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subject

검색결과 567건 처리시간 0.025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도입에 따른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 (Ways to Improve In-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tise with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이재봉;이양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63-271
    • /
    • 2017
  •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이 학교 현장에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현직교사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교과목 신설에 대비하여 중등 과학교사의 자격종별로 현직교사 재교육 내용을 구상하고,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과학교육 전문가 22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징을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 및 내용 구성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교사 역량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학교 현장의 중등학교 과학교사 자격증 유형별 특징과 통합과학 지도를 위해 추가되어야 할 교사 역량을 탐색하여, 교사 자격증 유형별로 2015 개정 통합과학의 이해 직무 연수(A형), 통합과학 직무연수(B형), 통합과학 부전공 자격연수(C형) 등 3가지 유형의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각의 연수 프로그램 유형별로 교사 자격증별 대상자, 운영시간, 연수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구성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전문가 의견에 기초하여 현직 교사뿐만 아니라 통합과학 교사 양성과정 개선안과 통합과학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 개선안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과학 지도를 위한 현직교사 재교육 연수 프로그램 구성상의 유의점 및 통합과학 교사 양성과정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물리치료학에서의 PBL 학습교재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Package in Physical Therapy)

  • 황현숙;정진우;임종수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83-94
    • /
    • 2002
  • Within physical therapy education, there has been increased attention to curricula and course that emphasize problem solving, clinical reasoning, and synthesis of information across traditional discipline-specific boundaries. This article describes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outcomes of a problem-based learning course in Physical therapy. The course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to integrate the various elements of a physical therapy curriculum and to enhance their abilities to respond to an ever-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 An evaluation of the course by the first 50 students who completed it revealed both strengths and weaknesses. Students responded that the course enhanced their professional behavior, includ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team work, and follow-through with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The learning package was developed by the authors and implemented to a college students during three weeks of the first semester of 2001. Most studies which conducted PBL module development were short period or temporary PBL package application and evaluation rather than a whole semester's. While, this study carried on partial integrated PBL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with recomposing content of the two subjects to one subject Physical therapy which includes four PBL packages. This package was developed from a simple concept to complex and partial integrated PBL curriculum application systematically variable learn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practice, lecture, video. There are 2 classes, each class has 25 students, in the college. Each class has 5 small groups consisting 5 students. Two tutors proceeded discussion charging each class also, they used multiple methods and materials like tutorials, self-directed learning, lecture, and video. The package is 5 grades and 5 hours per week and the rate of discussion, lecture is 4, 1 respectively. One of the most change is the increase of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utors. Whenever students need information and suggestion, they can visit tutors who provide reading materials and guide for the direction of self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describes the PBL package development process and application during one semester recomposing contents of two subjects to Physical therapy concepts. Besides, it will contribute to active application of existing each subject to tutors who intend to convert as PBL methods. The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to show potentiality of partially integrated PBL application, using systematic PBL package development from two subjects contents. However, when students' need of yearning is over the extent of Introduction of Physic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medicine, tutors should set learning extent. So, there is limitation to attain completely integrated PBL education within one subject, therefore, it is high lighted to proceed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to maximize learning effects of PBL. It is exected that partial integrated PBL packag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will distribute to prosper excellent physiotherapist in practice.

  • PDF

통합 체질진단 툴 β-version의 웹기반 응용프로그램 (The Web Application of Integrated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is β-version)

  • 진희정;김장웅;김영수;이시우;장은수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20
    • /
    • 2012
  • 1. Objectives : It is very important to classify people into Sasang constitution correctly in SCM.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for this and several tools have been developed for diagnosis of Sasang constitution. In our study, we introduce a new web application for Integrated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is (ISCD) ${\beta}$-version and algorithm on the base of face, body shape, voice and questionnaire. 2. Development : The web application of ISCD ${\beta}$-version was designed to be used easily for subject, staffs, and oriental medical doctor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web-application of Integrated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is ${\beta}$-version using mysql database, tomcat web system, JSP, JAVA, and C++ languages. 3. Current State : The ISCD ${\beta}$-version could be accessed at http://210.218.196.115/SDT/login.jsp. The ISCD ${\beta}$-version consisted of 3 parts, for staffs, subject and oriental medical doctors. The system has been managed since February 2011. Currently 7 oriental hospitals have used the system and 1,439 subjects have been diagnosed by the system. 4. Conclusion and future work :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develop a system or an algorithm for diagnosis of subject's constitution, we could have not used the system based on objective information of human body type, characters, symptoms. In this study, we describe a web application of objective diagnosis algorithm as ISCD ${\beta}$-version. This system may help an oriental medical doctors to make a decision of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is easily and correctly.

