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ests sharing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9초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아카이브와 이용자 간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연구 - 미국과 영국 국립기록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teractions between Archives and Users by Using Social Media - Based on the Cases of National Archives of the U.S. and the U.K. -)

  • 김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25-25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아카이브에서 운영하는 페이스북 및 트위터 게시물의 내용 분석을 통해 아카이브와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 유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아카이브 중에서 미국과 영국의 국립기록관 공식 페이스북과 트위터 게시물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5년 상반기에 등록된 미국 국립기록관 페이스북 게시물 66개와 트위터 게시물 670개, 그리고 영국 국립기록관 페이스북 게시물 73개와 트위터 게시물 84개를 수집하여 네 가지 상호작용 유형에 기반을 두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장자료 또는 온라인자원에 대한 정보공유 및 행사에 대한 정보배포가 가장 일반적인 게시물의 상호작용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1대 1의 커뮤니케이션 또는 질문지나 투표 형식의 정보수집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로 소장자료 유형의 게시물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이 높았으며 시기적인 특성에 맞는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였다. 이용자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호작용 유형을 고려하고 시의적절한 기록물을 발굴하여 기존의 웹 자원과 기록콘텐츠 및 다양한 소셜미디어와 연결시켜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자 접속요인 비교분석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n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access : Based on Twitter, Facebook, KakaoStory)

  • 홍삼열;오재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9-16
    • /
    • 2012
  • 2009년 아이폰이 수입되면서 트위터와 페이스북이라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국내에 알려지게 된 이후 국내에서나 국외에서 폭발적인 성장을 가져왔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 개통한 카카오스토리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시장에 가세하면서 국내에서는 단 시간에 선두를 달릴 만큼 성장하였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인터넷 상에서 공통의 관심사를 지니고 있는 사용자들 간의 관계형성을 지원하고, 이렇게 형성된 지인 관계를 바탕으로 인맥 관리, 정보 및 콘텐츠 공유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다양한 콘텐츠와의 결합을 통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된 지인 관계를 기반으로 공유와 배포를 원활하게 하는 주요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등 몇 가지의 공통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가 각각의 서비스에 접속할 때는 서비스마다 특별히 강한 접속요인을 가지고 있다. 이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를 모두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자료를 통계 내어 사용자 접속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사용자들의 목적에 따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선택하는 기준이 되고, 새로운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서비스를 발전시키는데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소셜시대의 윤리 중 하나의 덕목인 신뢰형성과 관련한 연구를 위해서도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에 나타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적(無自性的)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 셰어하우스 공용공간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Non-Characteristic Spac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Shown in Public Space of Sharehouse)

  • 윤득근;김개천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9권
    • /
    • pp.515-525
    • /
    • 2015
  • 급속한 1인가구의 증가함에 따른 1인 소비, 1인 경제의 개념이 강조되는 현재 한국은 1인 가구 비율이 25.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이러한 급격한 증가와 비례하여 수도권의 주택문제와 더불어 이기주의, 개인이 느끼는 외로움, 범죄와 같은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대한 대안의 움직임으로 공동체와 커뮤니티 문화, 그리고 공간의 공유와 나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셰어하우스 문화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각 매체에서도 셰어하우스와 같이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내용이 자주 등장한다. 일본에 많이 보급되고 익숙하게 받아들여지는 셰어하우스는 경제적 부담을 줄일 뿐 만 아니라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등 경제적 이점을 넘은 공유가 주는 이점을 대변하는 삶의 방식이다. 본 연구는 셰어하우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공간을 사용하는 상황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 이를 공동생활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황이 발생하고 이를 자연스럽게 수용했던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셰어하우스의 공간을 분석하고자 한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Christian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 유은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2권
    • /
    • pp.293-316
    • /
    • 2022
  • 연구 목적 : 본고는 오늘날의 기후환경 및 생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지속가능발전'(SD)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그것이 가진 모순을 드러내고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이 자족과 청빈, 나눔과 정의의 영성을 함양하는 영성교육이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이를 위해 먼저 심화되는 환경문제와 이를 타개하기 위한 국제적 공조의 노력과 한계를 고찰한다. 실제로 기후환경과 관련된 국제협약들은 경제적 이익을 포기하지 못하는 강대국들의 탐욕으로 인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녹색혁명'의 이상과 현실 간의 차이로 인해 지속가능한 사회는 요원해졌다. 이런 상황에 직면해 기독교 신학은 그동안 인간 중심적이고 영과 육의 이원론에 근거한 내세 중심적인 고전 신학의 한계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신학적 패러다임을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런 신학적 성찰들을 통해 기독교교육은 창조 세계의 회복을 위해 본질적으로 인간의 탐욕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초점을 맞춰 영성교육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결론 및 제언 : 이에 본고는 자족과 청빈, 나눔과 정의의 영성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이를 훈련하기 위해 인간의 탐욕에 대한 깊은 신학적 성찰과 회개, 피해자 목소리의 경청, 소비의 절제, 대안적 사례 연구, 피해자 입장에서 진실을 밝히는 결단력 있는 행동을 제안한다.

