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conflict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6초

전문계 고등학생을 위한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및 e-Learning 콘텐츠 개발 연구 -대인관계능력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Job Basic Skill Program and e-Learning Content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변숙영;이수경;이용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42-61
    • /
    • 2009
  • 본 연구는 직업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교수 학습능력 신장에 기초가 되는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관련문헌 분석, 전문가 협의회 등을 통해 직업기초능력 영역 중 e-Learning 콘텐츠로 개발하였을 때 효과적일 것으로 관련전문가들이 합의한 대인관계 능력을 개발하였다. 대인관계능력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접촉하는 사람들과 원만하게 지낼수 있는 능력으로 이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개요, 협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사례를 중심으로 한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동영상과 시뮬레이션, 게임 등의 멀티미디어적 전략을 활용하여 e-Learning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교인들의 영적경험이 교회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교회 대인신뢰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Spiritual Experience on Church Commitment: Moderating Effect of Church Interpersonal Trust)

  • 이건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17-32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들이 경험하는 매일의 영적경험이 교회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회 대인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기독교인 400명이었으며, 남성이 193명(48.3%), 여성이 207명(51.7%)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Procedure for SPSS Version 3.5 (Model 1)를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독교인의 매일의 영적경험은 교회 헌신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독교인들의 교회 대인신뢰는 교회 헌신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매일의 영적경험이 교회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회 대인신뢰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즉, 교회 대인신뢰는 영적경험이 교회 헌신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더욱 강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신앙뿐만 아니라 교회 내에서의 신뢰로운 인간관계의 역할과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초등학생이 일상생활 중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chool Children in Chon-buk Area)

  • 정승희;정영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79-284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stress measurement tool for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50 students from four primary schools in the Chon-buk area from April 1 to May 30, 1995. Through a pretest and literature review a questionaire was designed with 57 stressors experienced by school children in daily life. Reliability of the tool was tested by a Cronbach's alpha and the result was ${\alpha}=.9137$.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organize the 57 items together. As the result, 8 factors were obtained and these factors explained 40% of the variance. The 8 factors were: 1) Life events related to family, 2) Conflict related to friend & senior or junior, 3) Educational attitude of parents, 4) Own personality, 5) School life events, 6) Scolding by teacher and parent, 7) Conflict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8) Change of situation.

  • PDF

또래지지와 대인관계 갈등 대처방법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kills)

  • 심희옥
    • 아동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33
    • /
    • 2000
  •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interpersonal stressors, and social skills among 4th and 5th graders. Instruments were the 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the Self-Report Coping Scale, and the Teenage Inventory of Social Skill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used different coping strategies by the level of peer support. Children with more peer support were more active in seeking social support and in solving peer conflict. Children with more problems in peer relationships used more avoidance strategies such a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Children with a high level of social skills were more likely to use approach strategies in peer conflict while children with a low level of social skills were more likely to employ avoidance strategies. Internalization was the most important strategy in explaining inappropriate peer relationships. For girls, social skill was the most essential variable in their peer relationships.

  • PDF

도시근교 농촌주부의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rital Conflict of Wives in Rural Areas)

  • 김영희;한경혜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9-138
    • /
    • 1996
  •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in marriage life, and to analyze their impacts on global marital satisfaction perceived by wives in rural areas. The survey data was gathered from 151 rural wives. The degrees of three types of conflicts were shown to be low. while in terms of the degree of seriousness, environmental,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are in descending order. Especially the degree of the environmental types of confli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family life cycle.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s of conflicts and the marital satisfaction,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It was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type of conflic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satisfaction in the marriage life.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control variabl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husband's job, i.e., farm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t.

