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lligent user interface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35초

Tele-Manipulation of ROBHAZ-DT2 for Hazard Environment Applications

  • Ryu, Dong-Seok;Lee, Jong-Wha;Yoon, Seong-Sik;Kang, Sung-Chul;Song, Jae-Bok;Kim, Mun-Sa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2051-2056
    • /
    • 2003
  • In this paper, a tele-manipulation in explosive ordnance disposal(EOD) applications is discussed. The ROBHAZ-DT2 is developed as a teleoperated mobile manipulator for EOD. In general,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robot must have appropriate functions and accuracy enough to handle the complicated and dangerous mission. However, the research on the ROBHAZ-DT2 revealed that the teleoperation causes more restrictions and difficulties in EOD mission. Thus to solve the problem, a novel user interface for the ROBHAZ-DT2 is developed, in which the operator can interact with various human senses (i.e. visual, auditory and haptic sense). It enables an operator to control the ROBHAZ-DT2 simply and intuitively. A tele-manipulation control scheme for the ROBHAZ-DT2 is also proposed including compliance control via force feedback. It makes the robot adapt itself to circumstances, while the robot faithfully follows a command of the operator. This paper deals with a detailed description on the user interface and the tele-manipulation control for the ROBHAZ-DT2. An EOD demonstration i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interface and the control scheme.

  • PDF

RFID 기반의 홈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lligent Agent for RFID-based Home Network Management)

  • 김주일;이우진;정기원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71-8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RFID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홈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를 제시하고, 이러한 홈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를 제시한다. 이 에이전트는, 에이전트 내의 각 모듈이 수행하는 작업을 총괄하여 관리하는 에이전트 관리자, RFID 리더기를 통하여 홈 가전기가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기, 홈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결정하고, 결정된 오퍼레이션을 해당 가전기기로 전달하는 실행 제어기, 에이전트가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 홈 가전기기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큐, 사용자가 에이전트를 통하여 홈 네트워크를 직접 제어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여섯 개의 모듈로 구성된다. 이 에이전트는 홈 네트워크 내의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자율적으로 홈 네트워크 내의 상황을 학습하고, 사용자의 성향에 맞도록 가전기기를 제어한다. 따라서 지능형 에이전트를 통하여 홈 네트워킹을 수행한다며 사용자는 직접 모든 가전기기를 제어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성향에 맞는 홈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이기종 단말기 간의 공통 인터페이스 제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on Interface providing among Heterogeneous Terminal in Ubiquitous)

  • 박정연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제2호
    • /
    • pp.391-394
    • /
    • 2006
  • 본 논문은 차세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운영체제 사용자 간의 공통 인터페이스를 유연하게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각기 다른 명령이나 메타포, 운영체제에 기반하는 이미지, 아이콘들처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부분을 각기 코드값화하여 프록시 서버에서 처리함으로써, 한정된 대역안에서의 대역폭 사용 효율증가와 중복전송 데이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이기종 장치간의 지속적인 연결성을 지원하기 위한 공통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겠다.

  • PDF

모바일 사용자 작업 예측 모델 및 정확도 평가 기법 (Mobile User Task Prediction Models and Accuracy Evaluation Method)

  • 강영민;옥수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742-1748
    • /
    • 2007
  •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편리한 접근을 제공하고 휴대 장치의 활용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입출력 환경에서 효율적인 작업 선택과 전환 등을 보장할 수 있는 지능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지능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에 필수적인 사용자 작업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 이러한 모델을 통한 예측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Research and Design of Functional Requirements of Shared Electric Bicycle App Based on User Experience

  • Xiangqin Zhao;Bin Wa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9권2호
    • /
    • pp.219-231
    • /
    • 2023
  • Intelligent applications are crucial for increasing the popularity of shared urban electric bicycles (EBs). Building an application platform architectural system that can satisfy independent user operations is critical for increasing the intelligent usage of shared EBs. Consequently, we collected online reviews of shared EB applications, conducted semantic processing and sentiment analysis, and refined the positive and negative review data for each func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review indices of each function were calculated using the formulae for positive and negative review indices of product functions, thereby determining the functions that need to be improved. Each function of the Shared EB application was improved according to its business process.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o build a user requirement architecture system for the Shared EB application with five dimensions and 22 functions using the Delphi method to design the user interface (UI) of this application based on user satisfaction evaluation results; to create a high-fidelity dynamic interaction prototype and compare user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improving the Shared EB application functions. The testing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nges in the UI significantly improve the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of the urban Shared EB application, with the positive experience index increasing by 69.21% and the negative experience index decreasing by 75.85% overall. This information can be directly used by relevant companies to improve the functions of the Shared EB application.

