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ve teaching/learning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1초

과학교육에서 가상현실 기법의 활용 모색 (Exploring Application Ways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Science Education)

  • 심규철;박종석;김현섭;김재현;박영철;류해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25-737
    • /
    • 2001
  •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very useful for the 21C science education, and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science education. One of these computer-based technologies, virtual reality, is possible to use in many directions. It is a new communication medium that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and is usually identified by a collection of technological hardware. Virtual reality is defined as a highly interactive, computer-based, multimedia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becomes the participant, with the computer in a virtual real world. A key feature of virtual reality is real-time interactivity, in that the computer is able to detect user inputs and instantaneously modify the virtual world. It is being used in a wide variety of fields including physics, chemistry, human biology, biomedical sciences, military, architecture, industry and the entertainment. In classroom, using scienc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by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increase the interests of students, promote understanding of basic science concepts, help laboratory skills, and encourage creative learning for them.

  • PDF

웹2.0 기반의 온라인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online robot programming education system based on Web 2.0)

  • 성영훈;하석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3-23
    • /
    • 2010
  • 정보화 시대의 개인의 개성과 창의력은 지식산업에 요구되는 시대적 요청이다.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의 측면에 있어 의미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존의 로봇프로그래밍 도구들은 텍스트 기반 혹은 GUI 기반 저작도구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도구들은 상호작용기능이 없는 단순한 튜토리얼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 2.0의 상호작용 기술을 응용하여, 협력 코드 생성이 가능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시스템이 제공하는 협력코드 생성기능을 통해 학습자들은 협력하여 로봇 프로그래밍을 생성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은 지식공유 기능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프로그램 디자인의 경험과 소스코드의 공유가 가능하다.

  • PDF

온라인 적응형 화성학 학습을 위한 학습관리시스템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Adaptiv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Harmony)

  • 박종원;김동삼;김준호;송무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39-145
    • /
    • 2020
  •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ICT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은 이미 우리 생활에 빠르게 정착하고 있다. 음악 교육은 오프라인 기반의 환경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온라인 교육에 시공간 제약이 없다는 점, 학습자 주도의 쌍방향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교육 방식을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적응형 학습이 가능하도록 '화성학' 학습 시스템을 제안, 설계, 구현하는 일련의 과정을 담는다.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LMS 기반의 플랫폼을 제공하여, 경제적·지리적 요인에 해당하는 사회적 교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온라인 적응형 화성학 학습 시스템이 자동으로 제공하는 객관적인 학습 피드백과 교수자의 학습 피드백을 모두 제공한다. 셋째, 학습자가 자신이 학습한 화성학 문제에 대한 추천 답안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을 활용한 온라인 적응형 화성학 학습 시스템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과학적 탐구학습을 지원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for Augmenting Scientific Inquiry Learning Environments)

  • 임재원;김석환;조용주;박경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5B권2호
    • /
    • pp.95-102
    • /
    • 2008
  • 상호작용적인 가상현실 기술은 실제 환경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흥미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과학적 탐구학습에도 적극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특정 교안에 대한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다른 교안을 위한 탐구학습가상환경 개발에 쉽게 활용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탐구학습 가상환경의 개발을 도와주는 통합적인 가상현실 시스템 SASILE (System for Augmenting Scientific Inquiry Learning Environments)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가상현실을 활용한 과학적 탐구학습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 제안하는 시스템의 구조와 구현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모양성에서 한옥에 나타난 대류현상에 대한 과학적 탐구학습 환경 개발 사례와 가상환경 화성 암석의 성분을 측정하여 운석이 떨어진 곳을 찾는 화성 탐사 개발사례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이 시스템의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한다.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수학과 원격수업의 만족도 및 수학학습과의 연관성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Mathematics Online Class and its Relationship with Mathematical Learning in Corona-19)

  • 김홍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341-358
    • /
    • 2021
  • 2020년 처음 발생한 코로나는 사회 전반에 많은 변화를 초래했다. 이러한 변화에 있어 교육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학교에서는 사상 유례없는 온라인 개학을 시행했고 학생들과 교사는 충분한 준비 없이 원격수업에 참여해야 했다. 원격수업과 관련하여 관련 자료 개발, 만족도 조사와 같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실제 학교 현장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부터 원격수업에 참여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원격수업의 방식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원격수업 만족도와 수학학습과 관련된 하위요소들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수학 교과에서는 원격수업이 대체로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학생들은 수학학습에 만족을 느꼈다. 하지만 원격수업을 지속해야 하는 것의 문제에 있어서 어느 정도 상반된 의견을 표명하였다. 또한, 통계분석 결과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수학학습 의지, 전략, 수학에 대한 가치, 학습의욕 등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습자 참여도 정보기반 가상강좌 출석평가 모델 (Attendance Appraisal for Learner Participation Degree Based Virtual Lecture)

