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leukin (IL)-8

검색결과 670건 처리시간 0.033초

고지방식이 급여 쥐에서 수용성 뽕나무 잎 추출물의 간 microRNA-221/222 발현 및 염증 조절을 통한 간 지질 축적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water-soluble mulberry leaf extract on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high-fat diet-fed rats via modulation of hepatic microRNA-221/222 expression and inflammation)

  • 이막순;김채민;고현미;김양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2호
    • /
    • pp.227-23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ME가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쥐에서 간의 miRs와 염증 조절을 통해 간 지질 축적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4주령 수컷 Sprague-Dawley 쥐는 3 그룹 (n = 7)으로 나누어 14주 동안 10 kcal% 저지방 식이 (LF), 45 kcal% 고지방 식이 (HF) 또는 HF + 0.8% ME를 공급하였다. ME의 공급은 체중 증가를 줄이고 혈청 지질 수준을 개선하였으며 간 지질 축적을 억제하였다. 간의 지방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PPAR-γ, SREBP-1c, FAS 및 FAT/CD36의 mRNA 수준은 HF 군에 비해 ME 군에서 유의하게 하향 조절되었다. 반면, 지방산 산화에 관여하는 CPT-1의 mRNA 수준은 HF 군에 비해 ME 군에서 유의하게 상향 조절되었다. ME는 간의 염증 매개에 관여하는 TNF-α, IL-6, MCP-1 및 iNOS의 mRNA 수준을 하향 조절하였으며 혈청의 TNF-α, IL-6 및 NO 농도 또한 유의하게 낮추었다. 비알콜성 지방간의 염증상태에서 증가하는 miR-221과 miR-222의 발현은 HF 군에 비해 ME 군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ME의 간 지질 축적 억제 효과가 지질대사와 염증 조절에 관여하는 조절 인자의 개선 및 간의 miR-221/222 발현 억제와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ME는 NAFLD을 개선하는 천연물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골수생검 양성인 속립성 결핵의 고찰 (Clinical and Immunologic Features of Miliary Tuberculosis with Positive Bone Marrow Study)

  • 송광선;용석중;신계철;이원연;류정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1호
    • /
    • pp.22-29
    • /
    • 1996
  • 연구배경: 속립성 결핵환자에서 말초혈액의 변화는 골수생검상 결핵성 병변을 보인 군에서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폐결핵보다 속립성 결핵에서 세포성 면역의 변화가 심한 것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방법: 대상은 1990년에서 1994년 사이에 원주의과 대학부속 원주기독병원에 내원하여 속립성 결핵으로 진단받고 골수생검을 시행받은 환자 40예 였다. 이들을 골수생검상 결핵성 병변을 보인 양성군과 보이지 않은 음성군으로 나누어 임상상, 말초 혈액의 혈청 ADA, 수용성 인터루킨 2 수용체, 임파구 아형 분류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자의 평균연령은 39세로, 남녀는 23:17예 이었다. 2) 동반된 폐외 결핵으로는 결핵성 뇌막염이 9예, 결핵성 관절염이 6예, 결핵성 흉막염이 2예 있었다. 3) 골수검사상 60%(24/40)가 결핵성 병변을 보였다. 4) 말초혈액검사상 빈혈은 60%(24/40)가 있었으며 골수생검 양성군에서 11예 음성군에서 13예였고, 백혈구감소증은 12%(5/40)로 양성군에서 4예 음성군에서 1예였고, 혈소판 감소증은 10%(4/40)로 양성군이 3예 였다. 5) 혈청 ADA는 평균 83 U/L로 양성군에서 90 U/L, 음성군에서 70.6 U/L 이었다(p=0.23). 6) 혈청 가용성 interleukin 2 수용체 활성도는 평균 4,643 pmol/L 였으며 양성군에서 $6,840{\pm}7,446\;pmol/L$(n=10), 음성군 $1897{\pm}1663\;pmol/L$(n=8)으로 양성군에서 더 높았다(p=0.06). 7) 혈청내 T 임파구 아형분류에서 총 T 임파구는 평균 64%으로 양성군에서 $62{\pm}19%$(n=18), 음성군에서 $73{\pm}10%$ 였고(n=7)(p=0.2), $T_4/T_8$ ratio는 평균 $1.16{\pm}0.5$으로 양성군에서 $1.14{\pm}0.5$, 음성군에서 $1.18{\pm}0.5$였다(p=0.8). 8) 일부 환자(9예)에서 BAL의 T 임파구 아형분류을 시행하였으며 $T_4/T_8$ ratio는 $1.97{\pm}1.2$으로, 말초혈액소견과 비교하여 더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속립성 결핵의 골수생검 양성률은 60% 였으며, 골수생검상 결핵성 병변을 보인 군에서 말초혈액내 변화와 세포성 면역의 변화가 더 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피부각질세포에서 치자백피탕(梔子柏皮湯)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hijabaegpi-tang on Atopic Dermatitis in TNF-α/IFNγ-induced HaCaT Cells)

