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ake of snacks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1초

취학전 어린이의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 관련 요인 (FACTORS AFFECTING MAXILLARY ANTERIOR TEETH CARIES IN PRESCHOOL CHILDREN)

  • 정승열;이광희;라지영;이동진;안소연;김지영;송지현;김윤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35-641
    • /
    • 2008
  • 연구 목적은 상악 유전치 우식증의 발생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은 익산시 어린이집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7개 어린이집의 36개월 이상 71개월 미만의 남아 214명, 여아 187명, 모두 401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상악 유전치 우식증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성별, 연령, 모유 수유 또는 인공 수유, 수유 기간, 감미 간식 섭취 빈도, 칫솔질 시작 시기, 1일 칫솔질 횟수 등을 조사하여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상악 유전치 우식증의 유병률은 남아에서 43.0%, 여아에서 26.7%로서 남아가 여아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1), 수유 기간 2년 이하 군에서 31.0%, 2-3년 군에서 43.2%, 3년 이상 군에서 63.2%로서 수유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1), 감미 간식을 매일 섭취하는 군에서 44.2%, 2-3일에 한 번 섭취하는 군에서 31.47%, 자주 섭취하지 않는 군에서 32.4%로서, 매일 섭취하는 경우에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0.05). 연령, 모유 수유 또는 인공 수유, 칫솔질 시작 시기, 1일 칫솔질 횟수에서는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0.05).

  • PDF

대학 연구활동종사자의 식생활실태, 비타민 D 영양상태 및 혈액 임상지표 분석 (Dietary Life, Vitamin D Status and Blood Clinical Indices of University Laboratory Workers)

  • 황정현;이홍미;김정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5-256
    • /
    • 2019
  • Objectives: Although the number of laboratory workers is constantly increasing every yea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se research workers. This study determined the health status of laboratory workers by analyzing their anthropometric indices, dietary life, vitamin D status and blood clinical indice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100 female laboratory work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ir diet, anthropometric indices, vitamin D status and blood clinical indic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duration of working in a laboratory (<1 year, $${\geq}_-1year$$). Results: The average age and body mass index (BMI) of subjects were 23.18 years and $21.51kg/m^2$, respectively Those subjects with over 1 year employment ($${\geq}_-1year$$) had a significantly higher waist-hip ratio than that of the subjects with the less than 1 year employment (<1 year). The mean serum vitamin D level of all the subjects was 10.04 ng/mL, which is close to a level of vitamin D deficiency.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intake of calories in the over 1 year employment group as compared to that of the less than 1 year employment group. The frequency of eating sweet snack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over 1 year employment group.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25-(OH)-vitamin D level and the time of exposure to sunlight, while dietary intake of vitamin D did not show correlation with the serum 25-(OH)-vitamin D level. However, the serum 25-(OH)-vitamin D level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the percentage of body fat and visceral fat. Conclusions: Laboratory workers are a very high risk group in terms of their nutritional status of vitamin D. Therefore, they need greater time of exposure to sunlight as well as increasing their dietary consumption of vitamin 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for laboratory worker to practice regular and balanced dietary habits in order to maintain a healthy life.

초등학교 고학년용 영양교육 소책자 개발 및 효과 분석 - 하루 필요 식품군 단위수 교육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Pamphlet for the Higherr Grades Elementary Students -Focused on Individual Daily Needed Food Exchange Units-)

