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firm relation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지식생태계의 조직화: 플랫폼 리더의 조직역량이 지식창출을 위한 기업간 협력의 확장에 미치는 영향 (Organizing knowledge ecosystems: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f platform leaders on multi-firm collaborations for knowledge creation)

  • 정동일;박상찬;김보경
    • 지식경영연구
    • /
    • 제16권2호
    • /
    • pp.1-27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knowledge-based view of platform-centered collaborations among multiple organizations. Studi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knowledge creation have broadened beyond their initial emphasis on internal development within an organization or simple exchange of ideas between two parties toward complex collaboration among many organizations at the level of platform-based knowledge ecosystems. Platforms serve as an interface between different groups of producers and consumers in a variety of multi-sided knowledge markets such as smartphone operating systems and video games industries.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examination to offer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how th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f platform leaders help expand a network of platform participants. The growth of platform participant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early stage of any platforms as the concept of network effects suggests that the platform with the largest number of participants will capture entire markets. Building upon organization studies and network economics theory on multisided markets, this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platform leaders in expanding platform-based collaboration. In our view, platform leaders develop varying levels of thre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o discern quality of potential participants, to attract them to actually participate in collaboration, and to maintain long-term exchange relations in the ecosystem. We suggest that the capabilities of platform leader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pansion of platform participants to secure network effects, and also examine several contextual factors tha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platform leader's capacity and platform expansion.

중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과 기업 성과 분석 (An Analysis of Industry-University-Institute R&D Collaboration and Firm Performance on SMEs)

  • 정도범;고윤미;김경남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5-140
    • /
    • 2012
  • 지식기반관점(KBV)에서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은 기업의 부족한 기술 및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에 따른 기업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협력 연구가 과연 기업 성과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협력 유형에 따라 기업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한 2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R&D) 협력 비율 및 유형과 기업 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기업 성과는 특허 출원 건수로 측정한 기술적 성과와 총자산수익률(ROA)로 측정한 경제적 성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개발(R&D) 협력 비율과 기술적 성과는 역U자형(inverted U-shape)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개발(R&D) 협력 유형 중에서 산산 협력 연구는 기술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산학연 협력 연구는 기술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적 성과의 경우에는 연구개발(R&D) 협력 비율 및 유형과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이나 기업의 전략을 수립하는데 큰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공간경제 전환의 이론화 : 체제전환에 대한 조절이론적 접근 (Theorizing the Transformation of Space Economy: Regulationist Perspectives on the Post-Socialist System Transformation)

  • 김부헌;이승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44
    • /
    • 2008
  • 지금까지 조절이론은 주로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의 조절과정에 주목해 온 반면, 공간적 측면의 조절과정은 간과해 왔다. 특히 탈사회주의 체제전환 과정에 대한 조절이론적 접근은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논문은 탈사회주의 체제전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경제의 전환을 조절이론의 관점에서 이론화하고자 한다. 공간경제는 경제체제에 따른 사회적 관계를 반영하고 이를 조건지우는 맥락으로서 사회적 재생산이 일어나는 배경이다. 따라서 국가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의 체제전환 과정이 일어나면, 이와 관련한 사회적 관계의 변동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구체적 수준의 기업 및 산업 네트워크의 변동이 초래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선 본 논문은 기업을 둘러싼 각종의 네트워크를 집합적 의미의'조절양식'으로 간주하는'기업 조절양식'개념 틀을 바탕으로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과 관련한 기업 내, 기업 간, 기업 외 관계의 구체적인 분석 내용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체계의 거버넌스와 관련한 제도 및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라서, 탈 착근적(단선적 성격의 체제이행), 착근적(연속적 성격의 체제전환), 과잉 착근적(과거 유산에 고착된 성격의 체제전환)인 공간경제 유형을 제시하고 이를 이론적 수준에서 설명하였다.