사용자의 활동과 자세에 의한 PDA의 백라이트 제어 기법 (Backlight Control on The PDA by A User's Activity and Posture)

  • 백종훈;윤병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6호
    • /
    • pp.36-42
    • /
    • 2009
  • 모바일 단말 환경에서 상황 인식 컴퓨팅 기술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상황 인식 컴퓨팅은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컴퓨팅 응용들을 실현 가능하게 한다. 현재 모바일 단말은 데스크 탑 컴퓨터에 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자원은 매우 제한적이다. 데스크 탑 사용자는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반면에 모바일 사용자는 단말을 사용하는 동안 움직인다는 것을 가정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대표적인 입출력 장치인 키보드와 마우스 같은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이나 물체의 물리적인 활동 상태와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센서를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에 적용함으로서 모바일 단말의 부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완하고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능형 제어 시스템을 소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 (정적인 상태와 동적인 상태)와 모바일 단말을 보는 자세를 동시에 추정하였고, 그것의 응용인 지능형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백라이트가 ON 또는 OFF 되는 것이다.

인공지능 기반 손 체스처 인식 정보를 활용한 지능형 인터페이스 (Intelligent interface using hand gestures recogn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조항준;유준우;김은수;이영재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8-51
    • /
    • 2023
  • 인공지능에 기반한 손 제스처 인식 정보를 활용한 지능형 인터페이스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기능적으로 사용자 손 제스처의 추적 및 인식을 미디어파이프와 KNN, LSTM, CNN의 인공지능 기법을 사용해 다양한 동작을 빠르고 지능적으로 인식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제안한 알고리즘 성능 평가를 위해 자체 제작한 2D 탑뷰 레이싱 게임과 로봇제어에 적용한다. 알고리즘 적용 결과 게임의 가상 객체의 다양한 움직임을 세밀하고 강건하게 제어할 수 있었으며, 실세계의 로봇 제어에 적용한 결과 이동과 정지, 좌회전, 우회전 등의 제어가 가능하였다. 또한 게임의 메인 캐릭터와 실세계 로봇을 동시에 제어하여 가상과 현실의 공존공간 상황 제어를 위한 지능형 인터페이스로 최적화된 동작도 구현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신체를 활용한 자연스럽고 직관적 특성과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 인식에 따른 정교한 제어가 가능하며, 빠른 기간 내에 숙련되는 장점이 있어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Agent System for Pattern Classification

  • Kim, Dae-su;Park, Ji-hoon;Chang, Jae-khun;Na, Guen-sik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598-602
    • /
    • 2001
  • Recently, due to the widely use of personal computers and internet, many computer users requested intelligent system that can cope with various types of requirements and user-friendly interfaces. Based on this background, researches on the intelligent agent are now activating in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we modeled, designed and implemented an intelligent agent system for pattern classification by adopting intelligent agent concepts. We also investigated the pattern classification method by utilizing some pattern classification algorithms for the common data. As a result, we identified that 300 3-dimensional data are applied to three pattern classification algorithms and returned correct results. Our system showed a distinguished user-friendly interface feature by adopting various agents including graphic agent.

  • PDF

Tangible Space Initiative

  • Ahn, Chong-Keun;Kim, Lae-Hyun;Ha, Sung-Do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3-1056
    • /
    • 2004
  • Research in Human Computer Interface (HCI) is towards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environment able to deal with interactions of both human and computers that can be more intuitive and efficient. This can be achieved by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synthetic virtual environment and the natural physical environment. Thus a project called Tangible Space Initiative (TSI) has been launched by KIST. TSI is subdivided into Tangible Interface (TI) which controls 3D cyber space with user's perspective, Responsive Cyber Space (RCS) which creates and controls the virtual environment and Tangible Agent (TA) which senses and acts upon the physical interface environment on behalf of any components of TSI or the user. This paper is a brief introduction to a new generation of Human Computer Interface that bring user to a new era of interaction with computers in the future.

  • PDF

Human-Computer Interaction Based Only on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

  • Sha, Hui;Agah, Arvin
    • Transactions on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Engineering
    • /
    • 제2권4호
    • /
    • pp.285-297
    • /
    • 2000
  • One of the research objectives in the area of multimedia human-computer interaction is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ics technologies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interfaces. This involves utilizing many forms of media, integrating speed input, natural language, graphics, hand pointing gestures, and other methods for interactive dialogues. Although current human-computer communication methods include computer keyboards, mice, and other traditional devices, the two basic ways by which peop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re voice and gesture. This paper reports on research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multimedia interface system modeled based on the manner in which people communicate. This work explores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computers based only on the processing of speech(Work uttered by the person) and processing of images(hand pointing gestures). The purpose of the interface is to control a pan/tilt camera to point it to a location specified by the user through utterance of words and pointing of the hand, The systems utilizes another stationary camera to capture images of the users hand and a microphone to capture the users words. Upon processing of the images and sounds, the systems responds by pointing the camera. Initially, the interface uses hand pointing to locate the general position which user is referring to and then the interface uses voice command provided by user to fine-the location, and change the zooming of the camera, if requested. The image of the location is captured by the pan/tilt camera and sent to a color TV monitor to be displayed. This type of system has applications in tele-conferencing and other rmote operations, where the system must respond to users command, in a manner similar to how the user would communicate with another person. The advantage of this approach is the elimination of the traditional input devices that the user must utilize in order to control a pan/tillt camera, replacing them with more "natural" means of interaction. A number of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interface system with respect to its accuracy, efficiency, reliability, and limi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