  • 임은수;조영숙;김세나;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89-70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focused on Food Exchange System for the higher grades elementary children. Nutrition education lessons (40 min/lesson, 4 times), '5 major nutrients and functions', '6 food groups', 'daily needed energy and food exchange units', 'good choice of snacks and balanced exercise' were provided to elementary students (5th grade student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data from two group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education' group (n = 31) and 'non-education' group (n = 31). We assessed the changes in dietary attitude, food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using questionnaire and nutrient intake using 24hr recall method by nutrition education using the developed pamphlet. After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etary attitude score only in attitude of 'balanced meal' (p < 0.001) in the education group compared to the non-education group. In food habi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the type of breakfast and in the priority of choosing snack in the educated group. In nutrition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scores of 'function of carbohydrate' (p < 0.05), 'function of fat' (p < 0.01), 'function of vitamin' (p < 0.01), 'foods of carbohydrate' (p < 0.01), and 'foods of vitamin' (p < 0.01) in the educated group. After education, carbohydrate: protein: fat (CPF) ratio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education group, 59 : 16 : 26 vs. non-education group, 63 : 15 : 23). In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b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energy (p < 0.05), thiamin (p < 0.05), riboflavin (p < 0.05), vitamin C (p < 0.05), phosphorus (p < 0.01), Fe (p < 0.01) and zinc (p < 0.01) in the education group compared to the non-education group. In conclusion, the developed 4 times' nutritional education pamphlet focused 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 for higher grades' elementary student may positively chang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intakes.

강원지역 초등학생의 인식체형에 따른 영양지식, 식생활태도, 식이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among Eating Behavior, Dietary Self 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 Perceived Body Sha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 원향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07-719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dietary behavior, dietary self 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 perceived body shape of the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and found out their relationshi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ctor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erceived body shape were gender, father's education level, the number of siblings, birth order, obesity of parents and siblings and ideal body shape. For the perceived body shape, the students answered generally normal(48.9%), slightly fat(27.9%), thin(16.5%) and very fat(6.7%). Out of total students 76.5% of them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such that satisfactory(23.5%), want to lose weight(61.4%) and want to increase weight(15.1%). The score of eat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body shape on such questions as eating speed(p<0.001), frequency of fatty food intake(p<0.001), adequate intake quantity(p<0.001), balanced diet(p<0.05), frequency of going out to eat(p<0.001). The score of diet self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general habit on such questions as whether to eat slowly together with friends (p<0.001), whether to eat adequate quantity(p<0.001), whether not to have snacks after dinner(p<0.001). And in the area of food selection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such questions as to select ice cream in stead of yoplait(p<0.001). In the area of social circumstance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such questions as to reject the food(p<0.01) and to restrain food in birthday party or holiday(p<0.05). In the area of emotional status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question about food restrain when boring and depressed(p<0.05 respectively). Th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ceived body shape on such questions as total score(p<0.01), five basic food group(p<0.05), snack and body weight(p<0.001), calcium function(p<0.01). It showed perceived body shape co-related with the nutrition knowledge(p<0.01). In summary, the perceived body shape for the highly eating behavior was generally normal, for the highly dietary self efficacy was slightly fat, and for the highly nutrition knowledge was also slightly fat.

  • PDF

고지혈증 환자의 웹기반 식사관리 및 영양평가 프로그램 (A Web-based Internet Program for Nutritional Assessment and Diet Management of Patient Having Hyperlipidemia)

