 하나의 사실이며, 분석대상이 되어야한다. 제2유형은 기억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극이다. 한번 형성된 기억은 시간이 지나면서 마모되거나 변형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간극이다. 망각이나 기억변형이 이 경우에 해당한다. 구술자에게서 이러한 간극이 왜 발생하였는가를 이해할 수 있다면, 그 간극을 해석하고 좁히는데 도움이 된다. 제3유형은 구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극이다. 구술자가 자신의 기억과 다른 내용을 진술함에 따라 나타나는 간극이다. 의도적인 허위진술이나 반복적인 허위진술이 여기에 해당한다. 구술사 연구에서 피하거나 제거해야할 간극이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간극을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제1유형과 제2유형 간극은 구술자료가 지니고 있는 단점이라기보다는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이 간극들을 해석함으로써 사실을 보다 풍부하게 이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부정적인 간극인 제3유형의 간극은 구술을 준비하는 과정, 구술을 진행하는 과정, 구술자료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좁힐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