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trust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사회에서의 대인관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으로서의 마음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접근 (Maum as the Basis of Trust and Distru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rom Indigenous and Cultural Perspectives)

  • 최상진;김의철;김기범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2호
    • /
    • pp.1-17
    • /
    • 2003
  • 본 고에서는 기존의 사회심리학에서의 신뢰 연구가 행동 중심의 접근이었고, 합리적이고 산술적인 모형으로 접근해왔음을 지적하고, 대인관계속에서 상호간의 신뢰 형성은 상대방의 마음에 기반을 둔 신뢰임을 주장하고자 했다. 신뢰에 대한 연구가 미개발 상태에 있는 한국의 경우, 신뢰를 논해야 하는 경우를 당해서 불가피하게 서구의 신뢰모형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 지금까지의 현실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문화권에서의 신뢰 연구는 유교문화권 국가에서는 물론 서구에서 이루어진 신뢰연구를 문화 비교심리학적 차원에서 조망하고 검토해 볼 수 있는 하나의 비교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

  • PDF

온라인 공동체에서 사회적 정체성과 지속적인커뮤니케이션 활동이 구성원 간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The Influence of Social Identification and Persistent Communication Activities on Interpersonal Trust in the Virtual Community)

  • 조승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2호
    • /
    • pp.65-77
    • /
    • 2011
  • 본 연구는 온라인 공동체에서 구성원들 간에 신뢰가 어떻게 형성 발전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신뢰형성에 주요한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연구는 사회적정체성과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주요한 요인으로 설정하고 이들과 신뢰(Trust)에 이르기 위한 매개변인들인 신뢰성 (Trustworthiness) 요소-Integrity (규범공유성), 선의(Benevolence), 개방성(Openness)-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들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해서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온라인 사이트의 커뮤니티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정체성과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신뢰성 (Trustworthiness)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신뢰성의 세 가지 변인(Integrity, Benevolence, Openness) 등은 기존의 연구와 유사하게 신뢰에 주요한 요소들임이 밝혀졌다.

리조트호텔 이용고객의 호텔 종사원에 대한 대인신뢰가 고객충성도,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ort Hotel Employees' Interpersonal Trust on Customer's Loyalty and Repurchase Intention)

  • 민보영;천희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34-444
    • /
    • 2010
  • 호텔은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고객에게 신뢰와 만족을 제공하여 충성 고객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리조트 호텔을 이용하는 고객이 호텔 종사원에 대한 대인신뢰가 고객충성도 및 재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고찰하고자 제주도에 소재한 리조트 호텔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리조트 호텔 이용 고객이 호텔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원에 대해 느끼는 능력, 유사성이 고객충성도와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조트 호텔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리조트 호텔을 방문할 때 종사원들의 능력과 유사성이 고객으로 하여금 반복적인 구매행동의 원인인 고객충성도와 미래에도 반복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재구매의도에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호텔종사원의 일관성은 리조트 호텔을 이용하는 고객에게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휴양지에서 새로운 흥미와 관심을 갖고자 하는 리조트 호텔의 고객성향을 비추어 볼때 고객충성도와 고객의 재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의 배경변인, 가정적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성향이 예절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olescent's Background, Family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n Etiquette Implementation)

  • 장혜숙;최배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2호
    • /
    • pp.23-4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olescent's background, family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n etiquette implementation. The subjects were chosen to include 1,119 adolescents attending middle or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positive family self-esteem, a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d smooth etiquette implementation was high among those who were satisfied with school life, had talks with their parents often, and felt a need for etiquette education during teen years. Seco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dolescents' etiquette implementation were family self-esteem, understanding, communication, intimacy, trust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etiquette education.

  • PDF

현장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이 외국인 근로자의 신뢰,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기업의 필리핀 근로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ield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on Foreign Workers' Trust, Work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Filipino Workers in South Korea-)