  • 한지숙;허지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87-294
    • /
    • 2003
  • 본 연구는 임상영양 분야의 전문 웹사이트로서 고지혈증 환자를 위한 식사관리 및 영양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은 고지혈증을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고중성지방혈증으로 분류하고 이들에 대한 식사관리, 영양상담 및 영양평가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표준체중 및 열량 필요량 파일, 열량별 식단 및 일일 식단표 파일, 식사요법 및 영양관리 파일, 식사력 조사 및 평가파일, 식품 및 영양소 데이터베이스 파일, 식품의 지방산 파일, 음식 영양소 함량 및 영양소별 20순위 식품 파일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하여 웹 페이지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사용자는 인터넷 사이트로 들어가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면 그 결과로 1일 열량 필요량 및 기타 영양소 필요량이 제시되고 그에 알맞은 식단을 보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식사관리 프로그램에서는 열량별 식단 자료실을 두어 1200 kcal에서 2500kcal까지 100 kcal 단위로 일주일간의 식단을 볼 수 있게 하였고, 식단계획시 고려사항, 식품의 선택방법, 식품교환표, 고지혈증 식사지침, 식사요법 및 영양관리, 영양소별 20순위식품, 용어설명 및 관련 사이트를 소개하였다 영양상담 프로그램으로는 고지혈증 예방을 위한 식습관 평가와 질환에 바른 식사력조사 및 상담 평가, on-line 영양상담, FAQ 등이 있다. 영양평가프로그램으로는 섭취음식을 입력함으로서 영양소 섭취 상태, 열량 영양소, 지방산, 식사별, 식품군별 영양소 섭취상태, 동ㆍ식물성 식품 영양소 섭취 상태, 기간별 영양소 섭취 변화 등을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영양소 섭취상태는 환자의 필요량과 비교하여 그래프로 제시되고, 열량영양소, 식사별 영양소, 지방산 섭취 상태는 아침, 점심, 저녁 ,간식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볼 수 있고, 동ㆍ식물성 식품 섭취 및 기간별 영양소 변화 등은 각각의 영양소별로 그 섭취 상태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COVID-19 유행 동안 대학생의 체중증가와 관련된 생활습관 및 식생활 변화 (Lifestyle and dietary changes related to weight gain in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김지현;계승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3호
    • /
    • pp.288-299
    • /
    • 2023
  • 본 연구는 COVID-19 유행 동안 대학생의 체중변화를 알아보고 체중증가와 관련된 생활습관 및 식생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2021년 9월 22에서 10월 26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체중증가와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및 식생활 변화와의 관련성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평가되었다. 체중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이 42,9%, 여성이 44.7%이었다. 체중이 증가한 주요 이유로는 외부활동 제한으로 활동량 감소, 배달음식이나 인스턴트 위주의 식습관으로 조사되었다. COVID-19 유행 동안 체중증가와 일반적 특성 및 생활습관과의 관련성을 평가한 결과 체중증가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OR, 3.97, 95% CI, 1.98-7.96), 저체중 (OR, 0.19, 95% CI, 0.05-0.83)과 유의적 수준에서 관련성이 있었다. 체중증가와 식생활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체중증가가 아침 섭취빈도 증가(OR, 4.44, 95% CI, 1.76-11.21), 간식 섭취빈도 감소 (OR, 0.35, 95% CI, 0.16-0.77), 과일 섭취빈도 감소 (OR, 3.0, 95% CI, 1.32-6.80), 탄산음료 및 가당음료 섭취빈도 증가 (OR, 2.74, 95% CI, 1.26-5.99), 패스트푸드의 섭취빈도 증가 (OR, 2.32, 95% CI, 1.14-4.70)와 유의적 수준에서 관련이 있었다. COVID-19 유행은 체중증가와 생활습관 및 식생활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향후 감염병을 대비하여 좀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건강 및 영양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충남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식습관과 영양섭취상태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Feeding Method during Infant Perio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강명화;최미경;김현진;배윤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7-6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을 영아기 영양법에 따라 모유영양군, 인공영양군, 혼합영양군으로 분류하여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식습관과 영양 섭취 상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영아기 영양법이 이후의 식사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9.7세였으며,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는 각각 139.0 cm, 34.6 kg, $17.8kg/m^2$로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아기 영양방법에 대해 조사한 결과 초유를 섭취한 비율은 모유영양군 97.2%, 혼합영양군 92.7%로 인공영양군의 40.9%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이유 시기 및 첫 이유 식품에서 세 군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식습관 조사 결과 간식을 전혀 먹지 않는다는 비율은 모유영양군 10.0%, 인공영양군 9.4%로 혼합영양군의 3.8%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식사 및 외식빈도 등은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식습관 점수와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은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성장기 아동에서 영아기 영양법에 따라 간식섭취 빈도, 우유 유제품 및 채소 섭취 정도 등과 같은 식습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성장, 건강, 식습관 및 식사섭취상태 등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받는 영양교육과 식생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and Dietary Life Received at School in Adolescents)