DDC in DSpace: Integration of Multi-lingual Subject Access System in Institutional Digital Repositories

  • Roy, Bijan Kumar;Biswas, Subal Chandra;Mukhopadhyay, Parthasarath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71-84
    • /
    • 2017
  • The paper discusses the nature of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 (KOSs) and shows how these can support digital library users. It demonstrates processes related to integration of KOS like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22^{nd}$ edition (DDC22) in DSpace software (http://www.dspace.org/) for organizing and retrieving (browsing and searching) scholarly object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use the DDC22 available in Bengali language and highlights the required mechanisms for system-level integration. It may help a repository administrator to build an IDR (Institutional Digital Repository) integrated with SKOS-enabled multilingual subject access systems for supporting subject descriptors based indexing (DC.Subject metadata element), structured navigation (browsing) and efficient searching.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과 도덕의 통합교수모델 개발 및 효과분석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an integrated teaching model of mathematics and ethics for social justice)

  • 이예진;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313-329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의 주제를 중심으로 수학과 도덕을 통합한 통합교수모델을 개발하고 통합교수모델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주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통합교수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2015 개정 수학 교육과과 3~4학년군, 5~6학년군 수학 교과서, 2015 개정 도덕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여 수학과 도덕 교과에 사회정의 소재가 얼마나,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앞선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 도덕, 사회정의를 3개의 축으로 하여 융합모형 틀과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과 도덕의 통합교수모델을 구안하였다. 통합교수모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학과 도덕의 통합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측면과 사회적 의식, 창의적 사고력 및 비판적 사고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웹을 기반으로 인성과 창의력을 기르는 ICT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CT Textbook Development Raising the Humanity and Creativeness Based on the Web)

  • 김학원;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3
    • /
    • 2001
  •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컴퓨터를 지도할 때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기능만 가르치므로 인성 교육 부재, 창의력 제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의 기능을 공부하면서 인성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고, 교육과정 내용을 익힐 수 있는 주제 통합 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주제통합교재는 기능교육을 위해 교육과정을 접목하는 방법과 교육과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기능을 익히는 방법이 있다. 이에 맞추어 전자는 운영체제인 '윈도우 98'의 내용을 주제별로 나누어 각 주제에 맞는 인성 요소, 창의적인 요소, 그리고 교육과정 내용을 추출하여 구성을 하고, 후자는 '한글97'을 내용으로 교육과정에서 주제를 추출하여 '한글97'로 해결하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웹의 동적인 특징을 살려 상호작용이 가능한 주제 통합 교재를 개발함으로써 웹만이 갖고 있는 장점을 살려 학습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교과융합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A study of the effec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program based on subject integrations)

  • 김성율;이옥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1-31
    • /
    • 2016
  •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에 따른 역기능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고 이에 따라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정보윤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크다. 정보윤리교육의 내용은 범교과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정보윤리에 관한 총체적인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일부 선택 교과의 단원 안에 편성되어 있다. 따라서 교과별로 정보윤리교육 내용의 중복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중등학교의 경우 정보윤리교육을 다루는 교과의 대부분이 선택과목으로 되어 있어 학생에 따라 정보윤리교육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윤리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과 통합 교육과정 모델과 사이버 윤리 교육모델에 기초한 교과융합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고등학교 1학년 291명을 대상으로 5개월 동안 실시한 결과 정보윤리 이해도 지수가 현저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정보윤리교육의 기존 문제점을 구조적으로 안고 있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윤리교육을 위해 본 교육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안한다.