  • 은소영;윤정주;김혜윰;안유미;한병혁;홍미현;손찬옥;나세원;이윤정;강대길;이호섭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26-231
    • /
    • 2018
  • Chijabaegpi-tang (CHG) is an oriental herbal medicine that has been used for its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which includ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immunoregulation activit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ich skin inflammations are involved in the $TNF-{\alpha}/IFN{\gamma}$-induced HaCaT cells. We investigated the suppressive effect of CHG on $TNF-{\alpha}/IFN{\gamma}$-induced HaCaT cell production of the following chemokines: 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CCL22; 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cell expressed and secreted (RANTES)/CCL5; and interleukin-8 (IL-8);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CCL17. The pre-treatment of HaCaT cells with CHG suppressed $TNF-{\alpha}/IFN{\gamma}$-induced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kappa-B ($NF-{\kappa}B$). In addition, CHG inhibited $TNF-{\alpha}/IFN{\gamma}$-induced phosphorylation of ERK and p38. $TNF-{\alpha}/IFN{\gamma}$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skin barrier proteins, including filaggrin (FLG), Involucrin (IVL) and loricrin (LOR). By contrast, CHG restored the expression of FLG, IVL and LOR.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CHG could be a therapeutic agent for prevention of skin disease, including atopic dermatitis.

호중구의 자연 세포사멸 및 세포사멸 지연에 대한 Brefeldin A의 영향 (Effects of brefeldin A on spontaneous and delayed apoptosis of human neutrophils)

  • 김재석;이민정;이창민;이상화;배외식;곽종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52-459
    • /
    • 2002
  • 호중의 세포사멸은 자연적으로 일어나지만 여러 자극에 의한 신호에 의하여 증가하거나 지연된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내 단백질 분비과정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BFA가 호중구의 자연 세포사멸 및 세포사멸 지연에 어떠한 기작으로 작용하는가를 연구하였다. 호중구의 세포사멸은 사람 말초 혈액으로부터 분리하여 세포 배양 20시간 후 형태 변화, annexin V and propidium iodide의 염색, 및 DNA 전기영동 등으로 조사하였다. BFA는 농도 의존형으로 호중구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킨다. CM-CSF나 LPS에 의한 세포사멸의 지연도 BFA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그러나 BFA의 영향은 db-cAMP, dexamethasone, 및 IL-8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PKC-5의 억제제인 rottlerin에 의한 세포사멸의 지연은 BFA에 의하여 감소하였다. 그러나 BFA에 의한 세포사멸의 유도는 caspase-3 억제제인 zDEVD-fmk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편, 세포사멸 억제에 관여하는 Mcl-1 단백질의 발현은 BFA의 처리에 의하여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들은 세포 내 단백질 분비 과정의 억제가 호중구의 세포사멸에 관여하며 이들의 작용은 Mcl-1 발현의 조절에 의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Effect of a Mixture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omers on T Cell Subpopulation and Responsiveness to Mitogen in Splenocytes of Male Broiler Chicks

  • Takahashi, Kazuaki;Kawamata, Kenji;Akiba, Yuki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954-961
    • /
    • 2007
  •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a mixture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omers on T cell subpopulations and responsiveness to mitogen of splenocytes in male broiler chicks. In experiment 1, birds (8-d old) were fed basal, CLA-(CLA) and safflower oil-supplemented (SA) diets which were formulated by supplementary 10 g CLA or safflower oil/kg to the basal diet for 14 d. Broiler starter diet, which mainly consisted of corn and soybean meal, was served as the basal diet. Proliferative response and interleukin (IL)-2-like activity stimulated by concanavalin (Con) A at a concentration of $10{\mu}g/ml$ of splenocytes in chicks fed the CLA diet were greater than in chicks fed the SA diet, but not at $20{\mu}g$ Con A/ml. Percentage of CD3-positive T cells in splenocytes did not differ between chicks fed the SA diet and CLA. Ratio of CD4-positive T cells to CD8- positive T cell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fat source. In experiment 2, broiler chicks (1-d old) were fed the same diets as in experiment 1 for 14 d. Results of splenocyte proliferation to Con A were similar to those in experiment 1, but phytohemaggulutinin (PHA)- or pokeweed mitogen (PWM)- induced splenocyte prolifera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CLA and SA fed groups. Supplementation with SA or CLA to the basal diet tended to have a depressive effect on the proliferation, with the greater effect being that of SA. In experiment 3, effect of an addition of CLA to splenocyte culture medium on splenocyte proliferation was determined. An addition of CLA to the culture medium resulted in reduction of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to Con A, but an addition of linoleic acid. When PWM and PHA were used as mitogen, the inhibitory effect of CLA and linoleic acid on the proliferation did not diff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dietary CLA on splenocyte proliferation was similar to that of SA, although the effect of dietary CLA on sub-populations wa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dietary S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whether use of CLA would be beneficial for maintaining or enhancing T cell immunity in chicks.