  • 둘누안 엘라 마이;김해룡;왕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59-170
    • /
    • 2020
  • 한국의 국제 노동력이 끊임없이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의 해외 생활과 근로는 리더십 분야에 새로운 연구 시각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U와 G 지역에 거주하는 필리핀 국적인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리더십은 실제로 외국인 근로자의 상태와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진성리더십이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신뢰를 매개로 하여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진성리더십은 필리핀 국적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열의와 선명한 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은 반면에 외국인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성리더십이 외국인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신뢰를 완전 매개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의 매개 작용은 리더와 부하 간의 신뢰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 결과의 원인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연구의 방향을 확인되었다.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risoner's Perception of Stigma on Tru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 공정식
    • 시큐리티연구
    • /
    • 제57호
    • /
    • pp.57-84
    • /
    • 2018
  • 본 연구는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일반인들이 출소자를 기피하고 차별하는 의식들의 근저에는 낙인이 있다고 하였다. 이는 결국 출소자들의 재범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나, 낙인에 대한 출소자 스스로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거의 없는 편이다. 낙인은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인의 하위척도를 대중낙인, 개인낙인, 그리고 자기낙인으로 구분한 Phillips(2016)의 견해에 기초하였다. 그는 출소자들이 자기 낙인보다는 대중낙인을 더 크게 인식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와도 일치한다. 그런데 출소자들이 자기낙인보다 대중낙인을 더 크게 인식하면서도, 대인관계에서 상대에 대한 신뢰에 있어서는 대중낙인보다 자기낙인의 영향을 더 받는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출소자들이 외면적인 사회적 인식보다는 내면적인 심리적 인식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출소자의 내면적 자기낙인을 극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 첫째 낙인은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자기낙인이 대부분의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자기낙인이 심할수록 대부분의 대인관계에서 신뢰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구체적으로 가족관계 중에서는 자녀, 사회관계 중에서는 직장동료, 그리고 일반관계 중에서는 자신과의 신뢰에 낙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낙인이 출소자들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타자들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해준다. 셋째 출소자들은 자기낙인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한데, 자기낙인은 자아정체성을 부정적으로 재정립하여 스스로를 일탈자로 인식하고 불량한 생활양식을 보이며, 경력범죄자로 발전해가는 것을 의미하는 바, 자아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요청된다. 넷째 본 연구는 남성범죄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성별에 따라 낙인을 인식하는 것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고, 또한 낙인은 대인관계 뿐만 아니라 결국 사회 내 재통합과 재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바, 이를 추후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거주지역별 노인의 신뢰 유형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st on Happiness among Korean Older Adults: The Role of Place of Residence)

  • 최명진;김기연
    • 한국노년학
    • /
    • 제40권2호
    • /
    • pp.341-357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신뢰 유형을 분석하고, 신뢰가 행복을 예측하는지를 대도시와 지방에 거주하는 노인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4년 정부역할과 삶의 질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5년 이상 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 1,599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상호작용항을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신뢰와 사회신뢰가 행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특수신뢰와 일반신뢰에서 지역과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특히 대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에게는 일반신뢰가, 지방에 거주하는 노인에게는 특수신뢰가 행복의 영향요인임을 밝혔다. 이는 노인의 신뢰가 환경적 맥락에 의해 해석되어 행복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신뢰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대인관계(對人關係)에 있어서 긍정적(肯定的)인 힘에 대(對)한 연구(硏究) - (II) 신뢰(信賴) - (STUDY ON THE POSITIVE POWER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 (II) THE ISSUE OF TRUST -)

  • 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3-13
    • /
    • 1996
  • 모든 인간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한 개인에 있어서 생존하기 위하여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힘이 필요하며, 대인관계에서도 힘이 작용한다. 한 개인에 있어서나 대인관계에 있어서 자신의 생존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힘을 긍정적인 힘(positive power)'이라고 하고, 자신의 생존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힘을 '부정적인 힘(negative power)'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긍정적인 힘' 중에서 '신뢰'에 대하여 고전들에서 어떠한 교훈이 있나를 살펴보고, 이를 일상생활에서의 중요성과 함께 통괄시켜 보았다. 대인관계에서 '서로 믿을 수 있는 태도'를 갖추기 위하여는 '말'을 조심스럽게 한다는 것이 필수적인 조건이며, 이것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하여 가능해진다. 또한 성찰은 고전에 기술된 교훈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 PDF

병원행정직원의 조직공정성, 조직신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병원 규모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Hospital Office Work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Hospital Scales)

  • 이영진;안재선;김문중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22
    • /
    • 2018
  •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s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who maintain cordial and friendly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so that the human resources department within a hospital can be used efficiently. Methods : A total of 6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524 copies were returned (88%). Of these, 518 copies were used to verify statistic results using IBM SPSS and AMOS Ver. 22.0, including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Results :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s shown that OCBI (Interpersonal) is highly affected at large hospitals. However,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n OCBO (Organizational) is highly affected at small hospital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a gap analysis indicated that among the different asp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in small hospital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mall hospitals are more strongly affected than they are in large hospitals. As a result, job efficiency is improved in smaller hospit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