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tionalization performanc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2초

자원확보 및 시장확대를 위한 벤처기업의 세계화 전략 (Expanding the Resource and Market Reach : Does Internationalization Enhance Venture Survival?)

  • 이현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1호
    • /
    • pp.109-132
    • /
    • 2011
  • 본 연구는 중소 벤처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뿐만 아니라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노력(intent to access resources from others)이 자원이 부족한 중소벤처기업의 성장 및 생존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정량적 자료의 분석과 사례연구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특히 중소 벤처기업의 자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술자원의 확보 (Itami, 1987)가 어떻게 기업의 성장 및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세계화의 관점(international perspective)에서는 세계화를 통한 시장확대를 한 기업들이 기업에게 필요한 독특한 자원과 능력을 확보하게 되고, 이 확보된 자원과 능력이 기업의 생존 및 성장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 벤처기업이 성장하고 생존하기 위해서는 자원의 보유뿐만이 아니라 부존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 즉, 전략적 제휴, M&A 등을 통한 자원획득 전략과 세계화를 통한 시장 확대가 성장 및 생존에 필수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인터뷰에 참여한 25개 기업 중 성공적인 세계화를 이룬 경우는 30% 미만이었으며, 자원확보를 위한 전략적 제휴 및 M&A, 대기업과의 공동 연구개발 등을 진행, 세계화 추진에 여러 가지 애로사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공동개발, 제휴 등의 협력을 바탕으로 한 성공적 세계시장으로의 진출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본 연구자들은 유기적 협력체 형성 즉, 소벤처 생태계의 조성 및 활성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은 개별기업 간 경쟁에서 기업 네트워크 간 경쟁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별 벤처기업의 단독 해외시장의 진출은 매우 위험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으며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선도기업과 초기 벤처기업 간 상생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해외시장에 동반 진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한국 IT 벤처기업의 국제화 학습: 유니데이타커뮤니케이션(주) 사례 (The International Learning of a Korean IT Venture Firm : A Case Study of UniData Communication Systems)

  • 박상규;문휘창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1호
    • /
    • pp.73-86
    • /
    • 2012
  • 본 사례에서는 국내 IT 벤처기업인 유니데이타커뮤니케이션(주)의 단계적인 국제화 경험이 학습역량 강화를 통해 경영성과에 기여하는 일련의 국제화 과정을 조직학습이론으로 설명하였다. 이는 조직의 국제화 경험이 국제화 성과의 중요한 결정요인이며 조직학습을 통해 배양된 학습역량은 경영성과에 기여한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더불어, 창업기부터 꾸준히 국제화를 추진한 IT 벤처기업의 국제화학습 특성을 기존지식 활용(Exploitation)과 새로운 지식 탐색(Exploration)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기업에 비해 내부자원이 취약한 벤처기업은 파트너 네트워크를 활용한 탐색과 활용을 통해 새로운 국제화 경험을 축적하였다. 축적된 국제화 경험은 학습 역량 강화를 통해 기업의 내부역량으로 배태(embedded)되어 궁극적으로 경영성과에 유의미하게 작용함을 사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벤처기업의 국제화 전략 (The Internalization Strategies for Venture Business)

  • 김성호;김판진;나승화
    • 유통과학연구
    • /
    • 제7권3호
    • /
    • pp.101-122
    • /
    • 2009
  • 본 연구는 국제화의 결정 요인, 동기 및 국제화의 목표, 시장 진입 방법, 시기, 지역, 국제화 전략 및 접근 방법, 국제화 성과 및 성공요인, 국제화의 문제점과 장애요인을 검토하고, 궁극적으로 국내 벤처 기업에 대한 국제화 전략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국제화 결정 요인 중 외적 요인에는 좁은 국내 시장, 산업화 정도, 경쟁 수준,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 경제 규모와 국제적 네트워크가 포함되는 반면에, 내적 결정 요인에는 새로운 기업의 특성과 기술적 능력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시장 확보와 선점, 생산 기반의 이동을 통한 원가 절감과 효율적 생산, 네트워크 형성의 필요성을 포함해야 할 동기 또한 밝혀졌다. 시장 진입에 대해서는 기업이 먼저 수출에 초점을 두었으며, 외국시장을 선택함에 있어서는 심리적 거리보다도 표적 시장의 존재와 그들의 기술능력에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제화 성과에 대해서는, 비재무적 성과보다는 재무적 성과가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벤처기업은 사업 파트너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자금 부족, 전문가 부족, 정보부족 등을 경험하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 PDF