Effects of plant-based Korean food extracts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vitro

  • Lee, Sun Young;Kim, Yoo-Sun;Lim, Ji Ye;Chang, Namsoo;Kang, Myung-Hee;Oh, Se-Young;Lee, He-Jin;Kim, Hyesook;Kim, Yur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3호
    • /
    • pp.249-256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The traditional Korean diet is plant-based and rich in antioxidants.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individual nutrients of Korean foods. However, the cumulative effects of a Korean diet on inflammation remain poorly understoo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 plant-based Korean diet. MATERIALS/METHODS: Using data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75 individual plant food items were selected which represent over 1% of the total diet intake of the Korean diet. These items were classified into ten different food groups, and the vegetable (Veg) and fruit (Fruit) groups were studied based on their high antioxidant capacity. For comparison, a mixture of all ten groups (Mix) was prepared. To produce a model of inflammation with which to test these Veg, Fruit, and Mix plant-based Korean food extracts (PKE), RAW264.7 macrophages were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RESULTS: Levels of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 ($PGE_2$), as well as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were found to be lower following PKE treatment. Furthermore, PKE treatment was found to suppres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terleukin-6 (IL-6) via the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kappa-B ($NF-{\kappa}B$) signaling pathway. Overall, the Mix group exhibited the greatest anti-inflammatory effects compared with Veg and Fruit PKE group. CONCLUSIONS: Inhibition of LPS-induced pro-inflammatory mediators by the PKE tested was found to involve an inhibition of NF-kB activation. Moreover, PKE tested have the potential to ameliorate various inflammation-related diseases by limiting the excessiv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Effects of Solvent-extracted Fractions from Salicornia herbacea on Anti-oxidative Activity and Lipopolysaccharide-induced NO Production in Murine Macrophage RAW264.7 Cells

  • Lee, Whi-Min;Sung, Hye-Jin;Song, Jae-Chan;Cho, Jae-Youl;Park, Hwa-Jin;Kim, Suk;Rhee, Man-H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61-168
    • /
    • 2007
  • Salicornia herbacea L. (Chenopodiaceae: S. herbacea) is a salt marsh plant, which has long been prescribed in traditional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intestinal ailments, nephropathy, and hepatitis in Oriental countries. In order to elucidate the mechanisms of this herb, we conducted an anti-oxidative activity,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the suppression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s, with the solvent-extracts of S. herbacea. We found that both ethyl acetate and n-butanol tractions showed potent anti-oxidative effects in comparison to other fractions using xanthine oxidase assay with $IC_{50}$ values of $66.0{\pm}0.5\;{\mu}g/ml$ and $82.5{\pm}3.8\;{\mu}g/ml$, respectively. In addition, both ethyl 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showed more electron donating activity (EDA) than other tractions, according to DPPH (2, 2-Diphenyl-lpicrylhydrazyl radical) assay. The EDA of ethyl acetate fraction ($IC_{50}$ values of $117.5{\pm}3.8\;{\mu}g/ml$) i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n-butanol fraction ($IC_{50}$ values of $375.0{\pm}12.5\;{\mu}g/ml$). Among potential anti-oxidative tractions, ethyl acetate traction dose-dependently suppressed lipopolysaccharide (LPS, $0.1\;{\mu}g/ml$)-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RAW264.7 cell, while n-butanol did not. As expected, ethyl acetate fraction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in RAW264.7 cell stimulated by $0.1\;{\mu}g/ml$ of LPS. Moreover, the ethyl acetate traction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1 $(IL)-1{\beta}$ and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mRNA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 herbacea may hav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by modulating radical-induced toxicity and various pro-inflammatory responses.