  • 박정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29-35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의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받는 영양 및 식습관 교육이 실제로 식생활 문화와 어떠한 연관성과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과 방법은 2022년도(제18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KYRSB) 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연구이다. 아침식사 빈도, 아침식사 결식 이유, 과일, 고카페인 음료, 단맛 나는 음료, 패스트푸드, 채소, 우유, 물, 야식 섭취 빈도를 변수로 SPS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학교에서 영양·식습관 교육을 받은 그룹과 받지 않은 그룹은 아침 식사, 패스트푸드, 야식에 대해 유의한 차이 있었다(p<.001). 아침식사 섭취 빈도를 비교한 결과, 교육을 받은 그룹이 7일 이상 먹는 비율이 높았고, 0일의 경우는 교육을 받지 않는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우유 섭취에 대해서는 교육을 받지 않은 그룹이 더 높은 비율로 먹지 않았고, 물 섭취에 대해서도 교육을 받지 않은 그룹이 더 높은 비율로 1컵 미만으로 먹었다. 본 연구는 학교에서의 영양·식습관 교육, 아침 식사 및 음료 섭취에 대한 개선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 및 학교에서의 영양·식습관 교육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는 방안 연구의 토대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한국 성인의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에 따른 대사적 위험과 영양상태: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Metabolic risk and nutritional state according to breakfast energy level of Korean adults: Using the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장소현;서윤석;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46-57
    • /
    • 2015
  • 우리나라 성인에서 아침결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아침결식은 대사적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한다. 본 연구는 한국성인을 위한 대사적 위험성이 낮은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을 제시하고자 제4기 (2007~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64세 성인 12,238명을 대상으로 1일 에너지섭취량이 500~5,000 kcal에 속하며, 임신 또는 수유중인 자, 대사 이상 질환이나 암으로 치료받는 자를 제외한 7,769명 (남자 38.4%, 여자 61.6%)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아침식사 에너지비율은 개인별 아침식사의 에너지섭취량이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10% 미만 (극저에너지군), 10~20% 미만 (저에너지군), 20~30% 미만 (중간에너지군), 30% 이상 (충분에너지군)인 네 군으로 분류하여 대사질환의 위험요인별 교차비와 영양상태를 비교하였다. 모든 자료는 해당 년도의 가중치를 적용한 후 일반선형모델을 사용하여 성, 연령, 거주지역, 소득수준, 교육수준, 직업 유무 또는 에너지 섭취량을 추가 보정하여 분석하였다. 유의성은 ${\alpha}=0.05$ 수준에서 검토하였다. 1) 전체 대상자 중 아침식사 에너지가 1일 에너지필요추정량의 30% 이상에 속하는 대상자는 16.9%, 20~30% 미만군에 39.2%, 10~20% 미만군에 37.6%, 10% 미만군에 6.3% 순으로 나타났다. 극저에너지군과 저에너지군에는 여자보다 남자, 19~39세의 젊은 성인, 도시 거주자가 많았고 소득수준은 중상이상, 교육수준은 고졸이상이 많았고 직업을 가진 사람, 가족과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사람이 많았으나 중간에너지군과 충분에너지군에는 그와 대조적으로 여자, 40세 이상 성인, 읍면거주자,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고, 무직, 가족과 식사하는 사람이 많았다. 2) 충분에너지군에서 곡류 (주식류, 스낵류), 당류와 함께 감자류, 두류, 육류 및 난류, 어패류, 채소류, 과일류, 유지류, 조미료류의 섭취량이 네 군보다 높았다. 극저에너지군은 채소류의 섭취량이 네 군 중 가장 낮았고, 스낵류, 당류와 함께 육류 및 난류, 유지류, 조미료류의 섭취량이 저에너지 군과 중간에너지군보다 높았다. 3) 아침식사 에너지가 낮은 군일수록 지방에너지비와 단백질에너지비는 높고 탄수화물에너지비는 낮았으며, 에너지와 모든 영양소 섭취량 및 영양소적정섭취비 (NAR, MAR)가 낮아 영양소별 평균필요량 (EAR)에 미달되게 섭취한 대상자의 비율이 높았다. 충분에너지군은 에너지와 모든 영양소의 섭취실태가 가장 양호하였다. 4)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극저에너지군에서는 높은 반면, 충분에너지군에서는 낮아서 복부 비만위험은 충분에너지군을 기준으로 아침에너지섭취가 낮을수록 증가하여 극저에너지군에서 1.9배로, 저에너지군 1.44배, 중간에너지군 1.32배에 비해 높았으며, 체질량지수에 의한 비만 위험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충분에너지군에서 혈청총콜레스테롤이 가장 낮아서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은 충분에너지군에 비해 극저에너지군에서 1.84배 높았고 공복혈당에 의한 당뇨 발생 위험도 극저에너지군에서 1.57배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19~64세 성인에서 아침식사 에너지가 개인별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10% 미만인 군은 비만, 이상지질혈증, 당뇨의 위험과 동시에 영양부족의 우려가 있는 반면에,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30% 이상군은 대사위험성이 가장 낮고 영양상태가 가장 양호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19~65세 미만 성인을 위한 아침식사의 에너지 가이드라인으로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30% 이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양주시 여대생의 식습관, 운동습관, 건강관련행동이 영양섭취수준에 미치는 영향 (Nutrition Intake according to Food and Exercise Habits in Female College Students of Yang-Ju si)