  • PDF

한국 섬유 의류산업의 위기와 재구조화(1980-1997): 생산력의 지리적 확장과 내연적 축적체제 (Crisis and Restructuring of the Korean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between 1980 and 1997: Geographical Extension of Productive Forces and Intensive Accumulation Regimes)

  • Sung Cheol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3-81
    • /
    • 2000
  • 1980년대에서 1997년 사이에 한국 섬유 의류산업은 국내 가격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수출주도형 성장체제에서 생산력의 지리적 확장을 가져오는 해외생산 그리고 고급의류 내수시장의 증가로 따른 기술 발달과 자동화에 기반을 둔 질적 성장체제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재구조화는 1987년 노동자 대투쟁으로 인한 임금의 급상승으로 1986년까지 진행된 수출주도형 성장체제에 위기가 왔다는데 일차적 원인을 둘수 있다. 특히 임금상승과 노동의 세력화에 따른 단체교섭의 형성은 장시간 노동시간과 저임금 구조에 기반을 둔 대량 생산과 대량수출의 결합체제에 위기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1980년과 1997년 사이에 발생한 한국 섬유 의류산업의 발전모델 또는 양식의 전환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역사적 맥락에서 1987년 이전과 이후의 축적체제의 변화와 함께 조절양식의 제도적 형태인 임고용 관계, 기업간 관계 그리고 국가와 기업관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PDF

네트워크세계의 산업: 산업의 세계화와 국지화 (Industry in a Networked World: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Industry")

  • 박삼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1-130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기업의 혁신네트워크와 지식획득과정을 분석하고 이들의 공간적 차원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혁신네트워크에서 하도급기업에게는 모기업이 중요하지만 일반 기업의 경우는 공급업체, 고객업체. 경쟁기업 등과의 교류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앞으로 혁신네트워크는 정부출연연구소. 대학 등의 기관이 더욱 중요해지는 한편 해외기업과의 네트워크도 더욱 중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혁신과 관련하여 형식적 지식을 획득하는 것은 어느 정도 공간의 제약을 초월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암묵적 지식은 사내연구개발부서에서의 토론과 연구, CEO나 실무자의 개인적 네트워크, 공급업체와 고객업체와의 기업간 관계를 통해서 얻는 경우가 많아서 공간적 근접성이 중시된다. 전반적으로. 혁신네트워크는 수도권과 지방, 공단입지와 일반입지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산업혁신정책은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달리 추진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국 하청기업의 해외동반진출과 생산 네트워크 형성 및 변화: 베트남 하노이 권역 전자산업을 사례로 (Formation and Change of Production Network based on Customer-following Overseas Expansion of Korean Subcontractors: Electronic Industries in Hanoi Red River Delta, Vietnam)

  • 김성훈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7-165
    • /
    • 2020
  • 본 논문은 해외동반진출의 관점에서 한국 전자산업 하청기업의 해외진출과정을 유발한 요인과 생산네트워크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전자산업 하청기업의 해외동반진출을 살펴보기 위하여 심층인터뷰가 진행되었다. 한국 전자산업 하청기업의 경우 초국적기업의 공급자로 역할하며 최근 이들과 베트남 북부지역으로 동반진출이 나타나고 있다. 1990년대부터 시작한 한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는 초기 섬유·의복 산업을 중심으로 베트남 남부지역에 투자가 집중되었으나, 2000년대 말 한국 전자산업 초국적기업의 베트남 진출 이후 전자산업의 베트남 북부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국 전자산업의 해외동반진출은 물리적 근접성, 비대칭적 기업간 관계, 네트워크 착근성 세 가지 측면에서 나타나게 되었다. 해외동반진출과정을 겪으며, 베트남에는 기존 한국 전자산업 생산네트워크가 베트남 현지에 이식되어 부분적으로 수정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해외동반진출과정에서 기존 기업의 위계성과 거래관계 변화의 어려움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한국 초국적기업은 하청기업과의 해외동반진출을 통해 현지의 안정적인 공급자를 구축하고자 하였고, 해외동반진출 하청기업에게 재무적·비재무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