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al component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3초

내용요소제시이론에 의한 과학교수제시의 적절성 분석 - 과학 I (하) 'V.1.태양계' 단원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urrent Science Instruction Adequacy by Micro Instructional Design Theory)

  • 백성혜;홍성일;양일호;이재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4-191
    • /
    • 1994
  • In this study, a part of high school science instructional materials is evaluated by Instructional Quality Profile(IQP) based on the Merrill's Component Display Theory(CDT). The CDT is based on the Gagne assumption of different conditions of learning for different outcomes. The IQP enables the user to check both the consistency and adequacy of existing cognitive instruction. The IQP can be used to predict student performance, and also to design and develop new insturctional materials. The instructional compon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5 task levels; An Use-Generalities on Newly Encountered Examples(UGeg), A Remember-Paraphrased -Generalities (RpG), A Remember-Verbatim-Generalities (RvG), A Remember-Paraphrased -Examples (Rpeg), A Remember-Verbatim-Examples(Rveg). And the instructional presenta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4 levels: Explain Generalities(EG), Explain examples(Eeg), Inquiry Generalities(IG), Inquiry examples(Ieg). The instructional presentations are determined by instructional components of a related test item, and indexes of the presentation adequacy are calculated by the instructional presentations. The indexes of this study(0.17 - 0.44) were very low and it indicates that the instructional presentations were not adequate to the instructional components of the related text item.

  • PDF

Blended Instructional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OH, Eunjo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8권1호
    • /
    • pp.101-12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practices in blended instruction. In particular, the study explored (1) the types of instructional delivery methods, technologies, and instructional components, (2) the reasons why faculty apply blend instruction, and (3) the advantages and challenges in delivering blended instruc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practices in the Universities that have the extensive doctoral research programs classified by the Carnegie Foundations.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sample of faculty from 30 universities and the survey data included 133 faculties out of the total 1,000 randomly selected faculty members. Of the 133 responses, 111 (77.7%) participants had certain degree of experience, while 17 faculty (or instructors) (13.3%) did not have any practice with blended instruction. The most common instructional delivery format in the participating universities was blended instruction that added supplementary online instructional components in the class. Online Course Management Systems (CMS) and multimedia presentation tools were common technology for course delivery, and "discussion" was the most general instructional activity for the class. The participating faculty often preferred the blended format since it provides students and faculty with convenience, flexibility, active engagement, efficiency in using resource materials, and a feeling of connection between/among students and instructor. Benefits to the class were availability of more authentic experience and diverse curricular materials, and the instructional format that meets the needs of remediation and enhancement of students. This study addressed not only advantages and challenges of blended instruction, but also suggestions based on the comments by the participating faculty.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동향 분석 및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TEAM Instructional Program an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Centered STEAM Instructional Program)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523-54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 및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1년부터 1월부터 2013년 9월까지 개발된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 논문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분석의 대상에 포함된 19편의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관련 논문에는 '상황제시', '자기 문제화', '새로운 도전', '자기 평가'의 요소가 적절하게 반영되지 않은 프로그램이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소에 중점을 두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초·중등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 수업 설계 요소 분석 (Analysis of Instruction Design Factors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by Using Conjoint)

  • 박찬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9-19
    • /
    • 2007
  • 최근 초 중등학생들을 위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중요성이 많이 부각되고 있어서 이를 위한 연구 및 새로운 교재의 개발 등 활발한 활동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e-러닝이 활성화되면서 학습자 특성과 요구사항을 고려한 교육을 여러 방면으로 시도하고 있는데, 정보통신윤리교육도 예외는 아니다. 만일, 학습자 특성이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교육을 한다면 한층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수업 설계 시 학습자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고자 고려해야 할 수업 설계 요소들을 수업목표, 수업유형, 수업내용, 수업매체로 나누어 설문을 한 후, 이를 바탕으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한다. 즉, 수업 설계 요소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수업 설계 요소간의 차이를 기술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수업 설계 방안을 제안한다.

  • PDF

Instructional Alignment Observation Protocol (IAOP) for Implementing the CCSSM: Focus on the Practice Standard, "Model with Mathematics"

  • Hwang, Jihy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149-164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n observation protocol for mathematical modeling as an alternative way to examine instructional alignment to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The instructional alignment observation protocol (IAOP) for mathematical modeling was established through careful reviews on the fidelity of implementation (FOI) framework and prior studies on mathematical modeling. I shared the initial version of the IAOP including 15 items across the structural and instructional critical components as the FOI framework suggested. Thus, the IAOP covers what teachers should do and know for practices of mathematical modeling in classrooms and what teachers and students are expected to do.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AOP should be evaluated in follow-up studies.