신속한 국제화 전략이 기업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한국의 BGF를 중심으로 (Does the Rapid Internationalization of Companies affect BGF's Financial Performance? - Focused on the Korean BGF Cases)

  • 장예지;김형준
    • 중소기업연구
    • /
    • 제42권3호
    • /
    • pp.123-144
    • /
    • 2020
  • 기술 기반 신생기업들은 창업 초기부터 세계화를 추구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BGF전략을 추구하는 현상은 기존 국제화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으로 태생적 글로벌 기업(BGF 또는 BGV)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BGF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세계화 전략의 선행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기업 재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적으며 기존의 연구 결과의 일관성도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차이는 BGF에 대한 정의의 문제와 연구 방법과 연구 대상에 의한 결과이며 특히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대한 측정의 타당성 부족에 기인한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속한 세계화 전략이 BGF의 성과(매출량, 투자수익률, 직원당 순이익, 매출증가율, 종업원당 순이익 증가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해 KIS-Value의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시도 하였다. 특히, BGF에 대한 정의를 기업이 설립 후 5년 내에 수출 집중도가 25%, 50%, 75%에 따른 수준별 구분에 따라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신속한 국제화 전략은 장·단기적으로 매출 효과는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특히, 단기적인 효과가 장기적인 효과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BGF의 투자 수익률(ROI)에 대한 영향은 BGF수준이 엄격할수록 ROI에 대한 단기적인 영향은 있지만 장기적인 영향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출 성장률 성과는 BGF수준에 따라 단기적 효과가 있으나 ROI와 같이 장기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에 순이익 증가율은 BGF전략이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의 BGF 수준이 높을수록 순이익 증가율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 크게 나타났다.

한국제조기업의 해외시장진입방식 선택요인과 성과 (A Study on the Determinant of Foreign Market Entry Mode and Performance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 박태호;김석수;서민교
    • 통상정보연구
    • /
    • 제11권4호
    • /
    • pp.183-214
    • /
    • 2009
  • We identify key theoretical approaches, constructs, and primary variables of interest that exist in the foreign market entry mode articles. This provides fertile ground for continued development in our foreign market entry mode research. Using the integrated framework,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foreign market entry mode choice by Korean firms and the impact of the entry mode choice on performance in a unified model. Using a database of KIS-VALUE in Korea from 2003 to 2005, we find that the hypothesized effects of related factors on entry modes are partially supported.

  • PDF

중국 제조업 수출기업의 국제 기업가 지향성이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 흡수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Chinese manufacturing export Company on export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absorption capacity)

  • 진우이;유승훈
    • 중소기업연구
    • /
    • 제43권3호
    • /
    • pp.91-117
    • /
    • 2021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중국 제조업 중소기업의 국제기업가 지향성이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 하고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제조업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총 183개의 기업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국제기업가 지향성은 수출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국제기업가 지향성은 흡수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흡수역량은 수출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환경 역동성과 네트워크 역량이 강할수록 국제기업가지향성과 수출성과의 관계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마지막으로 국제화기간이 길수록 흡수역량과 수출성과의 관계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 중소기업은 혁신적이고 진취적이고 위험을 감수할수록 수출성과가 더욱 향상되고, 유사한 경쟁기업의 경영방식을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중소기업 경영자는 국제기업가지향성을 통한 수출성과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 시켜야 하고, 역동적인 환경에서 이러한 관계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서 기업 경영자의 흡수 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기간이 지날수록 영향력이 약화됨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기업의 해외 인수 합병의 성과 결정요인 (The Performance Determinants of Chinese overseas M&A)