  • PDF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 박순주;권민아;백민주;한나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89-297
    • /
    • 2014
  •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와 대인관계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6개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02명이며, 2012년 5월부터 6월 사이에 성인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척도와 대인관계능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와 ${\chi}^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SNS 이용자의 스마트폰 중독정도는 중독군이 24.8%, 일반군이 75.2%였다. SNS 이용자 가운데 스마트폰 중독집단과 일반집단의 대인관계능력은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영역 중 자기노출 능력은 중독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하위영역 중 가상세계지향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낮았고,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 하위영역 중 대인갈등 다루기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예방 및 대인관계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치과위생사 역할갈등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Role Conflict Experience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이순영;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1-251
    • /
    • 2018
  • 임상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가 경험하는 역할갈등의 유발요인과 대처에 대한 본질을 탐색하고자 9명의 임상치과 위생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업무 범위, 역할갈등, 역할갈등에 대한 대처와 한계로 이루어진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업무 범위로 치과위생사가 인식하고 있는 업무 범위, 법적 업무 범위 및 실제 수행하는 업무 범위가 다소 차이를 보였다. 두 번째 범주는 역할갈등으로 대인관계, 업무, 업무환경, 역량, 전문직으로서의 정체감으로 인한 역할갈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세 번째 범주는 역할갈등에 대한 대처와 한계이며 치과위생사는 다양한 노력을 통해 역할갈등 상황을 해결하려 노력하였으며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지 않는 현실에 직면할 경우 한계를 느끼고 이직을 선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과위생사의 역할갈등에 관한 수준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 및 역할갈등 상황별 대처 방안의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on Employees'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 Choi, Young-Keun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1호
    • /
    • pp.19-28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workplace bullying and abusive supervision was a correlation as two kinds of workplace violence arouse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which influences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family conflict. This study explores i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an be an interpersonal factor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Using a survey method, this study distributed the survey to 319 employees working at Korean companies. This study used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 - In the results, the more job-related bullying or abusive supervision people perceive in the workplace, the stronger their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are Second, the stronger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people have, the weaker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stronger work-family conflict are. Finally, when people have higher POS in workplace, workplace bullying and abusive supervision have weaker impact on their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Conclusions - For research contributions, this study introduces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in the context of workplace and investigate workplace violence as the antecedents of internet pornography. Second, this study suggests and empirically verify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an organizational factor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Practically, corporate executives need to recognize the appearance of workplace violence by monitoring the phenomena of employees'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Future studies need to be investigated for other types of addiction.

간호원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 김매자;구미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8-37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Two hundred and fifteen stan nurse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participated during the period from Feb. 28 to Mar. 10, 1984. Though the pretest and literature review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with 63 stressors which were experienced by the nurses in the hospital. Subjects were given instruction to rate 1∼6 likert type scale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ess experienced by each stressor described. Reliability of the tool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and the result was α=0.94871.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organize 63 items together. As the result, 15 factors were obtained and these factors explained 66.3% of variance. The 15 factors were: 1) Work overload 2) Role conflict as a profession 3)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4) Interpersonal problem 5) Conflict in nurse doctor relationship 6) Work conflict with doctors 7) Emotional burden due to the limitation of medicine 8) Poor treatment 9) Unsatisfactory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10) Low reward 11) Unsatisfactory relationship with subordinate 12) Poor physical environment of unit 13)Responsibility for extra affairs 14)Unfamiliar situation 15)Night duty.

  • PDF

우리나라 사립 대학도서관 사서의 개인간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Interpersonal Conflict of the Private University Librarians)

  • 윤영;이무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43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갈등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대학도서관 사서의 개인간 갈등의 요인을 파악하여 대학도서관 경영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갈등요인과 갈등수준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설정된 가설을 검증한다. 또한 갈등요인들 중 갈등수준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서울 시내 소재 27개 사립 대학도서관 중 $66.67\%$ 에 해당하는 18개 대학도서관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18개관의 조사 대상 총 사서 342명 중 336명에게 배부하였으며, 그 중 280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응답 내용이 성실하지 않은 7부를 제외한 273부(회수율 $81.25\%$)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