  • 나영아;강민정;이선호;김정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4-29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시기의 올바른 건강관리가 성인기의 건강과 신체기능을 최적으로 유지하는 기초가 되고, 앞으로 임신, 분만, 수유 등을 대비해야 하는 가임기일 뿐만 아니라, 장차 가정과 사회의 식생활 관리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운동습관 및 건강관련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지표가 영양섭취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여대생 155명을 대상으로 연령, 신장, 체중 등 일반적 특성과 식습관, 운동습관, 건강상태 인식에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한 후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일주일간 식사시간이 규칙적인 날의 횟수는 '5~6일'이 27.74%, '3~4일'이 59.35%, '1~2일'이 12.9%로 나타났고, 아침결식률에서는 거의 '매일 결식'하는 비율이 46.74%, '때때로 결식'하는 비율이 36.13%, '거의 결식을 하지 않는' 비율이 16.13%로 나타나 결식률이 높게 나타났다. 야식횟수는 '일주일에 2~3회'가 43.23%로 가장 높았고, '1회 미만'이 40.65%, '4회 이상'이 16.13%로 나타났고, 식사 소요시간은 '20분 미만'이 42.58%, '20~30분 사이'가 38.06%, '31분 이상'이 19.35%로 나타났다. 운동습관의 규칙성에서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가 29.7%이고, '운동을 전혀 안한다'가 70.32%로 나타났고,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건강상태가 좋다'가 47.74%, '그저 그렇다'가 24.52%, '나쁘다'가 27.74%로 나타나 비교적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하는 대상자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식습관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에서는 일주일에 식사 시간이 규칙적인 날이 많을수록 에너지,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소, 칼슘, 인, 철분, 나트륨, 칼륨, 비타민 $B_6$, 나이아신, 비타민C, 엽산, 비타민 E, 콜레스테롤을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침 결식 여부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는 일주일에 아침을 결식하는 날이 많을수록 아침식사를 거의 매일 하는 대상자보다 에너지,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식이섬유소,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6$, 비타민 C, 엽산, 비타민 E를 유의적으로 더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간 야식을 먹는 횟수에 대한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에서는 야식을 먹는 횟수가 많을수록 에너지,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소, 칼슘, 인, 철분, 칼륨,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 C, 엽산, 비타민 E, 콜레스테롤을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으나 식사 속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규칙적인 운동습관을 가진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영양소 섭취량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건강상태 인식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조사 대상자의 대부분은 19~29세 여성의 영양권장량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영양소를 섭취하고 있었고, 특히 불규칙적인 식사, 결식, 야식 등의 불규칙적인 식습관을 가진 여대생들의 경우, 그 경우 칼슘, 철분, 아연, 여러 비타민 C 등에서 영양권장량에 70%에도 못 미치는 수준을 나타내어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