  • 유승훈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4호
    • /
    • pp.79-98
    • /
    • 2016
  • 본 연구는 중국의 해외 인수 합병 현황과 영향 요인에 대한 관련 이론과 기존의 연구를 살펴본 뒤 중국기업의 해외 인수 합병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의 결과 과거성과, 인수지분율, 국유지분율, 문화적 차이는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 차이가 클수록 과거성과의 인수합병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는 중재효과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조직 연령, 수출비중, 잉여현금흐름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 PDF

Born Global Strategies and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Korean Firms

  • Che-Yung Kang;Min-Ho Kim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7권1호
    • /
    • pp.159-175
    • /
    • 2023
  • Purpose -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orn global strategy and the accounting- and market- based financial performance of Korean firms. Further,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born global firms (BGs) in comparison with non-BG counterparts in terms of size, R&D, and liability. Design/methodology - Using a database of listed Korean SM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from 2010 to 2020, this study applies panel generalized least squares (GLS) estim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techniques. Findings - This study finds that BG strategy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firm's accounting-based financial performance, while it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market-based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also finds that BGs have higher sales volume and more total assets compared to their non-BG counterparts. In addition, Korean BGs spend more on R&D, and at the same time have higher liability. Originality/value - BGs, by definition, are firms that are actively penetrating foreign markets from the early stages of their establishment. Previous studies of Korean BGs have tri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BGs' rapid internationalization and their superior performance.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have utilized either qualitative case- or survey-based analyses with relatively limited numbers of observation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is study provides more objective evidence by investigating how the BG strategy affects the financial and market performance of firms, and by characterizing BGs in terms of financial data.

중소기업의 기업가지향성, 학습지향성이 동적역량과 국제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유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Dynamic Capability on International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s of Slack Resource)

  • 류동우;김기근
    • 무역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161-179
    • /
    • 2020
  • The importance of entering the international marke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has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As a way to overcome these factors, prior studies have increased interest in dynamic cap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dynamic capability on their international performance of SMEs. Drawing on an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on dynamic capability view and internationalization, hypotheses are developed and tested using a sample of 214 SMEs in South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dynamic capa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tional performance. Seco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dynamic capability. Third, learning orienta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dynamic capability. Lastly, slack resourc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capability and intern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i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ware driver of their dynamic capability. and that their dynamic capability was significant driver of their international performance. In the final conclu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한국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환경변화 감지능력이 기업역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급진적 국제화기업과 점진적 국제화기업을 비교하여 - (A Study on the Influences to the Capabil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s of Technologically Innovative SEMs caused by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Capabilities - Comparisons of the Rapidly Internationalizing Enterprises and Gradually Ones -)

  • 김문홍;윤기창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3호
    • /
    • pp.501-525
    • /
    • 2009
  • 최근 태생적 글로벌기업(Born Globals)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들 기업의 글로벌화 현상이나 요인을 설명하는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풍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유형에 따라 글로벌시장의 환경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고, 이러한 차이는 기업의 역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여 이론적 고찰과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대상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이며, 기업의 유형을 글로벌화의 속도에 따라 태생적 글로벌기업과 비태생적 글로벌기업(Non-BGs)으로 구분한 후 공분산구조분석(CSA;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표본기업(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유형을 창업 후 6년을 기준으로 급진적 국제화기업과 점진적 국제화기업으로 분류한 후, 해외시장의 환경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이 기업의 역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AMOS 16.0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시장변화 감지역량${\rightarrow}$연구개발 경로와 연구개발역량${\rightarrow}$경영성과 경로에 있어서 급진적 국제화기업이 점진적 국제화기업에 비해 더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업 초기에 국제화를 추진하는 기업들에게 실무적 시사점과 이 분야의 학문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