  • 김현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19-129
    • /
    • 2009
  • 최근 컴퓨터 보급의 대중화와 초고속 통신망 사용의 보편화는 전통적인 교육형식에 많은 변화를 주는 계기가 되었다. 그 중에서도 웹 기반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 기술,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상호작용 등은 시 공간을 초월한 가상교육 등장에 촉진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져 학습지도, 학습평가, 피드백 등의 학습수행 측면에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상강좌의 학습평가요수 중 하나인 출석평가에 대해 학습자 참여도를 기반으로 평가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학습자 참여도란 개설된 가상교육에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 정도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학습자 참여도 기반 출석 평가모델은 교수자에게는 자동화된 출석평가 기능을 제공하며, 학습자에게는 가상강좌의 능동적인 참여 동기유발 효과를 기대한다.

지식정보화사회에 었어서 ICT 활용을 위한 교수전략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 이경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6
    • /
    • 2002
  • 정보와 통신공학의 발달에 따른 지식정보화사회에서 교육 특히 교수 학습과정이 중심이 되는 교실수업은 정보통신공학(ICT)을 활용함으로써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 그 자체가 지식정보사회의 교육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ICT와 교육환경과의 상호작용, 교사역할의 변화, 지식정보사회에 필요한 교수내용과 학습방법을 위한 교수전략 변화 등이 있어야 하며, 그 방향과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가 뒤따라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학교교육과 정보공학과는 어떠한 관계에 있으며, 지식기반사회의 중심에 있는 정보통신공학들을 학교교육에서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변화와 교수전략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외국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7차 교육과정을 위한 ICT 환경을 살펴봄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식정보화 사회의 교육을 위해서는 교실환경과 정보통신공학이 상호작용하는 환경이 되어야 하고, 둘째 ICT 교실이 만들어내는 구성주의적 교수 학습과정에서 교사는 지식전달자와 학습관리자 중심의 역할에서 벗어나 사회적이고 대화적인 사고과정을 추진하며 정보통신공학을 교수에 통합시키는 교육적 접근을 해야 하며, 셋째 비판적 사고 생산적 사고 창조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교수전략을 구사해야 된다고 제안하였다.

  • PDF

인체공학적 패턴 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수법 제안: 3D 모델링 기반으로 제작한 Half Scale Body Form를 이용하여 (Introducing a New Pedagogical Approach for Ergonomic Pattern Education: Leveraging a Half-Scale Body Form Based on 3D Modeling)

  • 천린;홍유화;박주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8-87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n innovative teaching pedagogy using a half-scale body form in apparel design education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in augment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ergonomic patterns. Constructed in alignment with Phoenix's (2018) study, which used 3D body scanning and digital editing software, the half-scale body form was created through a five-step process, encompassing body measurement, 3D body modeling, fabrication of a physical half-scale body form, pattern making, and evaluation. Implemented in an undergraduate patternmaking course offered at a 4-year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Seoul, this instructional approach's effectiveness was gauged through students' course projects and exit interviews. The results underscored the positive impact of the proposed teaching pedagogy on students' grasp of ergonomic pattern development, fostering a keen understanding of diverse body shapes and siz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ody and garments. Furthermore, it played a role in cultivating positive body image and self-endorsement among students. The research contributes meaningfully by presenting a fresh perspective in apparel design education, seamlessly integrating advanced anthropometric and technological tools into a conventional patternmaking classroom. It offers a novel learning experience for students majoring in apparel, creating a fun and interactive teaching environment.

웹기반의 교육체계를 위한 멀티미디어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ultimedia Contents for the Web-based Education System)

  • 정원주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31-38
    • /
    • 2001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s a development of multimedia contents for the web-based education system. With the comming new millenieum, we have a lot of experience in pluralistic society. especially we are affected by multimedia data with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at is we are a lot influenced by multimedia data. This study is to explore multimedia contents which have still and dynamic. With this discussed, teaching and learning from multimedia contents makes learners construct meaning knowledge through the seeing and hear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thus we need to include the multimedia education in a curriculum.

  • PDF

초·중등학교 교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활용과 표준 개발 환경 (Development of Standard Multimedia Studio for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Contents)

  • 안미리;황대준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권1호
    • /
    • pp.1-15
    • /
    • 2002
  • New media is an emerging industry sector. It sits at the nexus of what has become a main vehicle of the Knowledge Based Economy. the crossroads where the use of interactive multimedia technology meets the traditional uses of media. The current Education information Act provided school with PC, multimedia labs and connection to internet. Having such a facility in schools encourage teachers and students to use computers more often. Teachers demand for more educational multimedia contents than they can find in the market. Although there are many good contents, teachers find them unfit or inflexible for their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standard multimedia studio facilities to develop multimedia content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guidelines for schools to facilitate their multimedia studio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developing contents for effective use of their facil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