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ve design

검색결과 1,237건 처리시간 0.038초

인터랙티브 TV에서 EPG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PG User Interface Design in Interactive TV)

  • 김은신;김종기;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558-562
    • /
    • 2004
  • Interactive TV의 주요 특징으로 고품질, 다채널, 다기능, 양방향성, 지능형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다채널화로 시청자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얼마나 쉽게 빨리 찾을 수 있을 것인가가 문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EPG(Electronic Programing Guide) User Interface Design을 함에 있어 레이아웃, 컬러, 텍스트, 아이콘 등의 시각적 요소들과 네비게이션이 잘 구성되어야하고 디지털방송시스템의 기능적인 구조적 특징들이 잘 어울려질 때 진정한 EPG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탄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방송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EPG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분석하고 Interactive TV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하여 문헌을 통한 연구를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EPG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들어감에 있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개발하여 시청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하여 Interactive TV와의 대화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EPG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EPG를 User Interface Design함에 있어 하나의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 PDF

어린이를 위한 체감형 스포츠 게임 디자인 연구 (A Study on Design of Physically Interactive Sport Game for Children)

  • 백희원;고일주;방그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1-46
    • /
    • 2018
  • 체감형 스포츠 게임은 도심 생활 어린이들의 신체활동을 늘릴 수 있는 방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기존의 체감형 스포츠 게임 연구들은 성인 대상이 대부분이며, 어린이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어린이를 위한 체감형 스포츠 게임 요소는 일반적인 체감형 스포츠 게임과 어린이 디자인의 공통 요소를 도출한 것이다. 도출된 요소는 실제 게임 종목에 적용하여 어린이용 게임을 제작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출된 어린이용 체감형 스포츠 게임 요소인 몰입감, 상호작용, 신체활동을 적용한 어린이용 스크린 클라이밍 게임을 제작하였고, 사용자평가를 통해 요소가 적절히 적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어린이를 위한 체감형 스포츠 게임 요소를 활용하여 보다 어린이의 특성을 고려한 게임을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청각장애인 간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터랙티브 스마트의류 개발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Smart Clothing for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 임미지;김윤희;이재정
    • 복식
    • /
    • 제66권2호
    • /
    • pp.61-7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teractive smart clothing based on visual and tactile sensitivities to promote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study analyzed various cases of interactive smart clothing, different non-verbal communication tools, as well as results of user demand survey to extract essential factors. Then these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technology or design concept. The technological aspect of the development considered the following factors: the usability, detachability, purposiveness, and economic feasibility. The design aspect considered the following factors: the usability, detachability, formativeness and wearability. A prototype was designed considering the user's requirements. The developed prototype had sensors, Bluetooth technology, and gave access to wireless communication in order to enable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복합재 구조물의 동시공학 설계최적화 (Concurrent Engineering Design Optimization of Composite Structures)

  • 김건인;이희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6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04-312
    • /
    • 1996
  • Concepts, methods and tools for interactive CAD-based concurrent engineering design optimization of mechanical/structural systems and components which are critical in terms of cost development time, functionality and quality, are presented. The emphasis is on implementation of methods and capabilities for the optimization of composite structural system, and the integration of design process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composite structures into standard CAD-based concurrent engineering environment The optimization of composite fuselage structures are performed under concurrent engineering environment for the example.

  • PDF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통한 이용자 공간 지각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Space Perception through the Use Dewey's Theory of Experience)

  • 고귀한;김정곤;강민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00-107
    • /
    • 2013
  • In smart era, concept of User experience has been an important issue both in academic and practical areas in recent years. Interactive space became one of the major design paradigms. For elevating the interactive effect, we need user?centered design methodology which uses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As, well developed information technology made a lot of changes to various fields of our society, interactive space with the concept of HCI became a big issue in environmental design field. In this interactive space, various types of informative factors of the given space are sent using sensor and computer networking technology to the main system. So, a user's movement in the space in more than just a movement itself-user's movement now forms a important spatial structure that leads the narrative of the space. in this research, I will come up with the problems that the interactive space has right now, and analyze what the public space must have, and combine them with interactive space by HCI theory. architecture space is not the old space adapting digital technology. In order to take the role as new space paradigm. environment and technology, it has to develop technology continuously and experimental space at the same time. It must have co-evolution of architecture space field and others through organic network. by that, the evolution of space will be in the way that combines space which is responded to human emotion and user centric human friendly.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위한 청각데이터의 시각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ditory Data Visualization Design for Multimedia Contents)