한국과 일본의 실과 및 기술.가정과교육의 역사적 변천 비교 (Comparative Study on Historical chang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 박순자;신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5-76
    • /
    • 2000
  • Comparative Study on Historical Chang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This dissertation is a comparative study on Practical Arts(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of Korea and Japan. I established two research objectives to conduct the research :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historical change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of the two countries: And to grope for the new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 Japan was also ahead of Korea for about two decades in terms of putting Home Economics Education in practice at elementary schools. Practical Arts Education Started to emerge in Elementary school system in 1955, which had been originated in vocational education before the year 1945 in Korean However, from the 3th curriculum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put emphasis on home live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 changes at Korean Junior-high schools after the year 1945. Home Economics Education had been regarded as “female subject”until the 1980s and was integrated into regular curricula for co-education in the middle of the 1990s. when the 6th Curriculum was activated. Technology-Home Economics started to emerge in Japan in 1962. while the subject Home Economics Education was integrated into curricula for males in high school as well in 1989. In the Korean 7th Curriculum, the combined subject Technology-Home Economics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 remarkable difference from japanese Technology-Home Economics is that korean curriculum has no division between required and elective. In conclusion. I observe that both Korean and Japanese curricula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originated in Confucianism. However, unlike Korean situation, current Japanese Home Economics Education takes a significant part as a continuing and required subject for both primary and secondary co-education.

  • PDF

A Bibliometric Approach for Department-Level Disciplinary Analysis and Science Mapping of Research Output Using Multiple Classification Schemes

  • Gautam, Pitambar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1호
    • /
    • pp.7-29
    • /
    • 2019
  • This study describes an approach for comparative bibliometric analysis of scientific publications related to (i) individual or several departments comprising a university, and (ii) broader integrated subject areas using multiple disciplinary schemes. It uses a custom dataset of scientific publications (ca. 15,000 articles and reviews, published during 2009-2013, and recorded in the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s) with author affiliations to the research departments, dedicated to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and medicine (STEMM), of a comprehensive university. The dataset was subjected, at first, to the department level and discipline level analyses using the newly available KAKEN-L3 classification (based on MEXT/JSPS Grants-in-Aid system), hierarchical clustering, correspondence analysis to decipher the major departmental and disciplinary clusters, and visualization of the department-discipline relationships using two-dimensional stacked bar diagrams. The next step involved the creation of subsets covering integrated subject areas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departmental contributions to a specific area (medical, health and life science) using several disciplinary schemes: Essential Science Indicators (ESI) 22 research fields, SCOPUS 27 subject areas, OECD Frascati 38 subordinate research fields, and KAKEN-L3 66 subject categories. To illustrate the effective use of the science mapping techniques, the same subset for medical, health and life science area was subjected to network analyses for co-occurrences of keywords, bibliographic coupling of the publication sources, and co-citation of sources in the reference lists. The science mapping approach demonstrates the ways to extract information on the prolific research themes, the most frequently used journals for publishing research findings, and the knowledge base underlying the research activities covered by the publications concerned.

통합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n the Subject Competencies of Integrated Science)

  • 안유민;변태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7-111
    • /
    • 2020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융복합적 사고력 신장을 위해 '통합과학'을 신설하고,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이 배우도록 공통 과목으로 지정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전 교육과정과 차별화되는 특징으로 '역량'을 도입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은 범교과적 성격의 핵심역량과 교과의 학문적 지식과 기능에 기반한 교과 역량으로 구분된다. 과학과 교과 역량에는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5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 문서의 교과 역량에 대한 설명은 불충분하며, 역량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역시 통일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량 기반 교육이 학교 현장에 제대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과학 교사들이 역량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된다고 판단하여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우선 통합과학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가 높은 전문가 워킹 그룹 운영을 통해 통합과학의 성취기준과 교과 역량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 고등학교 과학 교사 31명에 대상으로 서술형 설문을 통해 5가지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교사의 응답은 언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3개 교과 역량은 교사들이 생각하는 바와 교육과정 문서에서 제시한 정의와 유사성이 높았으나,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경우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과정 문서상의 정의와 어느 정도 간극이 존재하였다. 또한 5개 역량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5개 교과 역량이 상호배타적이나 독립적이기 보다 연관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