의학교육에의 교육순환모델(Learning Cycle)의 적용과 쟁점 (Applications and issues of the Learning Cycle to medical education)

  • 김보현;김상현
    • 의학교육논단
    • /
    • 제10권2호
    • /
    • pp.19-24
    • /
    • 2008
  • Purpose: The 'learning cycle' proposed by Guilbert in 1981 has been accredited as an effective and useful model for curriculum design. Three components of learning cycle, learning objective, instructional method, and assessment are connected organically and form basic structure of curriculum. In this study, we intend to analyze how the learning cycle and its three components are applied to present medical curriculum and examine the points at issue of the learning cycle in medical education. Also, we try to identify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leaning cycle in medical education. Results: First, concerning the learning objective, it was identified that impractical and abstract expressions are major controversial points. Also, there is a need to make learning objectives covering entire medical curriculum. Second, because of various structural problems, it is hard to practice new and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Third, even though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edical curriculum to develop and utilize more various and detailed assessment and evaluation, it was revealed that only are standardized and traditional assessments mainly used. Conclusion: Synthetically, we have som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pecify and actualize the learning objectives. Also, instructional methods and assessments should be diversified. And finally, there is a need to build organic and delicate medical curriculum by applying the learning cycle to medical education more actively.

미국의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 수업요소 (Identification of Instructional Components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Creativity in American Science Classrooms)

  • 강남화;박윤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421-431
    • /
    • 2010
  • 본 연구는 미국의 한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 수업요소를 추출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7학년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하여 11차시씩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사전 사후에 흥미검사와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집단 구체적 체험 활동이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데 가장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 흥미를 높이는 방법들로는 개별화된 보조에 따른 수업 진행, 동료교수(peer teaching)가 가능한 모둠별 실험을 위한 충분한 시간 제공, 언제나 어떤 질문에 대해서도 여유있고 허용적인 분위기, 다양한 매체, 특히 첨단 장비의 활용, 목표지향적이고 개인책무를 높인 요약 게임의 사용 등이 관찰되었다. 창의성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흥미를 높이기, 실험 전에 가설을 만들어 보기, 실험 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보기 등이 관찰되었다.

  • PDF

블렌디드 러닝 수업전략과 플립러닝 수업전략이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과 집단 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Flipped-Learning Instructional Strategies on Undergraduate Students' Social Presence and Group Cohesion)

  • 남창우;신동민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1호
    • /
    • pp.1-13
    • /
    • 2019
  • 본 연구는 일반적 블렌디드 러닝 수업 전략과 플립러닝 수업전략이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과 집단응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탐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 소재 A대학교의 교육공학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9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개의 실험집단(일반적 블렌디드 러닝 수업전략 집단, 플립러닝 수업전략 집단)에 소속되어 총 8주간에 걸쳐 팀 기반 학습 활동에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플립러닝 수업전략을 활용한 집단이 일반적 블렌디드 러닝 수업전략을 활용한 집단보다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향상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립러닝 수업전략을 활용한 집단이 일반적 블렌디드 러닝 수업전략을 활용한 집단보다 대학생의 집단응집력 향상에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플립러닝 수업전략을 활용할 시 고려해야 할 주요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시사점이 있다.

평면도형의 교수·학습 요소에 따른 사각형에 관한 2015 개정 수학 국정 및 검정 교과서 분석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Textbooks on Quadrilaterals: Focusing on the Instructional Components of 2-D Shape)

  • 권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237-255
    • /
    • 2023
  • 현재 교과서의 발행 체제가 국정에서 검정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국정 및 검정 교과서의 비교를 통해 그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형 영역에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요소를 기준으로 사각형에 대한 2015 개정 수학 국정 및 검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 탐구하기'는 전반적으로 적절히 구현되었으나 일부 검정 교과서의 경우 교육과정 성취기준인 분류하기를 제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 알기'는 도형의 구성 요소나 도형에 대해 이야기하는 활동이 다른 활동에 비해 적게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면도형의 정의가 교과서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기도 하였다. '개념 적용하기'는 국정 교과서보다 검정 교과서에서 더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다. '관계 알기'는 교육과 정의 영향으로 교과서에서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사각형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22 개정 수학 교과서의 개발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CMC기반의 영어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교수설계가 영어학습에 미치는 효과 : 교양 영작문 과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Further Interaction on English Learning in a CMC Base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Focusing on University General English Education)

  • 정양수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3권2호
    • /
    • pp.281-30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MC-based English learning. In this study, CMC components were found to provide circumstances of facilitating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tudent and student-student-teacher, which enabled students to accomplish language learning task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MC based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helps students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English language learning. Second, student-student-instructor interaction group outperformed other group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activity participation. Third, cooperative learning groups mor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activity than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resulting in better academic performances. These findings supported the fact that cooperative learning with CMC components are useful in bringing more class participation and positive attitude that were believed to foster language learning than other groups in traditional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structor needs to us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helpful to facilitate active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better effectiveness of English learning in a CMC based learning environment.

  • PDF