  • 홍성대;박진완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95-204
    • /
    • 2005
  •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점차 디자인(예술), 미디어, 과학 분야는 개인화과 함께 맞춤형(customization) 추세로 가고 있다. 기존 대중매체는 기술 및 경제적 제한요인으로 인하여 대중에게 일방적으로 뿌려지는 형태를 띠었고, 예술작품 또한 일정한 전시 공간 또는 무대에서 일방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소통 해왔다. 그러나 현재의 상품(또는 예술품)은 관객, 시청자 또는 소비자의 직접적인 참여가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할 특징이다. 각각 미디어나 예술을 소비하는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상품을 다르게 만들 수 있게 되었는데 기술의 핵심은 '인터랙티브 기술'이다. 이에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념을 '정보혁명' 측면에서 살펴보고, 다음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분석의 과정으로 시청각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접근을 상호작용의 정보 구조로 모색해 보며, 문제 해결의 방안으로서 오디오에서 시각적으로 표현 될 수 있는 음량 및 주파수를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여 오디오의 추출 값을 비주얼로 표현하는 연구 과제로 최종결과물은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작품 형태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인터랙티브 디자인이 우리시대에 더욱 긴밀하고 새로운 소통의 방법을 제시하며, 더 넓은 의미의 '상호소통'을 촉진시킬 수 있다면, 디자인이 갖는 본래의 기능들에 일조 할 뿐만 아니라, 미래 디자인의 예측에 있어서도 더욱 다양한 방법과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PDF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LCL필터 최적 설계기법 (Optimized LCL filter Design Method of Utility Interactive Inverter)

  • 정상혁;최세완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03-109
    • /
    • 2013
  • The conventional LCL filter design method of the utility interactive inverter considers only harmonics attenuation of the current injected to the grid. However, in case of utility-interactive inverter with critical load the voltage quality of the critical load should also be considered for LCL filter design. Also, considering cost and volume of LCL filters. it is important to have minimum values of inductance and capacitance as far as the harmonic standards are satisfied. In this paper a LCL filter design method is proposed to satisfy not only the harmonic standards of the grid current during the grid-connected mode but the voltage quality of the critical load during grid-connected mode and stand-alone mode. With the proposed method optimized values of LCL filters could be obtained by applying weighting factor to voltage ripple across the critical load, inductor volume, amount of reactive current and system bandwidth.

Interactive Digital Signage에 광고의 마케팅이 소비 경향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Impact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Advertising on Consumption Tendency)

  • 양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411-417
    • /
    • 2020
  • 본 연구는 옥외 Interactive Digital Signage 의 Interactive 광고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옥외 Interactive Digital Signage 의 광고를 전통적인 형태의 광고와 비교하여 소비하는 경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문헌 자료와 실 사례 분석의 연구방법으로 선행 연구는 아울러 인터넷 및 인공지능의 발전이 Interactive Digital Signage 광고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비 추세와 습관을 결합하여 Interactive Digital Signage 광고의 특징과 199IT Interactive Digital Signage 인터넷 자원 데이터 창고의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실례 분석 방법으로 Interactive의 광고에 소비자의 소비 경향 영향의 3가지 요인이 있다는 것을 제출한다. 목적은 이후 기업이 Interactive Digital Signage를 사용하여 광고 투자에 대한 참고를 진행한다. 기업을 도와 생산품의 판매량을 높이고, 상품 가치와 거래처에게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를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