패션 브랜드 이미지 기반 SNS가 플로우,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 감정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mage Based Fashion Brands' SNS Toward Flow and Brand Attitude : Focus on Pleasure Emotion as Mediator)

  • 고전미;신지예;고은주;채희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08-920
    • /
    • 2014
  • As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users' needs and wants have become more diverse, SNS is designe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and functions. As a result, an image based SNS with the purpose of sharing various interests has emerged. More and more fashion companies are using image based SNS to use it as a medium to better communicate with their custom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usage motivation of image based SNS with the emotion of pleasure as the mediator and its impact towards flow and brand attitud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we conducted a pilot test on 8 image based SNS heavy users, and followed through with 215 questionnaires which were collected via onlin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ch usage motivation of image based SNS had significant effect on each pleasure. The visual impact had a positive effect on sensory pleasure and the common interes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user's affective preference. Curating, simplicity and interconnec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pleasure. Affective and cognitive pleasures except sensory pleasure positively impacted the user on flow. The cognitive pleasu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Lastly, flow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This study is the foundation of the image based SNS academically in the new media research. Furthermore, it suggests managerial implications of a company to provid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o make the best use of image based SNS.

IPTV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위한 개인화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Personalization for Social Network Service in IPTV)

  • 김현석;김소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884-887
    • /
    • 2009
  • 웹을 기반으로 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Social Network Service)는 비약적 발전을 거듭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관계/관심에 기반 한 서비스로 사람들의 참여와 관계에 의해서 Data가 쌓이고 이를 통해 다시 지속적인 참여와 관계를 유도하는 방식의 SNS는 웹을 기반으로 시작하여 모바일시장으로 확장되었다. 모바일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SNS 사업모델의 개발은 모바일이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행태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창출에 그 요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TV를 활용한 SNS 개발이 IPTV 사업자를 중심으로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SNS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인 TV에서의 개인화는 TV의 공공적 성격에 의해 연구의 진행이 미진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IPTV에서의 개인화 방안을 사용자 행태분석을 통해 연구하고자 한다. TV의 개별 사용자를 위한 개인화는 PC나 모바일 기기와의 개인화와는 다른 방식의 개인화를 요구한다. 따라서 개별, 가족구성원 그룹별, 가족구성원 전체별로 개인화의 유형을 분리하고 이에 대한 행태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공재 성격이 강한 TV에서의 개인화는 크게 개인화의 정도, 개인화의 유형, 개인화의 표현방식, 개인화의 구성방식에 있어서 PC나 모바일 기기와 다른 차이점이 있었다.

  • PDF

예술인들을 위한 공모전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petition Application for Artists)

  • 김효수;최유순;정석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07-113
    • /
    • 2018
  • 본 논문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예술인들에게 공모전 활동과 인력,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며, 그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모전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예술인들은 공모전 활동이 매우 중요한 반면, 작업에 몰두하여 시간의 부족으로 공모전 정보를 일일이 탐색하기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이들에게 관심분야에 적합한 공모전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함으로써 창작활동에 더욱 몰입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핵심기능은 공모전 게시판을 통하여 예술인들이 실시간으로 공모전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부수적으로 예술인들의 작품 매매와 재료, 미술공구 구매를 위한 스푼마켓 등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치과 의료 인력과 치과기공사의 업무협력에 대한 인식 - 치과기공사 중심으로 - (Perception of Dental Personnel and Dental Technicians o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 Focus on Dental Technicians -)

