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on of small group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19초

초등학생 소집단 활동에서 성별 구성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과 안정성 분석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Types and Stability according to Gender-Group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ll Group Activities)

  • 임수민;양가인;김영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3호
    • /
    • pp.323-337
    • /
    • 2020
  • To achieve effective learning, knowledge must be shared and developed through interaction with peer learners. Therefore, science education emphasizes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that solves tasks through the interaction of members. The effect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depends on how to compose small groups. The way in which a group is composed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improving interaction. In particular,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gender of peer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in the composition of small groups. Meanwhil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types and stability of verbal interactions in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and stability of verbal interaction types and stability according to gender-group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ll group activiti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this end, 60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ere conducted with different gender in the composition of the group of male, female and mixed-gender students. The study found that the composition of a group by gender had little impact on the type or stability of verbal interaction. However, the frequency of verbal interactions was higher in mixed-gender groups than in other groups. Through this process, the gender-group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ll group activities suggests a mixed-gender group.

Thinking Science 활동에서 리더의 성격에 따른 모둠내 언어적 상호 작용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 according to Leader's Personality in Small Group Activities of Thinking Science)

  • 김지현;최병순;신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3호
    • /
    • pp.364-37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ithin-group verbal interaction according to leader's personality in Thinking Science activities. For this study, 2 homogeneous small groups by cognitive level selected from one class of sixth grader. Each group was comprised of four students. Leaders of two groups selected from the results of NEO personality assessment and teacher's observation. One who got high scores in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is named a sociable leader, the other who got low scores in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is named a taciturn leader. Verbal interactions during small group activities were audio/video taped and students' interactions were classified into on-task and off-task. On-task included cognitive aspect and affective aspect. Interactions of cognitive aspect were divided into low and high level, also interactions of affective aspect wer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verbal interactions in the sociable leader group were more activated than those in the taciturn leader group. Also, interaction level of the sociable leader group in cognitive aspec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taciturn leader group. In affective aspect, interaction pattern of the sociable leader group was similar to those of the taciturn leader group.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 interaction are as follow. The rates of cognitive aspect in the sociable and the taciturn leaders' interaction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affective aspect. This tendency was especially remarkable in the taciturn leader's interactions. However, interaction level of the sociable leader in cognitive aspec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taciturn leader. In affective aspect, positive interaction rate of the sociable leader and the taciturn leader were higher than negative interaction rate.

  • PDF

과학 영재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소집단 구성이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탐색 (Exploring the Effects of Grouping by Learning Style of Gifted-Student in Science on the Verbal Interaction)

  • 이은경;윤지현;강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406-417
    • /
    • 2014
  • 최근 소통과 협업을 통해 문제를 탐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과학 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활동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소집단 구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과학 영재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분석하고, 학습양식에 기반한 소집단 구성이 소집단 활동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쟁형, 협동형, 의존형 학습양식과 협동형, 협동형, 의존형 학습양식을 지닌 6명의 과학 고등학교 학생들을 각각 소집단 1과 소집단 2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소집단 1의 경우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이 낮은 비대칭적 형태의 상호작용이 나타난 반면, 소집단 2에서는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이 높은 대칭적 형태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소집단 1보다 소집단 2에서 심층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았고, 학생들이 소집단 활동에 동등하게 참여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 방법이 소집단 활동의 참여 여부나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소집단 크기에 따른 중학생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나타나는 언어적·물리적 상호작용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Verbal and Physical Interactions of Group Size in Small Group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 송나윤;신기덕;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57-566
    • /
    • 2022
  • 이 연구는 중학생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2인 1조의 소집단 학습에서 나타나는 언어적·물리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서울 시내 중학교 2학년 학생 12명이 용해도, 녹는점과 끓는점 개념에 대해 증강현실을 활용한 2인 1조의 소집단 학습에 참여하였다. 이 수업은 녹음 및 녹화되었으며, 수업이 종료된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개별 진술 단위, 상호작용 단위 그리고 물리적 상호작용으로 각각 분석하였다. 개별 진술 단위에서는 정보 설명과 정보 질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상호작용 단위는 단순 상호작용, 정교화 상호작용의 비율이 높았다. 정교화 상호작용을 하위 영역별로 보면, 누적형 상호작용의 비율이 높았으며 뒤를 이어 교정형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물리적 상호작용은 활동지를 쓰는 행동과 가상 객체를 관찰하는 행동의 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 2인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웹 기반 원격교육에서 온라인 협력학습전략이 간호학전공 학습자의 소집단 상호작용 유형, 학습결과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ies on Nursing Student Interaction Patterns, Task Performance and Learning Attitude in Web Based Team Learning Environments)