  • PDF

야관문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대장암세포의 성장억제 및 세포사멸유도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Ethanolic Extract of Lespedeza cuneata G. Don in Human Colorectal Cancer HT-29 cells)

  • 조천;김예언;한인화;윤정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11-9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야관문 에탄올 추출물의 인체 대장암세포 성장억제 효능 및 그 기전을 연구하였다. 야관문 에탄올 추출물을 0, 200, 400, $600{\mu}g/mL$ 농도로 48시간 처리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HT-29 세포에 대한 야관문 추출물의 $IC_{50}$ 값은 $554.26{\pm}8.81{\mu}g/mL$로 확인되었다. 또한 야관문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HT-29 세포에 대한 세포 성장 억제 기전을 확인한 결과 pro-caspase 3의 발현이 감소함에 따라 PARP의 분절 및 DNA 분절을 확인하고 anti-apoptotic단백질인 Bcl-2를 감소시켰으며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염증 관련 유전자 $TNF-{\alpha}$, IL-6 그리고 그의 전사인자인 $NF-{\kappa}B$는 야관문 에탄올 추출물 처리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유전자 SIRT1의 발현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야관문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따라서 HT-29의 세포 성장억제가 확인되어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야관문이 기능성 소재로서 기초적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더욱더 야관문의 질병에 대한 효능 및 기전연구가 지속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당뇨 유발 생쥐에서 Fructan이 혈당과 이당류분해효소 활성 및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uctans on Blood Glucose, Activities of Disaccharidases and Immune Func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정현진;성혜영;최영선;조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88-1194
    • /
    • 2005
  •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생쥐에서 fructan(치커리이뉼린과 치커리이뉼린올리고당, 프럭토올리고당)이 혈당, 인슐린과 소장 및 신장의 이당류분해효소 활성 및 면역능에 미 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혈당은 당뇨군들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치커리이뉼린군의 혈당이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Fructan은 혈장 인슐린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소장점막의 maltase와 sucrase활성은 당뇨군들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당뇨군 중에서 치커리이뉼린군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신장 maltase 활성은 정상군과 당뇨군이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신장 sucrase와 lactase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치커리이뉼린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LPS에 의한 비장세포증식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치커리이뉼린올리고당군이 유의 적으로 증가하여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ConA에의한 비장세포증식은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LPS에 의한 증식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비장세포로부터의 IL-2의 분비는 당뇨군들이 정상군에 비하여 낮았으나, 당뇨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당뇨 생쥐에서 프럭토올리고당, 치커리이뉼린올리고당, 치커리이뉼린을 비교한 결과, 혈당 강하에 미치는 효과가 치커리이뉼린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비장세포 증식능은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치커리이뉼린올리고당 섭취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비장세포 증식능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면역능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복분자 열매 추출물의 유용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

  • 이미경;이현수;최근표;오덕환;김종대;유창연;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2
    • /
    • 2003
  • 복분자 열매의 추출물 모두 1.0mg/ml 이하의 농도로 투여 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5%이상으로 유지시켜 시료자체에 의한 독성은 나타나지 않으며, 각 추출물의 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은 0.1 m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비교적 $40{\sim}50%$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추출물들은 0.5mg/ml 이상의 농도에서 MCF7에 대하여 78%이상, A549에 대하여서는 81%이상의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Hep3B에 대하여서는 7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GS에 대하여 에탄올 추출물들이 약 79%정도의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mg/ml 에서 1.0mg/ml 농도에서 5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복분자 열매 추출물들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기작을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시료들의 면역세포생육 증진 기능은 0.5mg/ml 농도에서 B세포의 생장을1.5배 이상 T세포의 경우 1.8배 이상의 생육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물 추출물들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면역세포의 생육 증진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cytokine의 생성측정 정도를 측정한 결과, IL-6는 물 추출물이 배양 6일째 0.5mg/ml의 농도에서 최고 70 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으며, $(TNF-{\alpha})$도 물 추출물이 배양 6일째 최고 78.8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Acridine orange와 ethidium bromide로 형광 염색하여 인간 면역T cell에 대한 세포 사멸형태를 측정한 결과 배양 3일째부터 20% 이상의 세포들이 자가 사멸 형태로 사멸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낸 복분자 추출물들을 Microphysiometer를 이용하여 암세포(Heb3B)와 정상세포(HEL299)에 대한 대사(산화)활성도의 영향을 3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 0.5mg/ml 농도의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 후 서서히 세포의 산화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정상세포에 비하여 암세포에 있어서 세포의 산화속도가 급격히 증가되었다. 각종 성인병과 관련된 효소들인 ACE, ${\alpha}-glucosidase$, GST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고혈압을 유도하는 효소인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와 생체 내에서 혈당 상승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alpha}-glucosidase$의 작용의 경우 약간의 효과가 있었으나 유의적이지 못하였으며, 간의 중요 해독기전 중의 하나인 GST(gultathion-S-transfer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mg/ml의 농도에서 GST 활성을 1.6배 정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복분자를 기능성식품으로 개발 시 면역증진기능을 야기하는 기능성을 중심으로 면역증진활성을 지닌 제품을 중점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이를 통하여 복분자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이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