  • 김정숙;이혜은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9-12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help to enhance the measures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between Dental personnel and dental technicians, and between dental technicians themselves through the analysis of recognition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between dental technicians.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0 dental technicians who were self-written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12.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d Correlation.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question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recognition of dental technicians, the group which received criticism from dental personnel showed negative (-) correlation in th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recognition (p<0.05). The following groups showed positive (+) correlations in the recognition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 the group who replied that they can utilize information on the patients associated with the prosthesis production (p<0.01); the group who thinks that they are sharing common goals (P<0.01); and the group who replied that Dental personnel are familiar with patients (p<0.01). The following groups also showed higher positive (+) correlations in the recognition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 the group who replied that they frequently discuss patient's information with Dental personnel (p<0.01); the group who thinks they have mutual confidence in one another (p<0.01); the group who thinks that cooperation among their colleagues in dental technique laboratories are being done well (p<0.01); and the group that has high job satisfaction (p<0.01). Conclusion: Effective communication and team work between human resources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of the facility are essential for safe and high-quality medical service to patients. Further, such elements are directly connected to efficiency of the entire team. The reliability between dental technician and Dental personnel for cooperation should not be neglected therefore continuous interests in inter-cooperative partnership is required.

주민참여에 의한 마을마당설계 -서울 동작구 사당동 양지공원- (Community Participatory Neighborhood Park Design -In the Case of Yangi Park in Sadang-dong, Seoul-)

  • 김성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61-69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case of community participatory neighborhood park design. The site, Yangji park, is located in Sandang-dong, Dongjak-gu, Seoul and the area is about 1,870m. Neighborhood park is defined as an outdoor space which is close to people´s home and is considered to be their own, because of the residents´ collective responsibility, family association, and frequent shared use. It is a place for pleasant rest area for community, sharing a sense of nature and retaining a sense of tradition and culture which is disappearing in a city. It is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the people near the site and becomes a place to let the community increase dialogue and understanding between people. On the other hand, participatory design is a design in which people participate in the design process. Thus people can understand the project well, present their opinions better, and reconcile conflicts between the different interests of people. This design applied a community participatory design method to design a neighborhood park. The major strategies for participatory design were ´workshop´, ´card game´, ´walking site´, ´interview´, and ´questionnaire´. Eight workshops were performed for the participation design. The major spaces and facilities elected by participants were the ´main entrance plaza´, ´entrance symbol space´, ´children´s ´playground´, ´multipurpose sport ground´, ´grass land´, ´foot-pressure area´, ´spaces symbolizing a rock mountain and an old well´, ´space for youth´, ´a pavilion´, etc. From this selection, design concept alternatives were generated by participants. The aster plan was developed from these design alternatives with the help of landscape architects. It was revised by ist visits and community discussions. People were also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left their own works, such as hand prints, on the site. After construction, residents continued to maintain the park by themsel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ory design was very effective for people´s satisfaction and sustainable park management. By involving people more in the process they developed a sense of community, a sense of ownership, and attachment to the place.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develop an effective people´s participation method to Korean society.

  • PDF

임무분리와 역할 계층구조를 고려한 대칭 RBAC 모델 (Symmetric RBAC Model that Takes the Separation of Duties and Role Hierarchies into Consideration)

  • 문창주;박대하;박성진;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0권12호
    • /
    • pp.699-707
    • /
    • 2003
  • RBAC은 기존의 DAC과 MAC보다 진보된 접근 통제 방법으로 받아들여진다. RBAC 모델의 권한-역할 부분은 사용자-역할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칭 RBAC 모델에 대한 연구도 시작 단계이다. 따라서 역할에 적합한 권한을 배정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한 권한 배정 제약조건들을 보완한 대칭형 RBAC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대칭형 RBAC 모델은 임무분리와 역할의 계층구조를 고려한 권한 배정 제약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역할의 이해관계 충돌과 권한의 공유와 통합을 권한배정에 반영하고 있다. 또한, AND/OR 그래프를 통해 동적인 권한간의 선행관계를 규정하는 제약조건을 표현함으로써 권한들의 복잡한 선행관계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제안한 대칭형 RBAC 모델의 권한 배정 제약조건들은 권한 배정시 지켜야하는 규칙들을 적절히 명세함으로써 권한 배정의 오류를 감소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