  • 이선옥;서민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77-58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patterns of small group interaction and examines the influence among graduate nursing students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ies on small group interaction patterns, task performance and learning attitude in web-based team learning environments. Method: To analyze patterns of small group interaction, group discussion dialogues were reviewed by two instructors.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feedback given (passive or active). For task performance, evaluation of learning processes and numbers of postings were examined. Learning attitude toward group study and coursework were measured via scales. Results: Explorative interactions were still low among graduate nursing students. Among the students given active feedback, considerable individual variability in interaction frequency was revealed and some students did not show any specific type of interaction pattern. Whether given active or passive feedback, group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ask performance and learning attitude. Also, frequent group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greater task performance. Conclusion: Active feedback strategies should be modified to improve task performance and learning attitude among graduate nursing students.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모둠 선호도에 따른 사회적 상호 작용 분석 (An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 according to Students' Preference for Groups in Science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 양전미;이혜정;오창호;정진수;권용주;박국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1-1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ac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group discussions during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Four heterogeneous groups were formed according to preferences and non-preferences, consisting of male and female students. Verbal interactions during small group discussions were audio and vide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The interaction frequency of each group was compared in terms of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The results in terms of the cognitive aspect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between preference and non-preference groups' verbal behaviors. However, the quality of interaction was superior and the number of high level types of interaction were more frequent in the preference group. From the affective perspective, both groups of students exhibited a positive attitude in the preference group and a negative attitude in the non-preference group. The differences of interaction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groups were that in the case of the female group, the frequency and the quality of interaction was higher. Moreover, in contrast to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revealed satisfaction and favorable attitudes in their non-preference group because they felt more a acceptable atmosphere and attitude in that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s of the preference group are more interactive and elaborate in nature than those of the non-preference group.

  • PDF

생물 학습을 위한 고등학생 소집단과 교사의 면담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분석 (The Patterns of Interaction in Teacher Interviewing with High School Students' Small Group for Biology Learning)

  • 김정민;송신철;심규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117-130
    • /
    • 2013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생물 학습 상황의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호작용의 유형 분석은 소집단 활동을 위해 교사가 피드백을 제공하고자 하는 면담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상호작용의 유형은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간 상호작용 수준에 따라 4가지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소집단 내에서 교사와 소집단의 대표 학생 사이에서만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유형(LR, Leader Representation), 일부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유형(PSI, Partial Students Interaction), 학생과 학생 사이에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나 교사와는 대표 학생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유형(SAI, Students Active Interaction), 구성원 모두가 활발히 상호작용을 하고 모든 학생들이 교사와도 상호작용을 하는 유형(TSAI, Teacher-students Active Interaction) 등이다. 고등학생들은 면담 과정이 거듭될수록 학생과 학생 사이에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학습에 대한 개념 이해가 부족한 초기 단계에서는 학생들 간에 복잡한 상호작용 양상이 나타나지만 개념의 이해가 완성되어 갈수록 점차 상호작용 유형이 간결하게 변화되어가는 특성을 보였다. 이로부터 생물 학습을 위한 소집단에서의 상호작용은 개념 이해가 부족한 학습자에게는 개념을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학습 개념을 상호 형성할 수 있는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 PDF

소집단 토론 과정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in Small Group Discussion)

  • 강석진;김창민;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3-36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4개 소집단의 학생간 토론 양상을 조사하였다. 소집단 토론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녹음 및 녹화한 후, 기록 원고를 작성하고, 분석하였다. 개별 진술, 상호작용 단위, 에피소드 수준의 분류들을 개발하였다. 개별 진술 분석에서 학생들의 이전 성취도와 지식 구성 과정 기여도 사이에는 뚜렷한 관계가 없었다. 상호작용 단위 분석에서는 부분 참여형 상호작용과 대칭적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견되어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부분적이고 피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피소드 분석에서는 제시된 의견의 수용이나 부분적인 정교화 유형이 가장 흔히 나타났고, 변증법적인 대화는 드물었다.

  • PDF

학습 전략에 따른 소집단 토론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 비교 (Comparison of Verbal Interaction Patterns in Small-Group Discussion by Learning Strategies)

  • 강석진;한수진;정영선;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9-28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인지 갈등 유발 전략(CCS)과 사회적 합의 형성 전략(SCS) 하에서 진행된 소집단 토론의 상호작용 양상을 비교하였다. 과학 개념을 학습하는 4개 소집단 1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 진술, 상호작용 단위, 에피소드 수준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토론 1회 당 전체 개별 진술이나 지식구성 진술은 CCS 집단에 비해 SCS 집단에서 많이 나타났다. 특히, 가설의 비교 평가나 토론 활동지는 SCS 집단 학생들의 메타인지적 진술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SCS 집단에서는 다수 참여형 및 정교화 상호작용이나 탐구형 에피소드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많은 학생들이 소집단 토론에 참여하였고 상호작용적인 정교화 토론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이나 에피소드의 질적인 측면에서도 SCS 집단이 CCS 집단보다 우수하였다.

  • PDF

이벤트 주도형 소셜 미디어: 특유문화 생성을 위한 군중 컴퓨팅 시스템 개발 (Event-Driven Social Media: Crowd Computing System Development for Idioculture Generation)

  • 임성택;차상윤;박차라;문지현;이인성;김진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301-309
    • /
    • 2009
  • This study focuses on event-driven social media (EDSM), which supports the production of unique cultural items of small groups by satisfying the conflicting desires of distinctiveness and assimilation that small groups possess. EDSM is a system which promotes the production of idioculture through small group interaction by using an actual event in which people participate in small groups. By setting up an EDSM system in a university festival in which 10,000 to 15,000 people gather in small groups, idioculture production was tested for approximately eight hours and a half. Interaction records gathered from the test,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 data garnered soon after were used to analyze usage patterns of EDSM, types of idiocultures produced, and resulting factors of user experience. Through this, considerations upon designing future EDSM were pro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